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실히 동양과 서양 사이의 경계선은 유럽측에 언제나 무엇인가를 인상지운 것이었다."(141쪽)

  '무엇인가를 인상지운 것'은 자기화 하는 것, 아니 자기 멋대로의 형상으로 그려내는 것이다. 그것을 이용가능하게끔 변형하고 왜곡시키는 것이다. 그리하여 동양은 언제나 유럽의 '사업'대상이 된다.

  "우리들이 아는 한 그들의 대부분은 '식민지의 개량을 촉진함과 동시에 자국의 지식을 높이고 예술을 향상시키는 것을 희망하여 아시아의 여러 학문과 예술을' 연구한다고 하는,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지녔다."(152쪽)

  이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이것은 '오리엔탈리즘의 공통된 목표'라고 사이드는 말한다. 나는 이렇게 이해하고자 한다. 자국은 곧 제국이며, 그 제국은 영국,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 네덜란드의 힘었으며, 그들의 지식은 침략과 약탈에 봉사하였다. 결국 오리엔탈리즘은 그들의 이익이 목표였던 것은 아닐까?

  "유럽인이 고전적 동양이라고 하는 과거로부터 끌어낸 것은, 자기를 위해서만 유리하게 작용시킬 수 있는 비전(및 수천 개의 사실과 인조물)이었다."(153쪽)

  결국 오리엔탈리즘은 유럽의 이익을 위한 사업이었다.

  "이집트에 대한 나폴레옹의 계획은, 연면히 계속된 유럽과 동양의 만남 속에서도, 오리엔탈리스트의 특수한 전문적 지식이 직접 기능적으로 식민지지배의 도구로써 이용된 최초의 보기가 되었다."(154쪽)

   "유럽의 중요한 오리엔탈리스트는 거의 모두 실베스트르 드 사시의 제자였고, 유럽에서는 어언 4분의 3세기에 걸쳐 그들이 이 분야를 지배했다."(159쪽)

  실베스트르 드 사시는 당시의 유일한 아라비아어 교사였단다. 동양을 지배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언어를 알아야 했던 것일까?

  "동양에 대한 서양세계 공통의 사명이 낳은 유산은 대대로 계승되어 새로운 프로젝트와 새로운 비전 그리고 새로운 사업이 되어 나타났으며, 그것들이 옛 동양의 남은 부분과 정복자로서 유럽정신을 결부시키게 될 것이었다. 그리고 나폴레옹 이후, 오리엔탈리즘이란 말 자체에 근본적인 변화가 생겼다. 오리엔탈리즘의 서술적 사실주의는 격상되었고, 더 이상 단순한 표상의 한 양식이 아니라 하나의 언어, 실제로 '창조'를 위한 수단으로 변했다."(166쪽)

  "수에즈 운하의 구상에는, 오리엔탈리즘적인 사고의 논리적인 귀결과, 더욱 흥미 깊은 것으로는 오리엔탈리즘적인 노력의 논리적인 귀결이 같이 나타난다."(173쪽)

 


 

  오랜만에 놓아두었던 <<오리엔탈리즘>>을 다시 읽었다. 오리엔탈리즘을 충실히 건설하였던 그 제국의 오리엔탈리스트들은 밤잠을 자지 않았을 것이고,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충실함을 다했을 것인데, 나는 오히려 그들만도 못하니 애석할 따름이다. 알지 못하고는 아직까지도 존재하고 있는 오리엔탈리즘과 그 수행자들을 이기지 못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