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는 어떻게 지배하는가 - 세상을 조종해온 세 가지 논리
앨버트 O. 허시먼 지음, 이근영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원래 복잡한 것 보다는 단순한 것이 힘이 쎄다. 이것 저것 근거 대고 반박해도 묻혀 버리면 사장되는 거고 간단하게 받아치고 버티면 이길 수가 없다. 그리고 보수는 수백년 동안 간단하게 진보의 발목을 잡아버렸다. 사실 진보가 어떠한 논리로 사회에 대한 의견을 내세워도 간단한 보수의 논리는 진보의 주장들을 허무맹랑하거나 사회의 법칙을 무시한 위험한 불장난처럼 느끼게 만들어 버렸다. 그리고 그 논리는 많지도 않다. 3가지 정도다.  

1.역효과 명제 : 열심히 해봐~ 니가 원하는 것과 반대로 될테니...
2 .무용명제 : 열심히 해봐~ 그런다고 세상이 바뀌니?
3. 위험명제 : 사회적인 협력? 그거 독재나 전체주의로 가는 지름길이야... 

이 3가지 논리는 그냥 상대방의 논리를 견제하거나 무시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혁명을 이야기 할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논리가 그렇게 피흘리고 싸워봐야 오히려 지금 사회보다 더 나쁜사회가 등장하지 혁명을 원하는 사람들이 꿈 꾸는 유토피아는 오지 않는다는 반박은 전형적인 역효과 명제이다. 사회의 일반적 법칙을 모르고 섣부르게 실천하다가는 재앙이 닥칠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무용화 명제도 마찬가지다. 니들이 백날 촛불들고 밤거리를 쏘다녀봐라...변하는거 하나라도 있나. 미국산 소고기는 수입되어 팔릴거고 4대강은 개발될거다. 그러니 헛 힘쓰지 말고 니가 좋아하는 소비나 열심히 하고 즐겁게 사는 게 인생에 도움이 될 거다. 뭐 이런 논리는 무수하게 들어본 사례아닌가? 

위험명제는 특히 요즘의 정세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복지와 관련하여 위험명제는 잠복되어 있다가 출현한다. 서구 복지국가는 대부분 국민들의 동의하에 추진되었지만 경제위기와 더불어 복지국가는 실질적으로 '자유민주주의'에 위험 요소로 변한다는 주장이 그것이다. 국가의 역할이 커질수록 전체주의적 성향이 발전하고 그것이 개인의 자유를 제한하고 억압할 것이니 복지 논의는 사실상 위험하다는 논리다. 시장을 통해 공적 영역을 다 민간으로 팔아넘기는 신자유주의적 논리의 바탕에는 이러한 협박성의 위험논리가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어느 사회도 보수의 논리는 동일하다. 이 사회가 존속하는데는 다 이유가 있다. 그러니 나대지 말고 순응해서 살라는 것이다. 뭔가 열심히 해도 아무것도 변하지 않거나 (무용명제) 오히려 지금보다 더 나빠지거나 (역효과 명제) 자신도 모르게 위험한 상태에 빠질 것 (위험명제) 이란 얘기다. 그럼 어떻게 해야할까? 그냥 입닥치고 조용히 살라는 이야기다.  

이 책은 보수의 수사법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을 논하고 있다. 사실상 3가지 명제들은 역사적인 배경 속에서 등장하고 있으며, 등장 후 상호 보충적으로 사용되면서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수사법으로서의 논리전개를 분석하다가 집약된 것이지만 보수의 수사법은 딴지를 걸기위한 신공으로서는 매우 탁월해 보인다. 어떤 정책이던 주장과 실행의 기간이 길수록 처음의 논리보다 여러가지 시행상의 오류나 보정이 필요할 것이고 그러한 순간에 보수의 수사법은 대중들에게 합리적으로 보이는 파괴력을 가질 것이다.  

그럼 진보의 수사법은....어떻게 해야 할까? 그건 다른 책에서 풀어야 할 숙제이다.  

솔직하게 쉽게 읽혀지지 않는 부분이 많은 책이다. 번역 때문인건지 내 짧은 인문학적 지식 때문인건지 읽어나가는 건 쉽지 않았다. 다만, 묘하게 매력적인 부분이 있는 책이라는거... 지겨우면서 다시 펼쳐보게 만드는 힘이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철나무꾼 2011-03-24 14: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추천사를 우석훈이 썼다고 해서 깜짝 놀랐었지요~

오늘 아침 손석희에 조국이 나왔었는데...(물론 자신의 입지를 위한 것이었지만)
보수, 진보에 대한 그의 해석이 깔끔해서 좋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