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을 켜다 - 무도한 세상에 맞서는 세상의 울림
표정훈 지음 / 을유문화사 / 2013년 3월
평점 :
이 책을 뭐라해야 하나? 다양한 사람들을 다양한 문체로 소개해야 했다고 할까?
일종의 철학입문서이기도 하지만, 어려운 철학이야기 보다는 철학이 삶에 던져주는 것을 다양하게 변주하고 있다는 느낌이다.
딱딱한 철학서라기 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이 라디오 앞에서 담담하게 이야기 하는 형식?
철학자들이 주되게 등장하고 있지만, 딱히 철학자라고 하기 어려운 사람들도 섞여 있다. 저자가 말하고 싶은 건 철학자이란 살아가는 동안 뭔가 다르게 생각하는 사람이고, 사고에 그치지 않고 실천을 통해 변화를 일군 사람이 있다면 삶으로 철학을 일군 사람들이라 생각했다고... 뭐 그다지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철학사에서 가장 흔하게 등장하는 헤겔이나 비트켄슈타인, 니체, 레비나스, 들뢰즈... 등등
개인적으로 좀 더 보충했으면 좋았을 것이라 생각했던 사람들이 많이 빠진 것은 좀 안타까운 일이다. 때로는 서간체로 때로는 독백체로 또 마르크스 같은 경우는 옝겔스가 소개하는 형식으로 다양하게 변주되어 이 책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소소하고 개인적인 에피소드와 이들이 주장하는 핵심적인 사고를 소개했을 때 좋아하는 철학자가 빠진다는 건 좀 맥빠진다.
전체가 통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에도 재미와 가독성은 보장하는 책이라고 해야 하나?
이러한 개론서가 가진 장점은 딱딱하고 난해한 철학을 어느 정도는 말랑하게 만들어 준다는 것이다. 더불어 현실과 동떨어져 다른 세계를 탐구하는 듯 보이는 철학자들이 사실은 그 시대를 가장 민감하게 느끼고 그 시대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 사람들이라는 것을 잘 보여주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또하나 그들 역시 사람이므로 인간적인 약점과 단점들이 많아서 철학이란 뭔가 특별한 사람이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도 잘 나타낸다.
다만, 주마간산식으로 쳬계적이고 일관된 철학과 사상이 스쳐 지나간다는 점이 있지만, 그거야 이런 개론서를 읽고 흥미가 생기면 알아서 파고 들어갈 문제라 굳이 단점이라 말하기도 그렇다.
요즘 철학의 대중화 추세에 한 팔 거드는 책임은 분명하다. 철학적 정밀함으로 읽기 보다 소설적인 에피소드로 읽어내려가게 하는 점도 분명히 있다. 어느 정도 철학적 지식이 있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뭔가 엉성하고 허술해 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이 철학의 정석(?)이라 주장하지만 않는다면서 철학의 세계로 입문하는 여러갈래길 중 하나의 길이 되기에 충분해 보인다.
맛깔스런 음식을 하나씩 맛본 것 같은 느낌이 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