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느 날 나는 흐린 酒店에 앉아 있을 거다 - 1998 제1회 백석문학상 수상작 ㅣ 문학과지성 시인선 220
황지우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8년 12월
평점 :
오늘 이 아침은 어제 저녁부터 내리기 시작한 장맛비가 추적추적 끈덕지게 내리는 ‘흐린 날’보다 더욱 축축한 날이다. 이런 날에는 「어느 날 나는 흐린 酒店에 앉아 있을 거다」라는 시를 읽는 것이 다소 모자람 있지만 제격이다.
그러므로, 어느 날 나는 흐린 酒店에 혼자 앉아 있을 것이다
완전히 늙어서 편안해진 가죽부대를 걸치고
등뒤로 시끄러운 잡담을 담담하게 들어주면서
먼 눈으로 술잔의 水位만을 아깝게 바라볼 것이다
「어느 날 나는 흐린 酒店에 앉아 있을 거다」 부분
내가 아직은 이런 감상에 젖을 나이는 아니다. 아직은 결혼도 하지 않았고, 그리하여 ‘초경을 막 시작한 딸아이’가 있는 것도 아니다. 게다가 나는 술도 잘 못한다. 아직까지 ‘술잔의 수위’가 줄어드는 데에 아까움을 느껴본 적은 없다. 하지만 왜일까? 이런 흐린 날에는 그래도 이 시가 마음에 동요를 일으키니 말이다. 그래서 시는 이중, 삼중, 다중의 의미를 지니는 것일까? 이 사람에게는 이렇게, 저 사람에게는 또한 저렇게. 그리하여 모든 이들의 공감을 이끌어 내는 것이 시의 목표라면 목표이다.
시집의 제목을 정하는 데 재미난 일화가 있단다. 정작 시인은 시집제목을 ‘等雨量線’으로 하려고 했는데, 책을 만드는 과정에서 편집자들이 상업적 전략을 발휘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쉽게 이해하면서도 공감과 관심을 불러일으킬만한 제목을 골랐으니 그게 바로 어느 날 나는 흐린 酒店에 앉아 있을 거다이다.
이 전략은 대성공을 거두어서 시집이 대박이 났단다. 원래 붙이려던 ‘등우량선’으로 했다면 아마도 쪽박을 찼을 거라는 안도의 한숨 속에 왠지 모를 아쉬움이 남아 있는 듯하다. 무슨 아쉬움이 남았을까? 그건 아마도 제목이 가지는 상징적 의미가 다만 상업전략에 치우쳐 무시될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오는 것이 아닐까? 제목이라는 것은 시집의 얼굴이 되고, 시집으로 엮인 시들의 전체적 맥락의 중심이 되는, 그리고 그 시들을 풀어내는데 열쇠가 되는 그런 의미를 담아내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 의미에서 시인은 시집의 제목을 ‘등우량선’이라 정했을 것이다. 그런데 그게 되질 않았으니, 시집은 많이 팔렸더라도 끝내 아쉬움은 남았으리라. 그 후에 시인은 이런 생각 품지 않았을까? ‘정말로 등우량선이라 했으면 팔리지 않았을까?’
그렇다면 시인은 왜 시집의 제목을 ‘등우량선’으로 하려고 했을까? 여기서 「등우량선」을 읽는 것이 필요하겠다. ‘等雨量線’이란 제목을 단 시는 모두 4편이 있는데, 이중 가중 짧은 「等雨量線 2」를 맛보도록 하자.
고르바초프가 사라지던 날
연기나는 地球儀; 머리에 깍지낀 손을 얹고
포로들은 이란 고원을 넘어가고,
이집트로 들어간 그때부터
대일파스만한 관광 엽서, 받았습니다.
이 인류를 위해 누군가 한 사람은
사막으로 나가봐야겠지요?
거기서 누군가가 울었습니까?
해가 람세스 신전으로 내려가고
그대가 보낸 北 아프리카의 붉은 밤;
덴 것처럼
그날 내내 내 얼굴이 후끈후끈했습니다.
피가 없는 평화를 원한다면
날 내버려두십시오.
나는 남조선, 선거 끝난 담벼락을
터덜터덜 지나왔습니다.
「等雨量線 2」 전문
‘등우량선’이란 기상도에서 같은 강우량의 지역을 선으로 이어그인 것을 말한다. 그렇다면 이 시는 왜 ‘등우량선’이란 제목을 달고 있을까? 얼핏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그렇다고 알아내려고 눈을 부릅뜨고 뚫어지게 쳐다볼 필요는 없다. 이 시는 부분적으로 다양한 사건들 상황들 지역들을 마구잡이로 섞어 놓았다. 아니 그것을 선으로 그어놓았다. 그렇다면 이것은 세상에 그어진 ‘등우량선’인 셈이다. 그 선으로 이어진 지역은 곳 같은 등급이라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고르바초프가 사라지던 날”은 “포로들은 이란 고원을 넘어가”던 날이다. 그리고 “대일파스만한 관광 엽서, 받”은 날이기도 하다. “나는 남조선, 선거 끝난 담벼락을/터덜터덜 지나”온 날인 것이다. 이런 것들은 어떻게 이해하여야 할까? 그것은 조금만 더 시집을 충실히 읽어내면 또 다른 시편들에서 찾아 낼 수도 있다.
아까 제목이 시집을 대표한다고 했는데 그런 의미에서 시집은 첫째 번으로 실리는 시도 그런 역할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오히려 시집 전체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제목보다 더욱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열쇠가 되기도 한다. 그렇다면 위의 시에서 나타나고 있는 서로 다른 것처럼 보이는 사건들을 동급으로 줄그어 놓은 시인의 의도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첫째번의 시를 읽어볼 필요가 있으리라.
논에 물 넣는 모내기 철이
눈에 봄을 가득 채운다
흙바닥에 깔린 크다란 물거울 끝에
늙은 농부님, 발 담그고 서 있는데
붉은 저녁빛이 斜線으로 들어가는 마을,
묽은 논물에 立體로 내려와 있다
아,
아직은 저기에 바깥이 있다
저 바깥에 봄이 자운영꽃에 지체하고 있을 때
내
몸이 아직 여기 있어
아름다운 요놈의 한세상을 알아본다
보릿대 냉갈 옮기는 담양 들녘을
노릿노릿한 늦은 봄날, 차 몰고 휙 지나간 거지만
「아직은 바깥이 있다」 전문
이 시에서 시인은 ‘바깥’을 말한다. 새삼스레 왜 ‘바깥’인가? ‘바깥’은 대립적 존재로써 ‘안’이 있다. 우리는 어쩌면 늘 ‘안’에서 사유하고 살아간다. 그러하기에 ‘바깥’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소외되고 잊혀진다. 그래서 시인의 ‘바깥’의 관한 사유는 새삼스러운 것이 된다. 안과 바깥은 대립적 사유에서는 ‘바깥’은 소외되지만, 이 시인의 ‘바깥’의 사유는 대립을 넘어 조화로, 조화를 넘어 지향으로써의 ‘바깥’이 된다. 그럴 때에 안과 밖의 경계는 무너지는 것이다.
또한 안과 밖은 이면대립이 아니다. 밖은 셀 수 없을 만큼 존재하고 있다. 우리의 인식범위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인식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 그런 의미에서 안과 밖은 다중대립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경계를 무너뜨리며 거기에 ‘등우량선’이 그어지게 된다. 바로 이것이다. 시인의 사유에서 등우량선은 이런 ‘바깥’에 대한 사유 속에서 그어지는 것이다.
그렇다면 「等雨量線 2」를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여지가 주어졌다. 내가 존재하는 곳과, 고르바초프가 사라지던 곳의 경계는 허물어지고, 그리고 저 멀리 소외되었던 포로들이 고원을 넘어가는 곳까지도 그 선은 놓치지 않는다. 무엇하나 놓쳐버리지 않고, 나와 같이, 나와 같은 의미에서 사유하고자 하는 것이 시인의 진실이 아니겠는가?
그런 면에서 이 시집의 제목은 ‘등우량선’이 되어야 했다. 시 「어느 날 나는 흐린 酒店에 앉아 있을 거다」는 이런 시인의 사유의 큰 틀에서 잠시 방황하고 주저했던 시기의 단편에 지나지 않으니, 시집의 제목으로써는 다소 부족한 감이 있으리라. 하지만 어떠랴? 이 시집을 엮고 있는 모든 시들이 어쩌면 등우량선으로 그어져 같은 등급의 시들인 것인지도 모를 일이니, 시인은 제목을 바꾸는 데에 그리 반대하지 않을 것 아니겠는가?
이 시집에서는 나는 좀 특별히 울컥한 대목이 있어 이걸 말하고 끝나야겠다.
아침에 일어나면 먼저, 어머님 문부터 열어본다.
어렸을 적에도 눈뜨자마자
엄니 코에 귀를 대보고 안도하곤 했었지만,
살았는지 죽었는지 아침마다 살며시 열어보는 문;
이 조마조마한 문지방에서
사랑은 도대체 어디까지 필사적인가?
당신은 똥싼 옷을 서랍장에 숨겨놓고
자신에서 아직 떠나지 않고 있는
생을 부끄러워하고 계셨다.
나를 이 세상에 밀어놓은 당신의 밑을
샤워기로 뿌려 씻긴 다음
흐트러진 머리카락을 빗겨드리니까
웬 꼬마 계집아이가 콧물 흘리며
얌전하게 보료 위에 앉아 계신다.
그 가벼움에 대해선 우리 말하지 말자.
「안부 1」 전문
화자의 어머니는 치매에 걸린 노인이거나 중풍을 맞은 환자이거나. 그런 어머니를 아들은 지극정성으로 보살핀다. 그런 아들의 마음은 곧 어머니의 마음과 등급을 이룬다. “그 가벼움에 대해선 우리 말하지 말자.”고 말하는 아들의 마음은 “생을 부끄러워하고 계”시는 어머님의 마음과 다르지 않다. 그리고 어머니는 때론 ‘꼬마 계집아기가’되기도 한다. 이것 또한 등급을 이룬다. 이런 등급 속에는 사랑이 있다. 이 시도 또 하나의 등우량선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시인의 바깥에 대한 사유는 결국 모든 것에 관심을 가지려는 조화와 사랑의 결과, 곧 ‘등우량선’으로 줄줄이 이어 결코 끊이질 않는 인연의 선을 만들어 놓았다. 황지우 시인의 사유 속에는 이런 기상도가 그려질지도 모를 일이다. 하나의 등우량선만으로 그려진 일기도말이다. 그게 이상한 것은 ‘안’의 삶과 사유 속에서일 따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