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얼빈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22년 8월
평점 :
품절
장부는 죽음 앞에서도 그 마음이 강철과 같고,
의사는 위기에 처해도 그 기세가 구름과 같다.
-안중근
김훈의『하얼빈』은 절박한 소설이다. 안중근의 빛나는 청춘을 소설로 써보겠다는 소망을 더 이상 미룰 수가 없다는 작가의 고백이 마음을 관통했다. 안중근은 대한제국을 치욕적인 식민지로 만들었던 일본의 정치적 거물인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민족의 영웅이다. 안중근의 절박함은 개인적인 뼈를 갉는 아픔이 아니라 우리 민족의 절박함이었다. 그래서 일까? 삶의 밑바닥에서부터 소용돌이치는 안중근의 영혼은 대담한 정신으로 충만한 구름이 되어 휘몰아쳤다.
안중근의 삶과 죽음은 짧았다. 그러나 불의(不義)에 맞서는 운명은 강렬했다. 그가 이토 히로부미를 향해 쏜 세 발의 총알은 명중했다. 비록 사격 솜씨가 뛰어났다고 하더라도 마음가짐이 흐트러지면 결코 대업은 실패했을 것이다. 국가의 안위를 노심초사했던 그는 가족, 종교 그리고 목숨의 연민을 버리면서까지 묵묵히 자신의 삶의 방식을 지켰다. 불의에 대한 두려움이 없지 않았을 것이다. 만약에 이러한 두려움을 극복하지 못했다면 총알은 불의의 과녁을 빗나갔을 것이다.
소설의 줄거리에서 이미 알 수 있듯 일본의 동양평화는 제국주의 침략이라는 강자의 논리였다. 나라 잃은 고단한 국민들이 무참히 희생이 되는 것을 보고 있으면 분노를 금할 수 없을 지경이다. 이러한 비극적인 격동의 시대에서 안중근이 하얼빈에서 대한독립이라는 일편단심으로 이토 히로부미를 죽이러 나섰고 그래서 복수에 성공했으니 복수의 정의로움은 구국의 영웅다웠다.
그러나 작가가 소설에서 진정으로 바라던 것은 안중근의 역사적인 사건을 낱낱이 확인하는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매우 느린 속도로 안중근의 행적을따라가면서 그의 마지막을 끝까지 잊지 않으려고 했다. 그의 마지막은 일본이 정치적인 논쟁에서 벗어나기 위한 말쑥한 논리에 따르면 결코 ‘파락호(破落戶)’은 아니었다. 그보다는 일본 법정에서 당당히 말한 대로 무지몽매한 “자객”이 아니라 “의병 참모중장”이라는 명백한 사실이다. 그리고는 다음과 같이 말하며 우리의 심장을 끝까지 놓아주지 않았다.
나는 헛된 일을 좋아해서 이토를 죽인 것이 아니다. 나는 이토를 죽이는 이유를 세계에 발표하려는 수단으로 이토를 죽였다.(235p)
그래서 소설을 읽다보면 안중근의 생생한 비장함이 헛되지 않았음을 알게 된다. 작가의 표현대로 “안중근의 총은 그의 말과 다르지 않다.”(307p)는 것을 공감하게 되었다. 그때서야 비로소 31세 안중근이 가슴에 품었던 절박함의 베일이 벗겨지고, 나는 누구이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라는 오래된 질문에 골몰하면서 어떤 새로운 다짐이 필요한가? 라는 절박함을 깨달았다.
약육강식(弱肉强食) 풍진시대(風塵時代). 시대의 장벽을 넘어 김훈의『하얼빈』을 통해 다시 살아난 안중근의 영혼은 ‘청춘의 언어’이며, 우리 모두의 정신적 자서전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