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드 Googled - 우리가 알던 세상의 종말
켄 올레타 지음, 김우열 옮김 / 타임비즈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아이폰의 기본 검색 프로그램로서 그리고 아이폰 대항마로서 안드로이드 폰 프로그램 제공자로서 세계 최고의 검색엔진이자 인터넷 광고의 최강자인 구글의 탄생부터 발전과정을 일목요연하게 설명하고 있는 책이지만, 끝에 갈수록 그들이 내놓은 기술의 무서움이 느껴지는 것은 나만의 생각일까? 예를 들어 구글에서 내서재 혹은 내 이름을 쳐서 올아와있는 인터넷 페이지를 몇 번 본 적이 있는데 소름이 화악 끼쳤다.  

   이 거대한 제국이 나의 일상생활 아닌 모든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지배할 "빅 브라더"가 되리라 충분히 예상되며, 거기에 빠져 나올 수 없음에 무기력이 느껴진다. 사놓고 1년만에 읽어서 그런지 좀 더 일찍이 읽지 못했나하는 반성을 해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좌절하지 않는 한 꿈은 이루어진다 - 열정의 승부사, 이나모리 가즈오의 삶과 경영 이야기
이나모리 가즈오 지음, 홍성민 옮김 / 더난출판사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왜만하면, 이나모리 가즈오가 쓴 책은 거의 다 구입해서 읽는 편이긴 하지만, 이제는 그의 이야기가 식상해져 오는 것은 왜일까? 그가 지방대에다 아무런 연고 없이 지금의 기업을 일으킨 것은 맞기 하지만, 그것이 좌절하지 않고 노력했기 때문일까에 대해서는 글쎄라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어쩌면, 자신의 집을 담보로 투자해 줄 수 있는 지인과 동료 - 물론 이것이 그의 능력이라고도 볼 수 있지만 - 가 있었기 때문이지 않을까? 그리고 시대적 요청사항과 맞아떨어진 면도 있고.. 

   이재는 그의 책을 사보지 않아도 될 것 같다. 했던 얘기를 계속해서 보니 조금은 식상해져 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싸우는 조직 - 괴물 CEO 와타나베 미키의 질책 경영법
와타나베 미키 지음, 양영철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와타미라는 기업을 일으킨 창업주로서 물러난다는 것이 쉽지 않을텐데 물러난 그 용기와 부하직원을 애정을 가지고 질책하라는 구절만 생각나는 책...나도 부하직원이 많지만, 이게 그리 쉬운 것이 아니더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왜 구글인가 - 마이크로소프트도 애플도 아닌
마키노 다케후미 지음, 정정일 옮김 / 한빛비즈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요근래 뜨는 용어로 프리 경제학이란 것이 있는데 그것을 잘 실천에 옮겨가는 것이 바로 구글이 아닌가 싶다. 나도 구글을 이용하고 있고 특히 아이폰 사용이후 네이버나 한국 야후보다 더 많이 애용해 가고 있지만, 왜 구글을 거의 모든 소프트웨어를 공짜로 개방하는 것일까하는 의문에 상기 책은 일목요연하게 설명을 해주고 있으며, 그 공짜라는 독에 중독이 될수록 구글의 이익이 늘어나는 구조는 참으로 코가 막히고 기막힌 전략이 아닌가 싶다. 

   구글드(Googled)라는 책을 사놓고 조금 읽다가 방치해났는데 다시 처음부터 다시 읽어봐야 겠다라는 다짐을 해보게 된다. 일목요연하게 논리를 전개하는 저자의 필력이 조금 새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한민국 불공정 경제학 - 당신이 절대 모르는 경제기사의 비밀
김진철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언론 사업 자체가 기업으로서 속성과 여론을 주도하는 속성의 이중성으로 인해 모순을 범할 수 밖에 없으며, 거기에 근무하는 기자들의 속성과 일상에서 제대로 된 기사가 나 올 수 없다면, 결구, 이는 독자가 행간을 읽으면서 판단하라는 얘기인데 그마한 독자가 되기가 그리 쉬울까? 

   기자들이 쓰는 기사를 비판적으로 보라는 얘기에는 동감하나, 원천적으로 기사가 통제되는 경우, 예를 들면, IMF시절에 IMF가 내린 판단은 무리한 것이라는 기사를 어떻게 한국내에 통용되는 언론에서는 보지 못하고 외국 언론에서 보았던 기억이 있는데, 그런 경우, 일반 독자가 비판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 든다. 결국, 우리나라 신문을 보는 것이 아닌 외국신문(영어, 일어, 불어, 독일어)이나 잡지를 통해서 봐야 한다라는 얘기인데 그만한 식견이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과 후배들중에 기자하는 애들도 많고 그들이 처음 사회에 나갈 때 너 왜 기자 될려고 하냐? 물어보면 대다수가 돈 많이 벌어볼려고요..얘기가 대다수였고 아는 지인중에 문화팀 기자의 경우, 우리나라 대다수 출판사에서 광고성 기사를 실어 달라고 신간과 돈이 오가는 것을 보았으며, 나아가서 현 직장에서는 특종을 위해서 뻔한 거짓말과 약속을 파기하는 기자들을 겪고 나니 기자에 대해서는 혐오감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물론, 다수의 기자가 그런 것은 아니겠지만, 어찌 내가 다수의 기자를 만나리오!!!  

    이 책은 불공정 경제학을 얘기하면서 기자들을 이해해달라고 밖에 읽히지 않는 것은 나만의 착각 아니 피해망상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