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왜 외로움을 느끼는가
존 카치오포 외 지음, 이원기 옮김 / 민음사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흥미로운 실험이 하나 있다. 행복한 사람과 외로운 사람 중에 누가 쿠키를 많이 먹을까? 답은 외로운 사람이다. 우리 뇌는 외로움을 치유하기 달콤하고 기름진 물질을 찾게 된다. 그래서 행복한 사람보다 외로운 사람이 쿠키의 맛을 더 좋게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쯤 되면 외로움을 느끼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인간의 본능이라고 할 수 있다. 외로움을 느끼는 것은 아주 자연스럽다. 또한 언제 그랬는지 모르게 외로움이 사라진다. 문제는 그 다음이다. 만성적인 외로운 사람이 쿠키를 많이 먹게 되어 결과적으로 비만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러면 여러 가지의 이유가 있겠지만 외로운 사람에게서 찾아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무엇일까?

 

이 문제에 대해 『인간은 왜 외로움을 느끼는가』는 근거를 밝히고 있다. 이 책에서 저자들은 외로움이 불러일으키는 간섭 효과(interference effect)이며 이것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자기조절 능력이 상실되었기 때문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간섭 효과란 집중력을 분산시키는 것을 말한다. 가령, 눈앞에 보이는 쿠키를 먹고 싶다는 욕구 때문에 정작 쿠키를 먹지 않아야 된다는 것이 방해를 받는 것이다. 그래서 외로움이 불러일으키는 간섭 효과는 사회적인 유대감을 방해하면서 자신감의 결여와 부정적인 사고방식을 악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만성적인 외로움은 사회적 고립감과 노화를 가속화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혼자 살 수는 없다. 혼자 사는 것은 혼자 있는 시간과는 다르다. 혼자 있는 시간은 뭔가에 열정을 불태울 수 있는 자기만의 시간을 갖는 즐거움이다. 하지만 혼자 사는 것은 사회적 고독이라는 두려움을 떨쳐내지 못한다. 그래서 우리에게는 사회적 유대감이 요구되는 것이다. 만약에 사회적 유대감이 낮거나 없다고 한다면 우울한 사람이 되고 말 것이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전적으로 유전자를 탓할 수만은 없다. 일찍이 에드워드 윌슨은 유전자는 우리의 행동을 제어하는 ‘규제 장치’를 제공한다고 했다. 하지만 그 규제는 탄력적이며 유연하다는 것이다. 즉 인간 행동에서 유전자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못지않게 환경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이다. 우리는 환경에 따라 외로움을 달리 경험하게 된다.

 

그런데 환경적인 요소에서 간과할 수 없는 것이 바로 문화적 특성이다. 어쩌면 이러한 이유 때문에 우리가 외로움을 더욱 느끼는 것이다. 우리는 흔히 사회적 동물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개미나 벌도 사회적 동물이라고 할 수 있다. 개미나 벌들은 몸에서 분비되는 화학물질을 통하여 의사소통을 하면서 개인의 행동을 제약하면서 공동생활을 한다. 다시 말하면 사회성이 강한 곤충들은 화학물질 같은 유전자의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우리는 화학물질이 아닌 문화에 의해 우리의 행동을 조절하게 된다. 결국 문화적인 규범과 개인적인 욕구 사이에서 외로움은 복잡하고 미묘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외로움이 심할수록 치유하는 방법이 극단적으로 치닫게 된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사회적 조절 가설(social control hypothesis)’을 인식하게 된다. 사회적 조절 가설이란 사회적 고립이 우리의 심신을 병들게 한다는 것이다. 만약에 주위에 여러모로 도움을 주는 친구가 하나도 없다면 그 사람은 비만이 되거나 과음하거나 흡연하게 될 가능성이 훨씬 높게 된다. 사회적 유대감이 없는 상황에서는 사회적 고립감은 채찍이다. 반면에 사회적 유대감에서 느끼는 친밀감은 당근이 될 수 있다. 그러니 외로운 사람은 다른 사람과 교류하는 방식을 바꿔야 한다. 그래야만 채찍이라는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사회적 유대감을 갖기 위한 방법으로 ‘EASE’는 아주 간단하다는 것이다. 즉 첫째, E(Extend Yourseif: 다른 사람에게 손 내밀기)다. E는 안전하고 작은 일부터 시작하라는 것이다. 가령, “오늘 날씨 참 좋죠?”라는 인사말을 하는 것이다. 둘째, A(Action PIan: 구체적인 행동 계획)이다. A는 사회적 유대감은 인기 경쟁이 아니라는 것이며 다른 사람과 교류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데 자신의 에너지를 투자하는 것이다. 셋째, S(Selection: 선택)이다. S는 사회적 관계는 양(量)이 아니라 질(質)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가령, 상대방의 외모나 지위에 이끌리는 유대감은 좋지 못하며 자신과 닮은꼴의 관계는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넷째, E(Expect the Best: 최선을 기대하기)다. E는 사회적 만족을 위해 자신을 보호하려는 독단적인 행동을 포기하는 것으로 호혜주의 힘이 되는 것이다.

 

외로움. 흔히 군중 속의 고독을 말할 때 쓰는 감정이다. 그러나 과학적으로 외로움이란 사회적 유대감이 사라질 때 느끼는 고통이다. 이러한 요인은 인간은 침팬지나 보노보와 달리 ‘제3의 적응 방식’으로 진화한 탓이다. 인간과 침팬지, 보노보의 DNA가 98% 이상 일치하더라도 그들의 적응방식은 달랐다. 즉, 침팬지, 보노보가 이기적인 두뇌라면 인간은 사회적 두뇌를 발달시키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사회적 두뇌는 경쟁이 아닌 협력으로 사회적 관계를 만들었다. 따라서 우리가 외로움을 느끼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것이다. 이 책에서 말하는 대로 ‘사회적 유대감에 신경을 쓰고, 다른 사람들에게 손을 내뻗고, 끊어진 관계를 원하라고 촉구하는 자극제’라는 것이다. 하지만 외로움이라는 자극제가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지나친 고독감 때문에 심신을 마모시킬 정도로 자기 조절력을 상실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