소리치지 않고 때리지 않고 아이를 변화시키는 비결 소리치지 않고 때리지 않고 아이를 변화시키는 비결 1
제리 위코프 외 지음, 서현정 옮김 / 명진출판사 / 200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가  엊그제 아장아장 걸어 다녔는데 지금은 방 안에서 달리기를 한다. 아이가 재밌고 신나게 노는 모습은 좋다. 그러나 방 안에서 항상 달리기를 할 수 없는데도 불구하고 아이는 고집을 부려 나를 화나게 한다. ' 다음에 하면 안 될까?' 혹은 ' 말 안 들으면 혼난다'라고 으름장을 놓아도 막무가내다. 이런 난감한 상황에서 한계에 이른 초보 아빠는 소리치거나 때리기도 한다. 그러면 그 순간 아이는 조용해진다.

하지만 정말로 그런 것일까? 우리가 아이의 속내를 들여다 보면 뭔가 잘못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즉, 아기가 균형있게 성장해야 하는데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이에게 화를 내면 예전에는 조용했는데 이제는 곧바로 반응을 보였다. 큰 소리로 울어대거나 소리친다. 그것도 모자라 손에 닿는 아무 물건을 내던지고 아빠인 나를 때린다.

일찍이 루소는 <에밀>에서 어린이가 어른이 되기 전에 문제에 대해서 생각지 않은 체 어린이가 어른이 된 후의 문제만을 생각하려 한다고, 말했다. 되돌아 보면 내가 아이에게 버룻처럼 소리치거나 때렸던 것은 아이을 아이로 인식하지 못하고 어른으로 인식했던 감정의 충돌이 아니었을까, 반성해보았다. 이것이 아이에게 상처였음을 뒤늦게 알게 되었다.

그래서 인지 이 책에 나와 있는 ' 소리치지 않고 때리지 않는' 것이 현명한 부모라는 말에 공감했다. 앞서 말했듯 아이가 제 멋대로 말썽을 부리면 나도 모르게 한 대 때려주고 싶은 마음이 한 두 번이 아니었다. 사실 아이에게 미안하지만 몇 번 때리기도 했다. 그럴때마다 글썽이는 얼굴을 보고 있으면 애처로워 마음이 아팠다. 내가 회조리같은 것을 손에 들기만 해도 아이는 지레 겁부터 먹고 엄마에게 달려가곤 했다.

이 책을 통해 무엇이 문제임을 하나 둘 알았다. 아이의 성장에 맞게 아이를 변화시켜야 했는데 그러지 못했다는 것이다. 아이가 무엇을 생각하는 것도 모른 체 자꾸만 안 된다고 하니 아이는 아이대로 울고 나는 나대로 화만 내며 서로 전쟁을 했다. 하지만 '혼자말하기 훈련'을 하고 나서는 어른이 아닌 아이의 입장에서 아이와  눈높이를 같이 했다. 그러자 아이가 놀랍게도 변화하기 시작했다.

물론 이 책에 나와 있는 아이를 변하시키는 비결을 실생활에서 실천하고 있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아이가 성장하는 속도을 체크하면서 나름대로 전략을 세운 그들은 현명한 부모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많은 부모들이  시행착오을 반복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매우 사소해보일 정도이지만 친철하면서도 섬세하게 아이를 변화시키는 비결을 들려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그 해답은 간단하다. 이 책에 나와 있는 여러 가지 긍정적인 비결들은 아이뿐만 아니라 부모를 변화시키는 데 있어 매우 좋은 비결이기도 하다. 이제 우리는 현명한 부모여야 한다. 초보 부모라고 해서 아이를 초보처럼 대해서는 안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