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의 영향력 - 그들의 생각과 행동은 어떻게 나에게 스며드는가
마이클 본드 지음, 문희경 옮김 / 어크로스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젊고 아름다워지고 싶은 사람들 때문에 보톡스의 영향력은 대단하다. 보톡스는 얼굴에 잔주름을 없애주는 효과가 있다. 얼굴에 표정이 있을 때와 없을 때의 차이점은 잔주름이 뚜렷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잔주름을 의학적으로 동적 주름(dynamic wrinkles)이라고 한다. 보톡스의 효과는 동적 주름을 일시적으로 마비시켜 그 근육을 펴지게 하면서 주름살을 없애는 것이다. 하지만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보톡스가 피부 미용에 강력한 효과를 나타내는 만큼이나 독소를 품고 있어 건강에 해롭다는 것이다. 그런데 마이클 본드의『타인의 영향력』을 읽고 이보다 더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바로 인간관계에 있어 치명적이라는 것이다.

 

보통 우리는 상대방의 얼굴에 나타난 표정으로 그 사람의 감정을 파악하게 된다. 더 나아가 상대방의 감정에 동조하면서 기쁨이나 슬픔을 함께 나눈다. 그래서 얼굴에 전혀 감정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면 우리는 상대방과 어떤 말을 주고받아야 하는지 무척이나 어려워진다. 사람의 감정은 그 한 사람으로 끝나지 않고 상대방으로 하여금 모방하게 한다. 또한 감정은 전염되기 때문에 대중적으로 확산되는데 가장 솔직한 감정일수록 감정 전염도 높다. 사회적인 관계의 필연적인 결과다. 그러나 보톡스 때문에 무표정한 얼굴을 하고 있으면 어떻게 될까? 상대방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 못지않게 호감을 덜 살 것이다.

 

우리가 감정 전염에 주목한 이유는 간단한다. 우리는 혼자서 살 수 없는 사회적인 존재다. 그만큼 타인의 영향력에 따라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을 좀 더 유연하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어야 한다. 흔히 우리는 친구가 많으면 행복하다고 여긴다. 하지만 정말로 중요한 것은 친구들이 얼마나 행복한지 여부에 딸려있다. 결론적으로 행복한 친구들과 관계할수록 행복하다는 얘기다. 이러한 감정 전염이 개인이 아닌 집단적인 현상으로 나타날 때 군중심리가 된다. 군중은 폭력적이고 비이성적이다. 몰개성화이론에 따라 개인은 군중 속에서 익명의 존재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재난 같은 비상상태에서 군중은 이타적인 행동을 보인다. 이럴 때 군중은 ‘제4의 구조요원’이 된다. 충분히 ‘군중 속의 온기’를 느낄 만하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사회심리학의 성과를 흥미로운 방식으로 담아낸 다양한 사례를 만날 수 있다. 카멜레온 효과, 감정 전염, 군중심리, 넛지 전략, 방관자 효과, 루시퍼 이펙트, 그리고 고독의 사회학까지 인간 행동에 관한 비밀을 담고 있다. 이러한 비밀은 기존의 주장을 반복하는 차원이 아니라 새로운 주장도 함께 펼치고 있다. 말콤 글래드웰에 비견되는 저자의 통찰은 타인의 영향력이 개인에게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모색하며 어떤 사회를 만들어갈 수 있는지를 명쾌하게 보여주고 있다. 저자의 표현을 빌리자면 사회심리학이 없다면 우리가 진실로 서로를 이해하기기를 바랄 수 없다는 관계의 처방전이라고 할 수 있다.

 

가령, 방관자 효과에 맞서는 방법은 이렇다. 방관자 효과란 출근길에 쓰러진 사람을 발견했을 때 사람들이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런 방관자 효과에 대응하는 방법은 철학자 리처드 로티가 제안한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즉, “낯선 사람을 고통받는 동료로 바라보는 방법”이다. 그 순간 우리는 영웅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영웅이라고 하면 헤라클레스를 떠올린다. 헤라클레스는 보통 사람과는 다른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하지만 이런 영웅은 2%에 불과하다는 실험 결과가 나왔다. 이로 인해 우리는 영웅이 비교적 평범한 사람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래서 우리는 누구나 ‘잠재적 영웅’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듯 인간은 의식주만으로는 살 수 없다. 앞서 말했듯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어떻게든 관계 속에서 살아가야 한다. 오늘날 관계를 형성하는 데 있어 소셜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이웃이나 친구 맺기가 가능하다. 하지만 관계가 친밀하지 않다면 이웃 혹은 친구수가 많아도 외로움을 견딜 수 없다. 신학자 폴 틸리히의 말대로 외로움은 혼자 있는 고통을 말하니까. 그래서 고독의 사회학에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고독은 사회적인 고립에 따른 소외감이 아니다. 오히려 고독은 혼자 있는 기쁨을 뜻한다. 우리가 어쩔 수 없이 혼자 지내야 할 때 고독은 우리 몸 속에 친구를 만들 방법을 생각하게 해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