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自得’을 강조하는 寓言


  옛 성현들의 말씀에서 결국 가르침과 배움의 道는 ‘自得’으로 向한다고 할 수 있다. 김영 교수는 사제관계의 우언을 연구하면서 이와 같은 점을 이미 지적한 바 있다.1) “학생들에게 직접 정답을 가르쳐주기보다 학생들이 스스로 깨닫고 생각할 시간을 부여하며 침묵을 기다려주는 것이 학생들의 자존심과 창의성을 살려주는 교육방법”임을 󰡔列子󰡕의 우언 「관윤자의 가르침」을 통해 이끌어 내고 있다.

  이러한 ‘자득’을 강조하는 우언으로 姜希孟의 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도둑질이 직업인 사람이 있었다. 그는 아들에게 자신의 솜씨를 모두 가르쳐 주었다. 아들은 자신의 재능을 자부하여 자기가 아비보다 훨씬 낫다고 생각했다. 도둑질을 나가면 언제나 반드시 아들이 먼저 들어가고 나중에 나오며, 가벼운 것은 아비에게 맡기고 무거운 것을 들고 나왔다. 게다가 먼 곳에서 나는 소리까지 들을 수 있고, 어둠 속에서 사물을 분별하는 능력이 있어 도둑들 사이에서 선망의 대상이 되었다.

하루는 아비에게 자랑삼아서 말했다.

“제가 아버지의 솜씨보다 조금도 손색이 없고, 억센 힘은 오히려 나으니 이대로 나간다면 무엇은 못하겠습니까?”

“아직 멀었다. 지혜란 배워서 이르는데는 한계가 있는 법이어서 스스로 터득함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너는 아직 멀었다.”

“도둑이란 재물을 많이 얻는 것이 제일입니다. 저는 아버지보다 소득이 항상 배나 되고 나이도 아직 젊으니 아버지 나이가 되면 틀림없이 특별한 재주를 터득하게 될 것입니다.”

“그렇지 않다. 나의 방법을 그대로 따라하기만 해도 겹겹의 성에 들어갈 수 있고 깊이 감춘 물건을 찾아낼 수는 있다. 그러나 조금이라도 실수를 하면 화가 따른다. 아무런 단서도 남기지 않고 임기응변하여 거침이 없는 그런 수준은 어느 경지에 이른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것이다. 너는 아직 멀었다.”

그러나 아들은 아버지의 말을 건성으로 들어 넘겼다.

다음 날 밤 아비 도둑은 아들을 데리고 어느 부잣집에 들어갔다. 아들을 보물 창고 안으로 들어가게 하고는 아들이 보물을 챙기느라 정신이 없을 때쯤 밖에서 문을 닫고 자물쇠를 채운 다음 자물통을 흔들어 주인이 듣게 하였다. 주인이 달려와 쫓아가다가 돌아보니, 창고의 자물 쇠는 잠긴 채 그대로였다. 주인은 방으로 되돌아갔고, 아들 도둑은 창고 속에 갇힌 채 빠져나올 길이 없었다. 빠져나갈 방도를 궁리하던 아들 도둑은 마침내 손톱으로 박박 쥐가 문짝 긁는 소리를 냈다. 주인이 소리를 듣고 말했다.

“창고 속에 쥐가 들었군. 귀중한 물건들을 망치겠다. 쫓아버려야지.”

주인이 등불을 들고 나와 자물쇠를 열고 살펴보려는 순간, 아들 도둑이 쏜살같이 빠져 달아났다. 주인집 식구들이 모두 뛰어나와 뒤쫓았다. 아들 도둑은 더욱 다급해져서 벗어나지 못할 것을 알고는 연못가를 돌아 달아나다가 큰 돌을 들어 못 속으로 던졌다. 뒤쫓던 사람들이 말했다.

“도둑이 물 속으로 뛰어들었다.”

모두가 못가에 빙 둘러서서 찾았다. 아들 도둑은 그사이에 빠져나갔다.

집으로 돌아와 아비를 원망하여 말했다.

“새나 짐승도 제 새끼를 보호할 줄 아는데, 제가 무슨 잘못을 했다고 이렇게 욕을 보이십니까?”

그러자 아비 도둑이 말했다.

“이제 너는 천하의 독보적인 존재가 될 것이다. 사람의 기술이란 남에게서 배운 것은 한계가 있기 마련이지만, 스스로 터득한 것은 응용이 무궁한 법이다. 더구나 곤궁하고 어려운 일은 사람의 심지를 굳게 하고 솜씨를 원숙하게 만드는 법이다. 내가 너를 궁지로 몬 것은 너를 안전하게 하자는 것이고, 너를 위험에 빠뜨린 것은 너를 건져 주기 위한 것이다. 네가 창고에 갇히고 다급하게 쫓기는 일을 당하지 아니하였던들, 어떻게 쥐가 긁는 시늉과 돌을 던지는 기발한 꾀를 냈겠느냐. 너는 곤경을 겪으면서 지혜가 성숙해졌고 다급한 일을 당하면서 기발한 꾀를 냈다. 이제 지혜의 샘이 한번 트였으니 다시는 실수하지 않을 것이다. 너는 천하의 독보적인 존재가 될 것이다.”

그 후에 과연 아들은 천하제일 도둑이 되었다.2)


  이 우언은 현재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도 수록되어 있는 글이다.3) 이것은 강희맹이 아들을 훈계하기 위해서 지은 다섯 편의 글[訓子五說] 중의 하나로, “도둑질이란 세상에서 지극히 천하고 악한 기술이지만, 그것도 스스로 터득한 다음에야 비로소 세상에서 으뜸가는 존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하물며 學問의 길에 있어서야 더 말해 무엇 하겠느냐?”라고 반문하면서 ‘스스로 지혜를 터득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즉, ‘自得’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라 하겠다.

 

 


 

  • 1) 김영, 「군신 ․ 사제 관계 重言과 寓言」, 󰡔한국한문학 연구의 새 지평󰡕(소명, 2005), pp.1070~2. 참조.
  • 2) 姜希孟, 󰡔私淑齋集󰡕, 「盜子說」. 번역문은 김영, 󰡔한국의 우언󰡕, 현암사, 2004, pp.100~2.
  • 3) 중학교 1학년 󰡔국어󰡕 3단원(문학의 의사소통)에 「스스로 터득한 지혜」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