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이디푸스 왕 안티고네 외 ㅣ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11
소포클레스 외 지음, 천병희 옮김 / 문예출판사 / 2006년 1월
평점 :
고전은 그 장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어렵다. 그리스 비극의 최고 걸작이라고 하는『오이디푸스 왕・안티고네』도 예외는 아니다. 그리스 비극에 대한 남다른 열정이 없으면 오히려 고리타분해지고 만다.
우리에게 이 책이 남다른 것은 아가멤논과 오이디푸스라는 이름이 가지고 있는 상징성이 대단하다. 어쩌면 우리의 일상과는 아주 멀리 있는 듯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아주 가까이 있으면서 살아 숨 쉬고 있는 영웅들이다. 즉 아가멤논은 트로이 전쟁에서, 오이디푸스는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를 풀면서 세상을 놀라게 했다.
하지만 이들의 파란만장한 영웅의 일대기가 비극적이고 외설적이고 관능적이다. 읽는 내내 아가멤논을 둘러싼 여인의 치열한 욕정(欲情)과 오이디푸스 왕이 아버지를 살해하고 어머니와 결혼할 수 밖에 없는 운명을 보게 된다. 비록 신이 만들어 놓은 올가미라고 하더라도 삶의 비릿함이 물씬 풍기는 소용돌이는 엄청난 거부감을 불러일으켰다.
그럼 왜 이렇게 비극적이어야 하는가? 이 문제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의『시학』 제2장을 보면 희극은 실제 이하의 악인을 모방하려 하고 비극은 실제 이상의 선인(善人)을 모방하려 한다, 고 했다. 또한 제6장에는 연민과 공포를 환기시키는 사건에 의하여 바로 이러한 감정의 카타르시스를 행한다고, 했다.
특히 오이디푸스 왕이 자신의 정체성을 찾으려는 안타까운 노력은 카타르시스의 결정체였다. 스핑크스와 죽음을 맞바꾼 문제가 바로 인간이었는데 오이디푸스 왕은 바로 인간에 대한 거침없는 도전을 한다.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려는 고뇌는 곧 아폴론적 세계에 대한 동경이다. 아폴론 신전에는 소크라테스의 유명한 말 ‘너 자신을 알라’가 새겨져 있다.
오늘날 삶이든 죽음이든 불행이 계속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불행을 두려워한다면 우리는 나약할 수밖에 없다. 그 보다는 이 책에 나오는 <안티코네>에서 말하는 ‘무시무시한 것이 많다 해도 인간보다 더 무서운 것은 없다네. 그는 사나운 겨울 남풍 속에서도 잿빛 바다를 건너는’ 경이로운 존재여야 한다.
이것이 우리가 고민해야 할 진짜 삶이다. 그들의 격정적인 삶을 가로지르는 버거우면서도 절묘한 삶의 균형을 발견하게 된다. 오이디푸스 왕이 자신의 눈을 찌를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발견하는 것이 우리들에게 삶의 희망이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