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홍구의 글에 반대했으면서 제목은 그 글을 따라서 지었습니다. 그냥 좀 있어 보여서요...
이강돈(가명)이라는 친구가 있었다. 내가 보건원에서 근무할 때 만난 친구다. 안양에 살았고, 반지하였다. 언젠가 비가 좀 왔을 때, 그는 그날 하루종일 물을 퍼냈다고 한다.
연구자로서 그의 능력은 웬만한 교수보다 나았다. 나같은 놈과는 비교조차 할 수 없다. 그는 정말 열심히 일했다. 낡은 차를 몰고 매일 새벽같이 출근했고, 일을 하느라 밤을 샌 건 부지기수다.
그에겐 애가 둘 있었다. 그의 부인은 학습지 교사 일을 했다. 그렇게 벌어도 그는 늘 가난했다. 60만원의 월급을 받으면서도 유유자적했던 나와 달리, 그는 돈 천원에 벌벌 떨었다. 그런 그가 신호위반으로 딱지를 뗀 적이 있다. 3만원인가 하는 벌금을 내느라 그는 "석달 동안 진짜 힘들었다"고 했다. 나는 그가 측은했다. 거기서 3년만 개기면 다른 삶이 펼쳐질 나와 달리, 그는 계속 그런 생활을 해야 했으니까. 한번은 내가 무심코 실언을 했다. "난 공무원이 적성에 안맞아."라고 했던 것. 그가 대답했다. "나도 싫어. 다른 대안이 없으니까 하는 거지."
초과근무수당에 관한 비리 기사를 봤을 때, 내 머리에 떠오른 건 이강돈이었다. 출장비를 아껴서 분유값에 보탠다는 그에게 초과근무수당은 어떤 의미였을까? 공무원 하면 제때 나오는 월급을 받으며 복지부동을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대부분의 하급 공무원들은 다 강돈이처럼 살고 있을 거다. 내가 공무원들의 구조적 비리를 무작정 비난할 수 없었던 건, 지금은 뭘 하는지 모를 강돈이 때문이었다.
젊은 시절, 최소한 공보의로 보건원에 근무할 때만큼은 나 역시도 우리의 세금인 초과근무수당이 그네들에게 흘러들어가는 것에 비판적이었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그리고 그 과정에서 정의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산산히 부서지는 모습들을 보면서, 그나마 남아 있던 정의감은 점차 엷어졌다. 악인지 선인지 헷갈릴 잭 스페로우 해적처럼, 세상에는 절대적인 악도 선도 없다고 생각하게 됐다. 결국 난 비리 공무원을 옹호하는 사람이 됐다. 내 글에 대해 분노하는 알라딘 분들의 의견에도 십분 공감한다. 내가 알라딘 내부 사람이 아니었다면 분노의 수위는 훨씬 더 높았을 거다.
나이가 들었다고 해서 다 나처럼 머리가 흐리멍텅해지는 건 아닐 것이다. 문정현, 문규현 신부님은 그 연배에도 치열하게 세상과 싸우고 계시다. FTA 반대를 위해 애쓰시는 가을산님이나 늘 삶의 지표가 되어 주시는 파란여우님을 보면 이렇게 비리공무원을 옹호하는 사람이 돼버린 게 부끄럽다.
그러고보니 얼마 전 경부운하를 비판하는 글을 올린 파란여우님에게 이런 댓글을 남긴 기억이 난다. "그러니까 차라리 박근혜가 낫지 않나요?" 여우님은 기가 막혔는지 이렇게 날 훈계했다. "공주님보다는 차라리 제가 낫지 않나요? 헐헐."
세상 일에 이해못할 일도, 절대악도 없다고 믿으며, 어떻게 되든지 젠장 세상은 굴러간다고 믿게 된 나에 비해 파란여우님은 아직도 소녀같다. 그분은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 왜 나만 이렇게 타락한 걸까? 한가지 분명한 건 나처럼 나이들어선 안된다는 것. 나이가 든다고 다 나처럼 된다면, 우리 사회엔 희망이 없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