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들은 길 위에서 자란다
김선미 지음 / 마고북스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으로 여행관련서를 읽은 듯하다. 여행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던 나로서는 굳이 그런 책들을 읽을 필요가 없었거니와, 그것외에 읽어야 할 것들이 더 많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 책 <<아이들은 길 위에서 자란다>>라는 책도 나와 인연을 맺기에는 참 어려웠을 듯하다. 이 책도 하나의 상업적전략으로 인해 여름휴가철에 때맞춰 출간되었고, 이 곳 알라딘에서 홍보차원의 서평단을 모집, 거기에 덜컥 당첨이 인연을 맺게된 것이다. 그렇지 않았다면, 나의 관심은 이 책과는 너무 먼 곳에 계속 있었을 터였다.
여행을 좋아하지 않는 나의 성격은 우선 귀차니즘에서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몸을 움직이기 싫어하는 성격탓에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구경하는 것을 그리 즐기지 않는다. 내가 사는 인천만해도 한 10여년을 살았으나 살고 일하는 곳 외에 다른 곳엘 가본 적이 많지 않을 정도이니, 어디 몇 날을 잡아 먼 곳으로 가는 진짜 '여행'은 크게 생각해보지 않았고, 또한 실행해 본 기억도 없다. 멀리 떠나봐야 명절에 시골집 내려가는 정도인데, 그것도 고속도로를 타고 훌쩍 갔다가 훌쩍 올라오는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귀차니즘과 함께 소극적이고 내성적인 성격도 어쩌면 이 여행을 기피했는지 모른다. 낯선 곳에 가서 낯선 사람들을 만나고, 매번 기쁘고 즐거울 수만은 없는 여행 이면의 많은 어려움들을 나는 두려워 하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그리하여 내 기억속의 여행은 전무에 가깝다. 아! 이것은 지금의 나 - 이 책을 읽고 난 후의 나 - 를 부끄럽게 하고 있다.
이 책 <<아이들은 길 위에서 자란다>>는 우선 기행문이다. 엄마와 두 딸의 여행. 3모녀의 여행은 그저그런 여행이 아니어서 특별하다. 거반 보름간의 여행, 그것도 매번 야영을 해가며 숙식을 해결하고,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는 어쩌면 위험천만한 여행이었다. 어머 어떻게 그럴수가! 라는 감탄을 우선 동반하게 한다. 그러나 그들은 이 감탄을 대단함에 대한 극찬으로 바꾸어 놓는다. 그들은 아주 잘 이 여행을 완성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엄마는 사직을 각오하고 한달간의 휴직계를 낸다. 그리고 여행을 계획한다. 여행을 실행에 옮기기까지의 여러가지 문제와 고민하지만, 결국 여행에 돌입하고, 3모녀가 14일간의 3번국도를 따라가 제주도와 마라도까지의 여행을 시작한다. 여행에서의 즐거움, 우여곡절, 여행중에 일어나는 엄마와 딸들간의 티격태격 등 그야말로 흥미진진 읽게하는 기행문으로써 많은 사람들에게 도전을 주고 있다. 나 또한 그 도전을 받았으니 말이다.
이 책은 기행문이면서도 살아있는 교육론이라고도 생각이 된다. 제목을 보면 보다 뚜렷해진다. "아이들은 길 위에서 자란다." 내가 간혹 한자시험과 관련된 일을 하다보면, 요즘 엄마들의 극성은 아이들을 자라지 못하게 하는 듯하다. 아직 유치원, 초등학교 1, 2학년 정도의 어린 나이에 벌써부터 시험에 억매이게 하는 엄마들은 극성은 자칫 아이들의 올바른 성장과 성숙을 저해하지 않을까? 그러나 이 책의 저자인 이 엄마는 아이들의 그렇게 자라고 성공하길 바라지 않는다. 살아 쉼쉬는 길 위에서, 자연과 세계 속에서 그것을 경험하고 그것을 통해서 성숙하고 성장하는, 바로 길 위에서 자라게 하려는 엄마의 교육적 의지가 이 여행을 가능하게 한 것은 아닐까? 다만 염려되는 것은 우리나라의 엄마들이 이 책을 읽고 무작정 자식들을 끌고 나가지나 않을까 하는, 전국 도처에 여행학원이 생겨나고, 여행자격시험이 생겨나지 않을까하는 것이다.
이 책은 또한 자기성찰과 인간에 대한 철학을 담고 있다. 저자가 말하듯이 이 여행을 통해 자란것은 아이들만이 아닌 우선 자기자신이다. 인간을 자라게하고 성장하게 하는 것은 바로 '길 위'에서 이다. 세상속에서 자연속에서 그야말로 자연스럽게 세상을 이치를 배우는 것이다. 한층 성숙된 자아를 만들어 내는 것은 곧 실체로써의 세상일 것이기 때문이다. 만권의 책 속에서 보는 세상은 눈앞의 하나의 세상보다 못하다. 이런 통찰이 이 책에는 담겨있어, 흥미진진한 기행의 현장에 간접적이나마 동참하게 되는 즐거움과 동시에, 인문학적 성찰에서 오는 깨달음, 그것들이 어울려 이 책은 진한 감동으로 다가왔다.
이 감동에 내가 동하여 나는 주말과 광복절 사이에 낀 하루를 휴가내서 무작정 떠났다. 밤차를 타고 내가 있는 곳에서 가장 먼 곳의 하나의 경상도 울산엘 내려갔다. 무작정이라고는 하지만, 지인들이 있는 곳이기에 내려간 것이다. 거기에서 울산의 먼 바다를 바라다보며 내 안에 가둬두었던 무언가를 토해내고 싶어 어쩔줄을 몰랐다. 그러나 그것은 다음으로 미뤄두고 싶었다. 이 책을 덮으면서 나는 혼자만의 멀고 긴 여행을 생각해본다. 언제가 될지는 모르지만 나 또한 훌쩍 자라기 위해서는 "길 위"로 나가야한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 여행을 위한 지금부터라도 차근차근 계획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