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을 위한 약속 사회계약론 나의 고전 읽기 3
김성은 지음, 장 자크 루소 원작 / 미래엔아이세움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서양의 사상가 중에 우리에게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사상가는 누구일까? 몇 이름 건너지 않아 나올 이름 중에 하나가 바로 장 자크 루소일 것이다. 루소, 그 이름이 우리 학창시절을 아름답게 하지만은 않지만, 중요한 이름이었고, 그 중요도는 현대 사회의 다양한 측면에서 그의 사상의 유효함을 반증하고 있는 것임에 틀림없다. 나름 지금의 내게도 루소는 소홀할 수 없는 이름이다. 그가 남긴 저서 <<에밀>>때문이다. 교육학을 공부하는 이들에게 루소는 또한 큰 산이다.

  사실 많은 사람들이 루소를 알지만, 그의 저서를 읽어본 이는 얼마 되지 않는듯 하다. 나 또한 마찬가지이지만, 그의 대표적인 역작인 <<에밀>>이나, <<사회계약론>>, <인간 불평등 기원론> 등은 그 유명함에 비해 그리 썩 잘 읽히지 않는 것임에 분명하다. 굳이 그것을 읽지 않아도 시험보는데는 지장이 없으니 말이다. 교과서나 문제집에, 그리고 임용시험대비 교육학서적에 잘, 아주 잘 요약되어 설명되기 때문일 것이다. 중 고등학교 시절이나, 지금의 임용고시생인 지금에도 말이다.

  그러나, 이러한 루소에 대한 앎은, 사실 우리를 곤욕스럽게 할 뿐이다. 그의 교육사상을 요약하여 암기한다고 해도, 단지 소용이 다하면 지워져버릴 따름이다. 그의 사상이나 현대 사회에 미친 영향들을 단지 요약하여 암기하는 것에 그치는 우리의 루소 배우기는 그만큼 따분하고, 짜증날 뿐이다.

  루소는 방대한 양의 저서를 남겼다. 그의 저서를 모조리 읽어낼 이유는 없다. 그렇다고해도, 그의 중요한 저작들을 읽어내는 것은 루소를 배우는 가장 기본적 소양일 것이다. 적어도 <<에밀>>이나 <<사회계약론>> 등은 읽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이것을 단 몇 페이지에 도식화하여 암기한다는 것은 오히려 이 책 한 번 읽는 것보다 비효율적이다. 왜냐하면, 압축은 추상화를 낳고, 극도의 압축은 극도의 추상을 낳아, 사람들의 이해를 매우 곤란하게 한다. 그리고 그의 사상을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지 못하게 한다.

  그런데, 어떤 위대한 사상가의 저서를 읽어낸다는 것을 많은 사람들은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생각은 대부분 옳다.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을 읽어내는 것은 둘째치고, 그 서문만을 읽기에도 벅차다. 철학이나 사상가들의 저서는 현대인들에게 읽혀지기 매우 어려운 것임에 분명하지만, 다 그런 것은 아니다. 그것의 예가 바로 루소의 <<사회계약론>>이 아닐까 싶다.

  이번에 나온 이 책 <<인간을 위한 약속, 사회계약론>>은 이러한 오해에서 우리를 벗어나게 해 줄 것이 분명하다. 굳이 <<사회계약론>>에 입문서가 필요할 것은 없다고 생각되지만, 이 책이 입문서로써보다는 어려울 것이라는 오해와 편견에서 벗어나게 해줄수 있다는 데에 오히려 이 책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 책이 독자에게 <<사회계약론>>이나 <<에밀>>을 바로 집어들게 한다면, 이 책은 그것으로 목표를 다하고도 남은이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이 책은 거기에서 그치지는 않는다. 학술서로써는 모자란 점이 있지만, 일반인들에게 <<사회계약론>>에 대한 친절한 안내자 혹은 해설자로써도 훌륭하다. 고등학생들이 교과서에서 루소를 배우는 것보다, 더욱 쉽게 친절하게 설명되고 있다. 말하자면 두 가지 역할을 동시에 한다고 할 수 있다. 먼저 <<사회계약론>>으로 이끌어주는 역할과, <<사회계약론>>을 쉽게 이해하도록 하는 역할. 이 두가지 역할을 동시에 만족한다는 것에 이 책을 루소를 알고자 하는 이들에게 적극 추천할 만하다. 사실, 루소를 해설하는 많은 책들이 진정 루소의 저서보다 더 어렵다는 것을 인정한다면, 이 책이 오히려 더욱 진정한 루소 해설서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장점을 하나 더 들자. 이 책은 루소의 <<사회계약론>>의 현재적 의미, 현재적 유효성에 대한 큰 주제의 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지나간 과거의 사상으로써 추상적인 죽은 사상으로써가 아니라, 루소의 사상이 아직까지 어떻게 유효하고, 그것을 현재적 의미에서 어떻게 해석하고 이해해야 할까 하는 관점에서 서술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과거 18세기를 알지 못하고, 알 수도 없는 우리들에게 굉장히 효과적인 방법임에 틀림없는 것이다.

  이러한 이 책의 세 가지의 미덕은 이 책의 얇지 않은 두께가 놀라울 정도로 우리를 더욱 풍부한 루소의 세계로 안내해 주고 있다. 재밌게 읽을 수도 있는 책이다.

  지금 나는 <<사회계약론>>과 <<에밀>>을 주문하러 간다.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