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쇼 선생님께 보림문학선 3
비벌리 클리어리 지음, 이승민 그림, 선우미정 옮김 / 보림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가 다르게 아이는 성장한다. 하지만 아이가 생각하는 마음은 성장의 속도에 비해 느리다. 성장의 고통이 따른다. <정글북>에 나오는 오스카는 '자라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한다. 다소 정도의 차이가 있겠지만 아이는 오스카처럼 어려운 상황에서 갈등하곤 한다.

이럴 때 우리는 아이에게 어떻게 해야 할까? 좋고 나쁘다는 판단이 확실하지 않는 아이에게 이것해라 저것해라 간섭하는 것은 오히려 어른의 잣대를 강요하는 것은 아닐까?  이런 면에서 <헨쇼 선생님께>는 아이와 눈높이를 같이 할 수 있는 좋은 책이다. 아이의 성장을 밝고 건강하게 도와주고 있다.  아이는 밀랍인형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 책에 나오는 리 보츠처럼 우리는 어릴 적 편지와 일기를 써 본 경험이 있다. 여기에는 대략 두 가지가 있을 것이다. 하나는 방과 후에 해야 하는 과제물이다. 반면에 나머지 하나는 일상을 보내면서 겪었던 이야기들을 담아낸 고백록일 것이다.  이중에서 편지와 일기가 고백록에 가까울수록 감동의 폭이 그만큼 넓다. 조금이라도 솔직하지 못하면 글이 엉망이 되고 만다.

우리는 리  보츠의 편지와 일기를 읽으면서 아이가 평범하지 않다는 것을 안다. 부모가 이혼했고 전학도 여러 번 했다. 아이에게 마음의 상처가 클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리 보츠는 혼자서 허허로움을 감당해야 한다.  그러던 어느 날 헨쇼 선생님께 편지를 쓰면서부터 리 보츠는 서서히 마음의 창문을 활짝 열어나간다.

돌이켜 보면 리 보츠의 글쓰기는 자신의 고민을 누군가 들어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작가가 되고 싶은 리 보츠에게 헨쇼 선생님은 그와 대화할 수 있는 이상형이다. 어쩌면 엄마 아빠가 이랬으면 하는 소망이 담겨 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이런 상황에서 헨쇼 선생님은 일기를 써보라고 한다. 편지가 세상을 향한 글쓰기라면 일기는 자신을 향한 글쓰기라는 미세한 차이를  우리는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리 보츠의 고민이 일기에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는 것은 이때문이다.

이렇듯 작가는 리 보츠의 성장하는 과정을 독특하게 글쓰기에서 해답을 찾고 있다. 헨쇼 선생님으로 부터 글을 잘쓰는 방법을 배우면서 자신의 문제를 발견해나가면서 치료하는 형식이다. 즉 많이 읽고 많이 듣고 편지를 쓰듯 일기를 써라는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나답게' 써보라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리 보츠는 그저 그렇고 그런 평균치 소년이 아니라 진짜 작가에게 칭찬을 받는 소년으로 바뀐다.

이 책을 통해 저자는 아이에게 글쓰기 효과가 만점이라는 것이다. 진솔한 글쓰기는 자신의 마음속에 응어리진 문제점을 발견하고 토해내게 한다. 동시에 문제점에 대한 이해를 하면서 한 발 한 발 성장한다는 것이다. 가령, 자신의 맛있는 도시락을 훔쳐먹는 도둑때문에 도시락에 도난경보기를 만든다. 아이의 행동이 장난스럽지만 우리가 좀 더 리 보츠에게 관심과 사랑을 보여준다면 ''차라리 모르는 게 다행이다'는 놀라운 발견을 스스로 하게 될 것이다.

앞서 말한 오스카는 '자라야 한다'로 결정을 내리면서 새로운 인생을 시작한다. 이 책에서 리 보츠는 글을 쓰면서 원하는 것이라도 할 수 없는 상황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아빠가 그립지만 더 이상 그런 걸 기대하지 않는게 좋다는 것을 깨닫는다. 짜증을 내고 불평을 해도 소용없음을 받아들인다. 이렇듯 아이가 한 단계 성장하는 모습은 가슴 시리다. 하지만 그럴수록 아이는 더욱 성숙해진다. 어느 새  마음이 훈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