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2025 - 사과와 링고
이희주 외 지음 / 북다 / 2025년 8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리 시대 가장 주목해야 작가와 작품의 보고(寶庫)인 『이효석 문학상 수상작품집 2025』은 삶에 대한 새로운 시선을 이야기하고 있다. 수상작품집에는 대상으로 선정된 이희주의 「사과와링고」를 비롯하여 각양각색 다섯 편의 우수작품이 실려 있다. 그중에서도 「사과와 링고」는 착한 여성의 반전을 볼 수 있다. 파국적 결말을 깊이 있게 그려낸 섬뜩한 이야기다.

「사과와 링고」는 두 자매의 팔자(八字)에 질투 섞인 감정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겉으로 보면 언니와 동생의 불편한 관계이다. 그러니까 언니(사라)는 동생(사야)를 보살펴야 하는 팔자를 타고났다는 편견 속에 놓여 있다. 소설은 사야는 이번이 마지막이라고 하면서 사라에게 돈을 빌린다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문제는 마지막이라는 말이 화가 날 정도로 거짓말인 줄 알면서도 끝내는 가족이라는 이름 앞에서 사라의 미운 감정이 속절없이 사그라진다는 점이다. 이상하게도 동생의 거짓말이 점점 커질수록 언니로서의 깊은 걱정과 사랑이 점점 부각된다는 사실이다.
작가는 자매를 통해 인간의 정체성을 말하며 미묘한 긴장감을 불러일으킨다. 자매는 정반대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사라가 아름답지 않는 평범한 여성이라면 사야는 타고난 아름다움을 지닌 ‘고양이상 미녀’이다. 또한 사라가 억척스럽게 살면서 자신의 삶을 만들어가는 반면에 사야는 아름다움에 몰입한 나머지 아름다움에 최선을 다한다. 어쩌면 궁핍한 생활속에서도 고양이 두 마리를 기르는 사야의 심리는 일종의 판타지에 가깝다.
작가는 사야의 정신적 위기 상황을 관찰하면서 인간은 누구나 애완동물이 되고 싶다는 것은 묘사하고 있다. 작가의 말을 빌리자면, “먹여주길 바라고, 재워주길 바라고, 이유 없이 사랑받고 싶어한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니 동생의 행동은 애완동물의 팔자 같았다. 자신이 원하는 걸 위해 노력하지 않고 오히려 보호받으려는 행동이라고 할까? 마치 돈 많은 여자를 만나 살면서 셔터맨이 되고 싶은 남자의 고백이나 다를 바 없다. 언니와 동생의 차이점은 단지 애완동물이 되는 팔자인지 아닌지에 있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특히 인상 깊었던 순간은 사라가 고양이들을 보고 ‘돈 먹는 하마’라고 말할 때이었다. 그녀가 돌보는 고양이들의 이름은 이 소설의 제목이기도 하다. 사과와 링고는 치료하기 힘든 병을 앓고 있어 돈 먹는 하마라는 핀잔을 듣게 된다. 애완동물이 되는 팔자인 그녀에게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고양이들이 돈 먹는 하마가 되어도 좋을 나름대로 애정을 가지고 있으니까.
하지만 사라의 절망적인 입장에서 보면 정말이지 고양이가 아니라 돈 먹는 하마일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돈 먹는 하마를 감당하느라 경제적 활동이 불안한 그녀의 동생이 오히려 돈 먹는 하마가 되는 악순환은 간과할 수 없는 일이었다. 결국에는 이렇게 살아봐야 더 좋은 삶을 살 수가 없다는 불안감이 그녀의 착한 심성을 파괴하게 된다.
이렇듯 「사과와 링고」는 누구나 한 번쯤 마주하게 될 애완동물의 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혼란과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담아내고 있다. 사야의 고양이들을 죽이는 사라의 행동은 사랑일까? 아니면 파괴일까? 가장 강렬한 단절은 죽음밖에 없다. 고양이들의 흔적을 지워야 하는 운명은 얼마나 아름다운 복수(復讎)인가? 복수는 복수가 아닌 듯 계속된다.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이효석문학상 사과와링고 너는별을보자며 삽 빈티지엽서 옮겨붙은욕망 우리들의적이산을오를때 이효석문학상수상작품집2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