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폐전쟁 ㅣ 화폐전쟁 1
쑹훙빙 지음, 차혜정 옮김, 박한진 감수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경우, 바로 앞서 읽었던 빌더버그 클럽의 연장선에서 기축통화인 달러를 움직이는 실제세력과 미연방준비위원회의 실상 그리고, 이들의 공격으로 순식간에 평생 쌓아올렸던 재산을 몰수 당하는 것을 로스차이들 가문을 중심으로 금융재벌의 음모에 관해 상세하게 써내려간 책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미연방준비위원회가 민간기업이며, 미정부의 국채를 담보로 해서 달러를 발행한다는 사실이 내게 무척 놀라웠다. 물론 미연방준비위원회가 민간기업인 것은 알았지만, 그 달러 발행의 담보가 미국국민이 내고 있고 미래에 낼 세금을 기축으로 움직인다는 사실이 무척이나 놀라웠다. 그리고 금은 기축 통화제에서 신용을 통한 화폐발행을 전환시키기 위해서 미국 대통령의 암살을 지휘한 음모세력은 참으로 놀라웠다. 링컨의 그린백 발행 그리고 금통화위원회 설치를 명령한 레이건 그리고, 이들 음모세력과 적대관계에 있었던 케네디 등등 미국 대통령의 암살은 이 들 금융재벌과의 권력싸움에서 비롯되었다는 저자의 지적은 충격 그 자체였다. 그리고 워터케이트를 발표한 워싱턴 포스트의 경우 이 들 금융재벌의 하수인에 불과하며 아직도 워터게이트는 모호한 사건으로서 대통령의 탄핵으로 갈 수 없는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매스컴 및 학계를 장악 - 신자유주의 온상인 시카코 대학이 록펠러 재단의 소유가 이를 반증한다 - 한 이들 금유재벌은 자신들의 이익에 반하는 경우, 미국 대통령이라 하더라도 제거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음에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조지 오웰이 말한 빅브라더는 우리를 통제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두려움이 든다.
더불어서, 인플레이션을 당연한 것으로 알고 있었던 나에게 금은 기축으로 통화의 경우, 영국의 파운드는 200년동안 그 구매력은 떨어지지 않은 것을 비롯하여 다른 유렵 화폐의 구매력 유지는 충격 그 자체였다. 1971년 브레튼우즈 회의 이후 달러의 구매력이 30년 만에 97% 떨어진 것과 비교할 때 더더욱 그랬다.
저자의 경우, 화폐는 법정불환지폐(flat money)와 비채무지폐(금은화폐)로 나뉘며 중국 위안의 경우, 금은 비축량을 늘리고 이를 통한 통화 정책을 시행해야만 자본시장 개방에 맞설수 있다고 말하고 있으며, 그 반면교사로 삼은 것이 일본과 1997년 IMF시기 때 아시아의 위기를 들고 있다.
저자는 일본의 장기 불황은 금융재벌이 주로 쓰는 양털깍기 수법으로 자본의 유동성을 확대하여 정점에 이루는 순간 현금의 유동성을 긴축하여 거저 헐값에 무수한 자산을 사들여 되파는 행위는 통해서 막대한 재원을 해당 국민으로부터 빼앗아 가는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니케이 선물 풋 옵션을 들고 있다. 이 대목에서 론스타가 한국에서 저지른 행위가 생각나 많이 동감이 되었다.
그러나, 저자의 경우, 345 ~ 348P 에 걸쳐서 이들 금융재벌의 공격이 한국국민의 민족적 정서에 밀려 실패했다고 보는 점에서는 한국 실정에 대해서 잘모르는 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과 더불어서 이 책이 설명하고 있는 다른 일들이 당의성 혹은 진실성에 약간의 의문은 들었다.
어째든, 미국의 신자유주의에 미친 이명박의 경우 상기 책을 좀 읽어보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과 더불어 언제 직장에서 짤릴지 모르는 말단 직원으로서 어떻게 남은 생애를 준비를 해야할까 하는 계기를 준 책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