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키노믹스
돈 탭스코트.앤서니 윌리엄스 지음, 윤미나 옮김, 이준기 감수 / 21세기북스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세계 최대 커피숍이 무엇인가? 라고 했을 때 우리는 스타벅스라고 할 것입니다. 또 세계 최대 백과사전은 무엇인가? 라고 했을 때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이라고 할 것입니다. 이러한 대답은 타잔 경제학(Tazan economics)에서는 틀리지 않습니다. 타잔 경제학이란 우리는 전적으로 덩굴에 의존하고 있고 그 때문에 정글의 땅바닥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그러나 다른 덩굴을 손에 넣기 전까지는 지금 잡는 것을 놓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새로운 비즈니스 생태계에서는 둘 다 정답은 아닙니다. 바야흐로 세계는 웹2.0시대입니다. 흔히 UCC(사용자 콘테츠)로 대표되는 인터넷 혁명이 가져온 변화를 충분히 알고 있다면 앞서 말한 정답은 각각 블로그이며 위키피다아입니다.
그리고 이들의 장점을 비즈니스 웹으로 끌어당겨 새로운 경영의 패러다임을 만든 것이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위키노믹스입니다. 즉 위키노믹스는 인터넷 이용자들이 만든 백과사전 위키피디아와 경제를 이코노믹스를 합성한 전략입니다.
가령, 브리태니커대 위키피다아의 차이는 기업들이 미래를 어떻게 준비해야하는지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전자가 패자인 반면에 후자는 승자입니다. 이유인즉 전자는 웹 사이트를 운영했고 승자는 활기찬 커뮤니트를 운영했습니다. 부연하자면 전자는 클릭, 방문자 수에 의존하며 자료를 읽고 검색하는 디지털 신문이었다면 후자는 모두가 붓을 들고 함께 멋진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캔버스라는 것입니다.
이처럼 이 책은 메가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는 위크노믹스를 단순히 인터넷 현상으로 보는 것이 아닙니다. 더 나아가 새로운 경제 현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들이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위키노믹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위키노믹스를 실현할 수 있을까? 여기에는 4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즉 개방성, 동등계층 생산, 공유, 행동의 세계화입니다. 그러나 이것을 한마디로 규정한다면 바로 협업(collaboration)입니다.
일찍이 노엘 티치 교수는 “지금의 세계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알고 싶다면 이 책을 읽으십시오.”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이 책의 표지를 보면 새로운 세계에 대한 방향이 잘 묘사되어 있습니다. 상어 한 마리를 수많은 물고기들이 모여 거대한 몸집으로 위협하고 있습니다. 달리 비유하자면 상어가 CNN이라면 수많은 물고기들은 블로그입니다. 결국 블로그들이 모여 세상을 바꾸고 있습니다.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협업내지 협업 지성은 곧 대중의 지혜라는 것입니다. 지식을 공유하고 협력하는 것입니다. 그동안 웹1.0이 나의 세상이었다면 새로운 웹 즉 웹2.0은 우리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곧 미디어’라는 것을 새삼 느낄 수 있습니다. 이것이 개방, 공유, 참여로 요약되는 위키노믹스이 명쾌한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