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벌레와 메모광
정민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벌레’라는 말이 연금술사처럼 쓰일 데가 있다. 공부벌레, 일벌레 등등 어떤 일에 미쳐야만 벌레가 될 수 있으니 말이다. 그중에서도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책벌레’라는 말은 반가우면서도 눈물겹다. 책과 동고동락한 세월은 곧 삶의 나침반이 된다. 어디 그뿐인가? 청나라 소설가 포송령(蒲松齡)은 ‘어떤 눈먼 승려가 종이 위의 글자 냄새만 맡으면 바로 그 글에 담긴 내용의 좋고 나쁨과 수준의 높고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고 했다. 책벌레가 말 그대로 동물일 경우는 책에 기생하면서 글자를 마구 헤치며 눅눅한 냄새를 풍기는 곰팡이를 먹는다. 하지만 책벌레가 사람일 경우는 다르다. 글자 냄새, 곧 서향(書香)을 좋아하지 않을 수 없다.


서향이 궁금하다면 정민의『책벌레와 메모광』은 좋은 길라잡이다. 지금까지 책벌레를 다룬 책들은 넘쳐났다. 삶에서 책을 빼놓고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이야기는 무척이나 흥미롭다. 그러나 단순히 책벌레가 궁금해서 이 책을 읽고자 한다면 무색무취할 뿐이다. 좁게는 글자 향기, 넓게는 책 향기를 제대로 음미해야만 우리는 책에 담긴 인생의 지혜를 배울 수 있게 된다. 저자가 지금 사람이 아닌 옛사람을 만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옛사람들이 남긴 고서(古書)에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넣는 것과 더불어 책벌레들의 사연을 만날 수 있어 행복했기 때문이다.


이 책의 행간을 더듬다가『유양잡조 酉陽雜俎』에 나오는 진짜 책벌레 두어(蠹魚)에 대한 내용은 사뭇 의미심장했다. 즉, “두어, 즉 책벌레가 책 속에 있는 신선(神仙)이란 글자를 세 차례 이상 갉아먹으면 변화해서 맥망(脉望)이란 벌레가 된다네. 밤중에 하늘 별에다 이것을 꿰어 비추면 별이 그 즉시 내려와 환단약(還丹藥)을 구할 수 있게 되지. 이것을 물에 타서 먹으면 그 자리에서 환골탈태하여 하늘로 날아오르게 된다네.”는 것이다. 무릇 책을 열심히 읽으면 생각이 밝아진다는 것을 셀 수 없이 들었는데 이것이 아닌 몸을 바꿀 수 있는 명약이라는 것을 처음 들었음에도 탄복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런데 책을 눈으로만 읽는다고 해서 책벌레가 되는 것은 아니다. 책만 보는 바보로 불리는 이덕무는 자신의 서재를 ‘구서재’(九書齋)라고 말했다. 구서재는 책과 관련된 아홉 가지 활동이 이루어지는 집이라는 뜻이다. 바로 독서(讀書), 간서(看書), 초서(鈔書), 교서(校書), 평서(評書), 저서(著書), 장서(藏書), 차서(借書), 포서(曝書)다. 온갖 미디어에 무방비로 노출된 세상에서 책을 읽는 것 하나만으로도 얼마나 소중한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여길 수 있다. 그럼에도 뭔가 살아갈 의미를 되새겨 볼 때 저서(著書)의 가치를 대면하게 된다. 저서는 글쓰기다.


이런저런 글쓰기의 노하우를 알려주는 방법은 다양하다. 그중에서도 공통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기는 것 중에 이 책의 제목에 나와 있듯 ‘메모광’도 좋은 방법으로 추천할 만하다. 글을 쓰기 위해서는 아이디어가 필요한데 책속의 문장이나 인터넷의 검색으로 생각을 붙잡을 수 있다. 그러나 불현듯 떠오르다가 금방 사라지는 생각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메모를 해야만 한다. 만약 그때 메모로 남기지 않으면 그때의 생각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말 것이다. 저서에 비해 메모는 단순한 열정인지 모른다. 하지만 단순한 열정이 없다면 생각 관리가 제대로 될 리 없다. 


그러면 메모의 영향력은 얼마나 될까? 기억의 한계에 대한 방어기제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안타깝다. 메모에 담겨 있는 온갖 경이로운 현상들은 모두가 감탄해 마지않는다. 생각해보면 메모의 놀라운 진실들 하나하나 다시금 메모하게 한다. 스티븐 기즈는『습관의 재발견』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뭔가를 기록으로 남기는 것은 그 뭔가를 다른 어떤 생각보다도 우선하게 만든다. 자신이 뭔가를 실행에 옮기는 걸 보는 것만큼 고무적이고 의욕을 유발하는 일은 없다." 이 책에 나오는 책벌레와 메모광을 따라가다 보니 평소 같으면 메모가 생각보다 앞선다는 것을 미처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


우리의 일상을 들여다보면 독서가 아무리 좋다고 권장하더라도 독서 인구는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듣기 싫으면서도 가장 당연하게도 독서가 습관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독서할 시간이 따로 없다는 것은 변명에 불과하다. 그래서 저자는 “세끼 밥 먹듯 독서하는 습관"을 권한다. 세끼 밥 먹는 데 굳이 이유를 따질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렇듯 뭐든지 세끼 밥 먹듯 해보는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