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청 공무원들이 5년간 초과근무수당을 333억원이나 챙겼단다. 사람들은 일단 그 액수에 놀라고, 정신을 차리고 난 뒤엔 공무원들을 비난한다. 공무원 하면 복지부동을 떠올리는 사람이라면 분노의 수위는 더 높아지리라. 전원이 밤 12시까지 근무한 걸로 속이고, 지문으로 출퇴근 기록을 관리한 이후엔 "추리닝과 쓰레빠 차림으로 다시 나와 퇴근 기록을 남"겼다고 하니 정말 가관이다. 김소희 기자는 시네21에 실은 글을 다음과 같이 끝맺었다.
"이참에 나도 밤에 꿈속에서 기사 쓸 궁리한다고 주장해, 24시간 근무한 걸로 인정해달라고 회사에 얘기해볼까 싶다."
근무도 안해놓고 초과수당을 챙기는 게 괘씸하긴 하다. 하지만 난 조금 다른 시각으로 보고 싶다. 초과근무수당은 공무원들 입장에선 봉급의 일부였다. 물가를 잡는 게 경제의 가장 큰 목표이던 시절, 공무원 봉급은 언제나 '동결'이었다. 공무원에게 줄 돈을 인상하고 나면 물가를 한자리 숫자로 유지할 재간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공무원 연봉은 대기업에 비하면 60%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게 되었다. 불만의 소리가 높아지자 정부에선 편법으로 공무원들에게 소득을 보전해 줬는데, 그 수단 중 하나가 바로 초과근무수당이다.
96년부터 난 공무원들이 바글바글한 국립보건원에서 근무했다. 그곳이라고 다를 바가 없어, 거기 있는 모든 직원들은 다 밤 10시까지 근무한 것으로 조작을 했었다. 그거 말고 한 가지가 더 있었는데, 가지도 않는 출장을 갔다고 속여 출장비를 챙긴 거였다. 그래서 5급 대우였던 난 일년 중 거의 절반을 출장 간 걸로 적혀 있었는데, 어쩌다 한번씩 내사가 나오면 후다닥 도망치곤 했다.
이런 게 좋다는 얘기는 아니다. 하지만 이건 말하고 싶다. 공무원이 좋은 직장의 대명사가 된 게 과연 언제부터냐고. 1997년 외환위기 때 구조조정이 화두가 되면서, 안정성 면에서 조금 나은 공무원이 좋은 직업으로 인식되기 시작한 게 아니냐는 거다. 그 전까지 공무원 하면 떠오르는 단어는 '박봉'이었다. 그리고 그건 지금도 크게 다르지 않다. 공무원들은 국민의 세금으로 월급을 받는다는 이유만으로 평소 지나친 비판을 받고 있다. 그들이 더 잘해야 되는 건 맞지만, 너무 엄격한 잣대를 가지고 그들을 몰아부치는 게 아닐까 싶기도 하다.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논란의 여지는 있겠지만 이번 초과근무수당 파동에 있어서 내가 공무원들 편을 드는 이유는 거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