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보더 먼저 이 영화를 본 내 여동생 부부는 내게 이 영화 엄청 재미없다며 차라리 다른 영화를 보라고 말했다. 그러나 나는 원래 영화든 책이든 다른 사람의 평가에 신경쓰지 않고 내 마음대로 보는 사람. 그러든가 말든가 이 영화를 보러갔다. 주변에 이 영화 재미없다는 사람들이 좀 있었는데, 뭐랄까, 그 말 듣자마자 어쩐지 나는 이 영화를 좋아할 것 같은 미친 예감 같은게 생기는거다. 아니나다를까, 나는 영화 보면서 너무 신나가지고 옆자리 친구에게 귓속말을 했다.
완전 재밌는데? 나 좋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라고. 물론, 잭 리처라는 인물에 대해서는 뭐랄까, 지나치게 잘 만들어졌다는 생각이 들긴 한다. 뭘 그렇게 다 잘해. 기억력도 세계최강이고 액션도 따블로 최강이야. 육군헌병으로 근무했으면 이게 가능한거야? 아니, 세상에 정말 이런 인간이 존재하긴 하는거야? 영화니까, 책이니까 가능한..거겠지? 게다가 마지막의 사격은 억지스럽게 잘 쏜 부분도 있다. 아무리 대단한 인간이라도 그렇지 어떻게 보이지도 않는 사람을 그렇게........흥.
책이 원작이라는건 알고 있었지만, 나는 시리즈에 빠지고 싶지 않은 사람, 게다가 뭐, 액션이니까 굳이 책을 읽을 필요는 없겠지, 했었는데. 헐. 웬걸. 엄청 책이 보고싶어지는거다! 특히 사격장 주인 할배가 잭을 도와주러 오는 장면이 되게 책으로 궁금한거다. 그 장면이 문학적으로 완성도가 뛰어날 것 같다는 생각이 들면서, 나는 책에서 그 장면을 읽을 때 너무 좋아서 꾹꾹 마음에 새기게 되지 않을까 싶은거다. 그 장면이 아주아주 문학적이었다. 문학적이란 말로 설명이 될지 모르겠지만, 여튼 나는 느끼는 뭐 그런 문학적 느낌 같은거다.
잭 리처가 관객에게(책에서라면 독자에게) 던지는 질문은 아마 같을것이다. 나쁜 죄를 저지른 죄인을 '개인적으로' 처벌하는 것이 옳은가 아닌가 하는점. 이 점에 대해서라면 나는 섣불리 어느 한쪽의 편이 될 수가 없다. 누군가 극심히 나쁜 죄를 저질렀다면, 나는 물론 그 사람이 그 죄에 대한 벌을 받기를 바란다. 덱스터가 특히나 아동연쇄살인범을 죽일때는 그를 말리고 싶지가 않다. 그렇지만 개인적으로 처벌하는게 '옳은'것일까? 잘 모르겠다. 세상은 이미 옳은일로만 이루어져 있는게 아니고, 옳은거 생각하다가 지지부진 피해자만 더 늘어날 수 있을지도 모르니까. 합법적으로 처벌 받는 것이 '정의'에 가깝게 느껴지지만, 만약 그 범죄자가 돈도 많고 힘도 센 사람이라면, 마땅한 처벌을 받지 않을지도 모른다. 법망을 피해갈 수도 있다. 죄의 본질은 같되, 사람에 따라 그것이 달리 적용된다면, 어차피 '법에 의한 처벌' 이 의미를 상실하지 않나. 아무리아무리아무리아무리 생각해봐도 여기에 대해서는 글쎄, 확실한 결론을 내릴 수가 없다, 나는.
그나저나, 어디보자, 어떤 책을 먼저 사야되나?
아니, 뭐가 이렇게 많어? ㅠㅠ 그리고 뭐가 먼저인거야? 책 소개 죄다 읽어봐야겠네. ㅠㅠ
그런데 영화를 보면서 대체 왜저럴까, 궁금했던게 있는데, 극중 잭 리처 그러니까 탐 크루즈가 극중 여자변호사 헬렌과 이야기할 때, 대체 왜 그렇게 얼굴과 얼굴을 그토록 가까이 대고 얘기하는걸까? 조마조마해서 볼 수가 있어야지. 업무적인 얘기만 하면서 어쩜 그렇게 얼굴을 가까이 대고 얘기하지? 대체 어쩌라고? 만약 내가 탐 크루즈랑 그렇게 가까이 얼굴을 맞대고 얘기해야 하는 상황이었다면, 그게 업무적인 얘기든 뭐든, 아마도 정신을 못차렸을것 같다. 내가 무슨 말을 하는지 알지도 못하면서 하게 됐을듯. 그리고 탐 크루즈를 보다가 남자사람1이 생각났다. 아, 뭔가 닮았어, 라고. ㅋㅋㅋㅋㅋㅋㅋㅋ 당신 탐 크루즈 닮았다고 메세지라도 하나 보내려다가 관뒀다. 자뻑..에 빠질까봐. ( ")
그러니까 생각나는데, 어제 극장으로 향하는 지하철 안. 퇴근 무렵이라 사람이 무척 많았다. 바로 내 뒤에서는 한 남자가 전화통화중이었는데 상대에게 묻고 있었다. "어디세요?" 라고. 그 말투와 목소리가 무척 다정하게 들려서 뭔가 하얀 얼굴의 미소년이 떠오르면서 너무 돌아보고 싶은거다. 너무 궁금해. 이어지는 대화들을 들으면서도, 이 보들보들한 대화라니, 나에게 얘기하는게 아닌데도 기분이 좋아, 돌아보면 실례겠지, 그런데 아, 너무나 돌아보고 싶다. 나는 결국 참지 못하고 뒤를 돌아 통화중인 그 보들보들할것 같은 남자를 보았고, 거기에서 내가 발견한건 콧수염을 기른 ........그만하자. 어쨌든 마무리는 탐..이었으니까. 그나저나, 새삼 다짐했다. 절대, 결코, 목소리만으로 사랑에 빠지는 일은 없도록 하자, 고.
어제 사무실에서 오후에 배가 고파 몽쉘통통을 먹으면서, 그리고 다 먹은후 그것의 포장봉투를 버리면서, 나는 문득 생각했다. 아, 나 또 쓰레기를 만들어버렸구나. 또 만들어냈어. 업무상 몇 가지의 서류를 파기하면서, 타부서의 동료가 사다 준 커피의 컵을 버리면서, 배달된 점심 도시락의 케이스를 버리면서 나는 계속 생각했다. 내가, 쓰레기를, 또, 만들어냈어.
나는 사무실에서 종이컵대신 머그컵을 사용하고, 분리수거를 가급적 잘 하기 위해 노력한다. 마트나 빵집엔 장바구니를 들고 가고, 장바구니를 들고 가지 않았을 때는 내 가방에 쑤셔 넣는다. 그렇다고 내가 지구를 보호하자 라든가 환경파괴가 웬말이냐 등의 거창한 목적의식을 가진 사람은 아니었다. 카페에 가서 머그컵에 커피를 달라고 하면서도, 그건 그냥 내가 할 수 있는건 여기까지 이기 때문에, 이게 내가할 수 있는 전부이기 때문에 그렇게 했을 뿐이었다.
그런데 '김선우'의 이 책, 『물의 연인들』을 읽고 나서는 자꾸 쓰레기에 대해 생각해보게 됐다. 정확하게는 이 책이 아니라, 이 책의 뒷편에 실린 '문학평론가 정여울'의 해설 때문이었다.
나는 일주일에 한두 번씩 쓰레기를 모아 버릴 때마다 심한 죄책감을 느낀다. 단출한 살림인데도, 왜 이렇게 많은 쓰레기가 나오는 것일까. 음식물 쓰레기를 보며 가장 심한 죄책감을 느끼고, 수많은 종이 박스나 비닐봉지들을 보며 '도대체 왜 이토록 많은 것을 사야 했을까' 돌이켜 본다. '쓰레기를 버리러 이 세상에 태어났나' 싶을 정도로, 그 순간은 정말 문명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자체에 비애를 느낀다. 그런데 이렇게 열심히 반성을 한 후에도, 그다음 주 쓰레기의 분량은 그다지 줄지 않는 것 같다. 최소한의 상품을 소비하려고 노력해도, 우리는 결코 쓰레기를 버리는 삶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없을 것 같다. 그런데 문득, 이 쓰레기들의 대부분이 상품 그 자체가 아니라 상품을 '포장하는 것'임을 깨닫는다. 우리가 각종 포장지, 상자, 플라스틱 봉지, 종이봉투만이라도 줄일 수 있다면, 그럴 수 있다면 우리는 지구를 향한 죄책감을 조금이라도 덜 수 있지 않을까. (정여울의 작품 해설 부분, pp.265-266)
내겐 이 작품 해설이 책의 본문보다 더 강하게 다가왔다. 나는 지구에 대해서 그다지 죄책감을 느끼며 살아온게 아닌것 같았는데, 지금은 쓰레기를 버릴 때마다 죄책감이 생긴다. 계속 쓰레기를 버리면서, 그럴거면서, 자꾸 버리고나서 또 버렸네, 하게 되는거다. 쓰레기를 버릴때마다 물의 연인들이 생각난다. 또 쓰레기를 버렸어, 하고.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걸까.
며칠전에 다시 산 김이듬 시인의 시집을 또 다른 사람에게 선물로 주어서 내게 없다. 또다시 사야겠다. 김이듬의 시집만 벌써 세번째 산다. 이번 겨울이 가기전에 겨울 휴관을 외워야지.
그런데 울집 근처엔 국대떡볶이가 없는것 같은데...(이건 딴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