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크레이지 - The Crazies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스릴러 영화다. 뭔가 오싹하면서 지속적으로 긴장을 고조시키는...
재앙에 대한 영화들은 많다. 인류의 암울한 미래를 예견하는 재앙영화들을 굳이 나눠보면,
크게는 천재지변으로 인한 재앙 (2012, 투머로우 등) 과 인간의 탐욕과 욕심으로 인한 재앙
으로 나눌 수 있을 것 같다.
물론, 이 영화의 장점(?)이라고 할 것은 재앙을 통한 무차별 살인을 형상화 하여 좀더 섬찟
한 상황들을 그려내고 있다는 점에서 영화를 보는 내내 불편함과 더불어 찜찜함을 감수 해
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장점이 되는 이유는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는 정보의 통제와 권력
의 만행이 심리적 불편함의 밑바닥에 있는 실체라는 점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영화의 시작과 끝은 극단적으로 대비된다. 평화로운 시골 풍경과 편안한 컨트리 음악에서
시작하는 영화는 화염과 함께 종막을 구성한다. 그 시작과 끝의 사이에 무엇이 있는가?
정체모를 화학약품과 그 약품에 노출되어 미쳐가는 사람과 그것을 방지하기 위한 권력의
무자비한 통제와 민간인 제거 그리고 거기서 벗어나기 위해 몸부림치며 생존을 향해 투쟁
하는 주인공...그리고 또 반복...
'나비와 전사'를 읽다 보니 근대에서 질병은 바이러스를 제거함으로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이
있다고 한다. 때문에 청결과 위생이 개인적 덕목으로 자리잡았고, 그로인한 전염병의 확산을
방지했다고 할 수 있다. 모든 질병의 원인을 외부의 바이러스에서 찿는 근대의 시선은 이 영
화에서도 날 것으로 드러난다. 보이지 않는 어떤 화학적 작용이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고 노출
된 사람은 미쳐서 주변 사람들을 공격하고... 이로서 공동체는 무너져 내리게 된다.
문제는 그 외부적 작용이 자연의 돌연변이로 생긴 것이 아닌 국가의 정책집행과정에서 발생한
사고이며, 그 사고를 무마하기 위한 국가의 조치는 사고 지역 인구의 말살과 사고지역의
소거라는 점이다.
원래 삐딱해서 그런지...공포영화를 보면서도 현실과 겹쳐지는 부분이 자꾸 상상이 된다.
권력의 눈에는 언제나 주변으로 몰려 타자화되는 사람들이 마치 이 영화에서 자신도 모르게
감염되어 죽음으로 이를 수 밖에 없는 사람들과 겹쳐보이는 것이다.
어쩌면, 홉스가 말한 '자연상태' 속에서의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은 권력이 없기 때문이
아니라 권력이 조직화 되면서 발생하는 극히 사회적인 현상이 아닐까?
여전히 권력의 실체는 보이지 않는다. 누구의 지시로 누가 시행하는지 보이지는 않지만
그 시행의 효과는 분명하다. 점점 미쳐가는 사람들, 그 사람들로 부터 다른 사람들을 지키
기위한 명분으로 감염된 사람들을 처단하는 권력, 그 양자로 부터 도망다녀야 하는 주인공
의 처절한 분투기로 읽히는 이 영화는 그냥 이 사회의 축소판을 뿐이다.
피와 살점이 튀기지는 않아도... 일상에서 피튀기는 삶을 살아야 하는 사회의 자화상이다.
그리고 공포는 용산에서 천안함에서 영화처럼 재현되고 반복된다.
물론 진실은 영화와 마찬가지로 어디서도 드러나지 않는다. 앵무새같은 언론의 지껄임을
우리는 진실이라 하지 않듯이 모든 거짓이 진실이 되는 세상에 살고 있는 것이다.
다만 진실은 사람들이 죽어 간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