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천의 인간과 동물
최재천 지음 / 궁리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플라톤은『티마이오스』에서 사람은 최고의 고등 동물로 신들이 창조했으며 다른 종들은 사람으로부터 타락과 퇴화의 과정을 거쳐 나왔다고 하였다. 가령, 겁쟁이들과 불한당들은 여자로 퇴화하고 지혜가 모자라는 사람은 저급한 동물로 퇴화한다. 지저귀는 새들은 자신들의 기분에 지나치게 좌우되는, 해롭지는 않지만 지나치게 안이한 사람들이 변해서 생겨난 것이고 지상의 동물들은 철학에 관심이 없는 사람에게서 나왔으면 물고기와 조가비 따위는 인간 중에서 가장 멍청하고 어리석고 쓸모없는 사람들이 퇴화한 것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동물학자의 눈으로 본 인간의 모습은 다르다. 결론적으로 인간과 동물은 하나다, 라는 것이다. 물론 인간이 고도로 진화해오면서 지구를 지배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인간의 눈으로만 세상을 이해한다는 것은 ‘생존자의 오류’에 빠질 수 있다. 즉 인간이 자연을 파괴하면서도 아무 문제없이 살고 있기 때문에 괜찮다는 착각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이다.

이번에 나온『최재천의 인간과 동물』은 눈여겨볼 만하다. 표지가 온통 초록색이다. 저자는 우리를 야생으로 초대하면서 동물들의 살아가는 방식을 매우 흥미롭게 이야기하고 있다. 더구나 동물들의 생존에 따른 적응 방식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산뜻하면서도 강한 느낌을 전달해주고 있다.

가령, 얼룩말이 기분이 좋을 때는 귀를 세우고 ‘히힝’거리지만 기분이 나쁠 때는 귀를 낮춘 상태에서 이를 드러내며 ‘히힝’거린다고 하는 세심한 관찰은 동물의 세계가 궁금한 사람들에게는 매우 유용한 정보가 된다. 이밖에도 곤충이 노란 꽃을 좋아하고 새가 빨간 꽃을 좋아하는 이유를 진화적인 매커니즘을 통해 명쾌하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저자의 호기심 너머에는 동물에 대한 방대한 사례를 통해 인간이 가지고 모순을 재발견하고자 한다. 교육문제에 있어 저자는 어미 새가 새끼 새를 가르치는 방법을 살펴보고 있다. 어미 새는 새끼 새가 싫어한다고 해서 나는 방법을 포기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몇 번의 시행착오를 통해 새끼 새가 지금은 왜 날아야 하는지를 알지 못하지만 나중에는 날아야만 살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아이들에게 너무 아이들이 배우고자 하는 것만 가르쳐서는 안 된다고 한다. 가르칠 건 확실하게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한다. 단 재미있게 가르쳐야 하는 방법과 함께 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생명의 파노라마가 펼쳐지는 이 책을 통해 인간과 동물이 상생하고자 하는 바람이다. 상생은 오늘날 자연의 위기를 맞이하고 있는 해법이다. 경제학 측면에 있어서도 이것이 최적화일 것이다. 인간만을 위한 혹은 동물만을 위한 치료는 곧 서로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불협화음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저자는 이 모든 것을 자연이 가르쳐 주고 있다고 믿는다. 그런데도 우리는 자연의 소리를 가까이에서 듣지 않고 오히려 인간을 위한 처방만을 우선시하고 있다. 침팬지가 진화를 해왔듯 인간도 진화해왔음을 알면 인간과 동물이 상생하는 법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광우병을 비롯한 각종 동물들의 역습에서 보듯 이제 함께 살지 않으면 모두가 멸망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2007년은 생물학의 해이라고 한다. 이 책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삶의 기술을 자연에서 배웠으면 한다. 그래서 과학의 대중화가 아닌 대중의 과학화가 실현되었으면 한다. 또한 항생제의 남용으로 치료하기 어려운 문명화의 질병을 위해 다윈의학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우리가 해야 할 지구생명 사랑일 것이다. 앞으로는 우리의 눈이 초록색을 제대로 볼 수 있도록 진화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