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인의 반란자들 - 노벨문학상 작가들과의 대화
사비 아옌 지음, 정창 옮김, 킴 만레사 사진 / 스테이지팩토리(테이스트팩토리)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노벨문학상을 받는다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 2008 노벨문학상 수상자 르 클레지오는 “상을 받는 것은 시간을 얻는 걸 의미하며, 글을 계속 쓰고자 하는 욕망을 주기도 한다. 작가는 읽혀지기 위해 어떤 반응을 얻기 위해 글을 쓴다. 상을 받는 것은 그런 반응 중 하나”라고 말했다. 작가들에게 노벨문학상은 부와 명예를 얻을 수 있는 길이다. 예전에는 모든 길이 로마로 통했다면 이제 모든 길은 돈으로 통하고 있다. 그러나 작가에게 중요한 것은 돈의 즐거움이 아니다. 르 클레지오가 말했듯 작품에 대해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얻는 것이며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와 깊은 성찰을 하면서 열정적으로 작업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노벨문학상 수상자들은 공감 능력이 탁월한 사람들이다.

 

매년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발표될 때마다 우리의 가슴은 두려움과 설렘의 도가니가 된다. 남들처럼 하루 24시간을 보내면서도 그들은 어떻게 ‘고전 중의 고전’이라고 부를 수 있는 노벨문학상을 수상할 수 있었을까? 여기서 말한 고전은 단순히 오랜 시간을 기준으로 한 것은 아니다. 문제는 실존적 고통을 좀 더 어떻게 표상하는 것에 있다. 그래서 우리는 생소한 작가들뿐만 아니라 생소한 작품을 만날 때마다 그들의 삶과 작품을 보면서 열광한다. 시공(時空)에 가로막혀 난해하고 현대적(現代的)이지 않겠지만 이런 불편함에도 적어도 한번쯤은 읽어봐야 한다. 하지만 마음에 새겨둘 수 있는 애정과는 달리 습관적으로 ‘노벨문학상 수상작’이라는 타이틀의 목록을 올릴 뿐이다.

 

그런데 노벨문학상 작가들과의 대화를 엮은『16인의 반란자들』은 이런 갈증을 기존의 관념에서 벗어난 방식으로 인식의 폭을 넓혀 주고 있다. 하나, 시간이 나올 때마다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는 호텔 인터뷰가 아닌 점. 둘, 강렬한 소설을 쓰는 작가들의 삶을 흑백 사진과 함께 바로 앞에서 바라보는 점. 그리고 마지막으로 문학이 아닌 다른 어떤 이유로 사회에 참여하고 있다는 공통감각이 놀랍게도 반란이라는 점. 노벨문학상 작가들을 반란자라고 해서 그런지 이 책에는 어떤 불온함이 느껴졌다. 어쩌면 노벨문학상이 반란을 갈망해왔는지 모를 정도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문학에 대한 집념과 글을 계속 쓰고자 하는 내밀한 욕망이 촘촘하게 스며들어 있음을 알게 된다.

 

이 책을 읽으면 노벨문학상 작가들의 정체성 즉, 반란자라는 기묘한 통증에 공감하게 된다. 부조리한 세상과 타협하지 않는 것은 단순히 언어를 다루는 작가에게는 방관할 수 없는 문제만은 아니었다. 오히려 작가로서의 자존심이 큰 문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이런 표현이 가능하다면 주제 사라마구의『수도원의 비망록』에 나오는 ‘블리문다’(타인의 내부를 꿰뚫어보는 능력을 지닌 인물)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고뇌의 흔적이 아무런 여과 없이 드러난 그들의 흑백 사진에는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문학적인 본능으로 충만한 사소한 표정이 담겨져 있었다. 그래서 흑백 사진을 한순간 보는 것만으로도 내 영혼의 빈자리를 조금이나마 채울 수 있었다.

 

노벨문학상 작가들이라 그들의 반란이 부드러운 싸움이겠지, 혹은 좀 더 격하게 이데올로기적이겠지 한다면 반란자의 열정이 희석되고 말 것이다. 반란자에게 현실의 귀환은 살아있는 생(生)의 과정이다. 이것은 주제 사라마구가 말한 것처럼 “삼라만상에는 거의 자라지 않는 나무도 있는데, 그건 그 나무가 이질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고. 아, 그렇다고 해서 ‘세퀘이아’가 ‘올리브나무’보다 낫다는 건 아니오. 그 반대도 아니고.”였다. 돌이켜 보면 현실과 동떨어져 있는 우리는 가면 같은 존재여서 가면 없이는 아무것도 아닌 존재다. 그래서 연극인 다리오 포는 “풍자는 권력에 대항하는 가장 효과적인 무기”라고 하면서 대중들이 두려움에서 벗어나기 위해 웃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같은 맥락으로 반란자는 현실의 빈틈을 파고드는 존재다. 노예제도의 모순을 바라보는 토니 모리슨은 자연적인 아닌 이익을 구하는 자들에 의해 형성된 인종주의에 반대한다. 그리고 문화혁명의 희생자 가오싱젠은 정치권력에 맞서 내적으로 공고한 존재를 역설하면서 "어떤 이즘이 없이 산다는 것, 그게 바로 나의 저항의 형태이다.”라고 말했다. 콜롬비아의 평화를 위해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는 “나는 항상 서명자보다는 음모자였소.”라고 하면서 중재자 역할을 했다. 그리고 종교적 통합주의에 맞서는 V. S. 네이폴은 내세에 대하여 “나는 종교인이 아니오. 내 삶은 글을 쓸 뿐, 그게 다요. 쓰는 게 종교요. 그게 존재할 수 있는 종교들 중에서 가장 높은 종교요.”라고 말했다.

 

반란자들이 지속적으로 문제 삼고 있는 것 중에는『양철북』의 귄터 그라스에서 보듯 ‘치명적인 트라우마’의 역설을 빼 놓을 수 없다. 과거는 지나가는 것이 아니라 항상 되돌아온다고 했던 귄터 그라스는 나치 친위대라는 수치스러운 과거를 인정하면서 민족의 양심이 고통을 당했다. 그의 고백은 자신이 반파시스트주의자라는 침묵을 깨트리는 것은 아니라 “나에게 적은 관념적인 이데아에 불과하다.”는 항변이었다. 이와는 달리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임레 케르테스는『운명 없는 인간들』에서 아우슈비츠에서 ‘딴은 행복했다.’고 말하며 세상을 놀라게 했다. 작가의 말을 빌리자면 홀로코스트에서 오는 정체성이었다. 즉 ‘이는 고통을 세세하게 묘사하는 것보다 훨씬 효과적이지요. 살다 보면 그 이상은 위험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할 때가 있는데 그때가 바로 그런 순간들로, 그럴 때에 나오는 모든 긍정적인 자극은 모진 고문 속에서도 오히려 거대한 평온함과 안도감이 들게 만들기’ 때문이었다.

 

노벨문학상 수상자들은 닫혀 있는 진실을 열려고 하는 것은 아닐까? 이것을 근거로 하여 저자는 수상자들의 삶과 작품 세계에 굴절된 내적인 저항을 ‘반란자’라고 결정했다고 했다. 반란자는 세속적인 것이 아니라 ‘다른 진실’이라는 정신적인 것을 향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저자는 ‘노벨문학상 작가들과의 만남, 어느 것 하나 값지지 않은 게 없었다.’고 느꼈다. 그들에게 이쪽/저쪽의 경계는 무의미했다. 그들의 실존적 진실은 ‘다른 쪽’을 보는 것이다. 다른 쪽은 도리스 레싱이 지적했듯 사상이 닫힌 시스템이 마음에 안 들어서 지속적으로 나의 이데아들을 새롭게 하는 것인지 모른다. 이러한 새로운 이데아에서 우리는 고통에 대한 체념이 아니라 오히려 고통을 담담하게 표현할 수 있는 무섭도록 솔직한 용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 하나, 수상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작가라는 관찰자의 시각’을 알게 되었다. 바로 문학적인 본능이었다. 낚싯바늘에 걸린 물고기의 소리 없는 고통에서 자극을 받은 오에 겐자부로는『히로시마 노트』에서 ‘존재에 대한 도덕적 의미’를 말했는데 인간의 고통을 표현하는 전문가가 되었다. 오르한 파묵은『이스탄불』고 했다. 문학에는 인종적인 순혈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한 데릭 월콧은 “아무것도 쓰여 지지 않은 백지 앞에 앉을 때마다, 누구든 과거를 비우고 제로에서 다시 시작하는 게 중요해요.”라고 말했다.『순간』에서 현재성 즉 살아 있는 ‘어떤 순간’을 표현했던 비슬라바 쉼보르스카는 “모든 사물은 적어도 여섯 개의 시각, 다시 말해 네 방향과 위아래 두 방향에서 볼 수”있다고 말하면서 ‘세세한 것들에 주목하라.’고 하였다.

 

『16인의 반란자들』이 노벨문학상 작가들과 대화한 내용인 탓에 그만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하지만 결국에는 그들의 대화는 앞서 말한 ‘반란자’라는 이미지로 중첩된다. 그러면 앞으로 반란자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 이것은 문학의 운명과 같은 수레바퀴다. 문학이 죽었다고 걱정하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도 아니지만 지금까지 문학은 우리 곁을 떠나지 않고 있다. 그래서 문학에 대한 정도의 시각으로 문학 자체에 대한 문제로 환원하는 것은 텅 빈 실체에 불과하다. 오히려 문학은 위대한 삶의 지표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노벨문학상 수상자들이 위대한 것은 결코 환영(幻影)이 아니다. 시인 페소아는 다음과 같이 읊었다.

위대한 사람이 되는 것은

잘난 체하거나 배척하지 않는 것임을

넌 알아야 해.

알면 알수록 그건 아주 사소한 것임을

넌 알아야 해.

달은 세상의 모든 호수를 비춘다는 것을

그래서 높은 곳에 위치한다는 것을.

 

노벨문학상 수상자들, 즉 반란자들은 앞으로도 영혼을 잃어버린 삶을 비출 것이다. 그들은 가오싱젠이 말한 것처럼 ‘문학은 인간이 의미하는 것을 심오하게 일깨워 주는 도구’를 가지고 삶에 대한 고통을 휴머니즘으로 뒤바꿔놓는다. 이 책을 읽으며 반란자들에게서 달(月)을 보게 되는 것은 가장 밝은 상상력이 아닐까? 정말로 우리는 달이 높은 곳에 위치한다는 것을, 그래서 더욱 위대하다는 것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