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콘서트 2 철학 콘서트 2
황광우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백문이 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이 좋다고 생각했다. 예컨대 부석사의 무량수전(無量壽殿)이 아무리 좋다고 귀가 따갑게 들어본들 다리품을 팔면서 안양루(安養樓)를 올라 본 것보다 못하다. 눈의 즐거움은 마음까지 상쾌하게 한다.

하지만 백견(百見)보다 더 좋은 게 있다는 것을『철학콘서트 2』를 읽으면서 새삼스럽게 알게 되었다. 이 책의 저자인 황광우는 “백견이 불여일독(百見不如一讀)이라고 말한다. 사람마다 좋아하는 취향은 제각각이다. 여행일수도 있고 음악일수도 있고 미술일수도 있다. 책과 함께 살아온 저자에게 일독은 너무나 당연한 것인지 모른다. 그럼에도 굳이 강조하는 것은 일독이 최고의 좋음(最高善)이기 때문이다.

최고선하면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를 빼놓을 수 없다. 그는 최고선을 행복이라고 했다. 좀더 자세하게 말해보면 의술이 목적이 건강, 병법의 목적이 승리라고 한다면 최고선의 목적은 행복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어떻게 살고 싶냐, 는 질문을 받는다면 많은 사람들이 행복을 입버릇처럼 말한다. 행복이 뭐라고 설명하기는 어려워도 말하기는 쉽다. 기쁨 혹은 즐거움보다 그 위에 있는 것이다. 이 정도면 행복에 대한 밑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된다.

우리는 지금 어느 때보다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 경제 성장률이 -4%로 곤두박질하고 있다. 잊을 만하면 굵직굵직한 사건이 터지면서 우리의 가슴을 소스라치게 한다. 뿐만 아니라 사이버 폭력 및 사이코패스 같은 정신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하루가 다르게 늘어만 가고 있다. 예전만큼 안전하지 못한 상황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이래저래 불행하다고 하소연해도 아무런 소용이 없다. 위로를 받기는커녕 아이러니하게도 아리스토텔레스는 전혀 이해할 수 없다는 표정을 하게 될 것이다. 어떻게 이런 부조화가 생긴 것일까?

저자 말대로 아리스토텔레스의『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일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책에는 행복을 찾는 인간의 삶을 세 가지 유형을 구분하고 있다. 먼저 쾌락적인 삶이다. 이는 노예와 짐승의 목적이다. 반면에 정치적인 삶이 있다. 교양 있는 사람들이 명예를 얻기 위한 것이지만 불완전하다.

마지막으로 관조적인 삶이다. 이것이 그가 말하고자 하는 행복한 삶이다. 그러면서 그는 행복한 삶은 탁월성에 따른 삶이라고 한다. 즉 인간의 탁월성은 지성이며 지성의 활동이 곧 관조라는 것이다. 따라서 지성을 따르는 삶이 가장 좋은 것이다.

황광우의『철학콘서트 2』에는 탁월한 사상가 10명이 나온다. 저자는 그들의 책을 중심으로 하여 위대한 지혜를 재밌게 설명해주고 있다. 그런데 책을 읽다보면 뜻밖의 사실에 또 한 번 놀라게 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여전히 철학의 중심인물로 나오는 것 못지않게 시인 호메로스가 나오며 과학자인 코페르니쿠스, 갈릴레이, 뉴턴 등이 나온다. 또한 무함마드가 나오며 볼테르가 말했던 동양의 철인 왕 세종이 나온다.

흔히 철학자라고 하면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이라고 말한다. 물론 틀리지 않다. 그러나 저자는 10명의 철학자를 통해 모든 철학자는 혁명가일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저자말대로 “ 그 어떤 권위도 거부한 채 끊임없이 진리만을 향해 나아가는 사람, 그 모든 사유의 집이 주는 안정을 포기하고 새로운 항해에 나서는 사람, 그가 바로 철학자다.”라는 것이다.

일찍이 조선의 18세기 실학자였던 최한기는 가산을 탕진할 정도로 책을 샀다고 전해진다. 이유인즉 책장 문을 열면 공자와 맹자, 서역의 학자 등을 만날 수 있는데 책을 사지 않고 이들을 직접 만나러 다니려면 얼마나 돈이 많이 들겠냐. 고 했다.

이 책의 저자는 이것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하고 있다. 앞서 말했듯 일독이다. 일독하지 않으면 우리는 지혜를 사랑하지 못할 것이다. 만약 우리가 아리스토텔레스의『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읽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단지 사는 데 있어 편리한 것이 행복이라는 헛된 착각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