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자크와 바느질하는 중국소녀
다이 시지에 지음, 이원희 옮김 / 현대문학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소설을 읽으면서 어쩔 수 없이 의문을 가지게 되는 부분이 문화대혁명에 대한 평가일 것이다.
이 책의 주인공들은 문화대혁명의 소용돌이 속에서 농촌으로 하방하게 된 지식인들의 아들들이고
이들은 농촌으로 강제 노역에 처하게 된 현실을 매우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지식인들의 문화대혁명에 대한 평가는 매우 부정적이어서 언제나 그럿듯 20세기 야만의
세월로 평가하는게 주저함이 없고, 이 소설 또한 그러한 인식선상에 닿아 있다.

이론적으로 대중노선을 표방하고 끊임없는 모순의 발현으로 인한 계급투쟁을 주장했던 모택동의
사상에 대한 평가를 떠나서, 정신과 노동의 이분법적 분화와 노동에 대한 천시를 노골적으로 드
러낸 점에서 이 책은 문화대혁명을 치루어 낸 또 다른 소설들과 맥락이 많이 틀려 보인다. 그것은
서구에서 소설을 발표한 저자의 경험일 수도 있으며, 전체적으로 보아 서구적 시각에 물들어 있는
문화대혁명에 대한 평가 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책이 프랑스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는 점은
무언가 음습하다.  

그렇다고 소설의 분위기 자체가 음습한 것은 아니다. 소설은 유쾌하고 경쾌하며 그 어려운 상황 속
에서도 젊음이 가지는 낭만과 재기 발랄함을 잃지 않는다. 오히려 소설 속 화자와 친구는 어려움마
저도 자신의 재기 발랄함으로 극복하고 새롭게 자신의 영역을 찾아내는 지혜를 보여 준다.
아마도 독자들이 열광했다면, 그러한 재기발랄함에 매료되었을 것이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희망과 웃음을 자아내는 이야기는 항상 매혹적일테니까.... 

그냥 내가 아쉬운 부분은 전체적인 역사상에서 느껴야 했던 문제들이 그 재기발랄함으로 인해
묻혀버리고 지나갔다는 점이다. 개인과 전체 사회와의 관계가 이 소설 속에서는 희화화되어 버려
개인만 남고 사회는 스러졌다고 해야 하나... 문제는 그 총체성을 담보하기에는 나의 역사적 지식
과 인식이 너무 모자라다는 점이다. 그러니 이러한 푸념이 그저 푸념으로 끝날 수도 있겠다.

이 소설을 읽다가 문득 다시 다이오우잉의 '사람아 아 사람아' 나 '시인의 죽음' 간절하게 생각
나는 이유가 뭘까... 난 무엇을 기대하는 것일까?

더구나 발자크로 표상되는 서양 문명과 중국의 문맹을 극적으로 대비하는 점에서는 또 다른 오리
엔탈리즘의 혐의까지 두어야 했다. 결국 이 소설은 중국인의 시선이 아닌 서양인의 시선으로 본
문화대혁명의 소소한 일화들이며, 거기에는 암묵적으로 서양문화에 대한 우월함이 스며있다.
이 점에서 다이오우잉이 문제를 제기했던 것과는 상당하게 차이를 느끼게 만든다. 중국인이
바라본 혁명과 역사는 10대들의 단순한 치기로 웃음거리로 만들기에은 그 역사적 궤적이 가벼워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내가 가진 문제의식이다.  

문화대혁명에 대한 평가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그러나 지식인들의 고난이라는 선명한 주제는
문혁에 대한 이미지를 선점해 버렸다. 과연 말과 글을 선점한 지식인들의 기득권이 선명하게
나타나는 지점이 역시 문혁이 아닐까?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0-09-27 11: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27 15: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카스피 2010-09-28 22: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문혁이라..권력욕에 눈이 먼 모택동이 강청등과 합세에 일으킨 추잡한 권력투쟁의 산물이었지요.저는 위책을 읽지 않아서 잘 모르겠지만 문혁 자체로서만 놓고 본다면 이미 중국 공산당내부에서 모택동의 오류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하더군요.다만 국부로 추앙받는 모택동이기에 그 사실을 널리 공표하지 않고 공산당 내부에서 갈무리 한것 같습니다.(일본의 신문사에서 모택동사후 문혁을 추적한 책에서 읽은 기억이 나네요)
문혁을 통해서 모택동이 다시 권력을 잡으니 모택동과 그 일파는 좋았을지 모르지만 당시 많은 인민들이 삶이 많이 피폐해졌으니 결국은 실패한 것이 아니었나 싶군요^^

머큐리 2010-09-29 08:38   좋아요 0 | URL
카스피님의 평가가 아마도 주류의 평가일 듯 합니다. 다만, 그렇게 간단하게 보기에는 문혁의 역사적 사상적 배경이 단순하지는 않다고 생각이 들어요. 거기에 대한 역사적 연구도 부족한 형편이고...앞으로 많이 고찰해야 할 역사적 과제가 아닌가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