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길을 向하는 ‘가르침과 배움의 道’



  Ⅰ. 序言


  ‘敎學相長’이란 말이 있다. 이 말은 가르침과 배움의 관계를 明瞭하게 일컫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敎師와 學生, 나아가 모든 人間關係에서 우리는 서로 가르치고 배우는 관계를 형성한다. 일찍이 孔子는 “세 사람이 길을 갈 때에는 반드시 내 스승이 있으니, 그 중에 선한 사람을 가려서는 그를 따르고, 선하지 못한 자를 가려서는 자신 속의 그런 잘못을 고쳐야 한다.”1)고 말하고 있으니, 이는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나의 스승을 삼아 늘 배움의 자세를 가져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젊은 세대는 기성 세대에게 경험과 지혜를 배우고 기성 세대는 젊은 세대의 순수한 열정과     도전정신에 자극 받는다. 스승과 제자 간의 지적 긴장은 서로의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 가르치    면서 확실히 알게 되고, 배우면서 새로운 지혜를 얻는다.2)


  ‘敎學相長’을 吟味하는 김영 교수의 말처럼 ‘서로의 발전’을 이루는 관계를 형성할 때 진정한 師弟의 관계를 맺을 수 있다. ‘서로의 발전’을 이룬다함은 교사와 학생, 즉 가르침과 배움이 하나의 指向點을 두고 있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그렇다면 그 指向點은 무엇인가? 󰡔大學󰡕을 보면 “대학의 도는 밝은 덕을 밝히는 데 있으며, 백성을 친애하는 데 있으며, 지극한 선에 머무는 데 있다.”3)라는 말이 있다. 이것을 현대적 의미에서 해석한다면 “학생들의 잠재능력을 계발하고, 민중들의 문제를 학문적으로 해결하고, 고도의 지적 ․ 도덕적 수준에 도달하도록 하는 데 있다”4)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指向點을 向하는 교사와 학생은 어떠한 자세를 가져야 하는가? 즉, ‘가르침과 배움의 道’는 과연 무엇인가? 이것이 本稿에서 논하고자 하는 주제이다. 가르침과 배움의 의미를 옛 聖賢들의 지혜에서 찾아보고 이를 현대적 의미에서 되새겨 보는 것은 교육의 위기에 直面한 현 우리사회에 示唆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 1) 󰡔論語󰡕 述而, 子曰 “三人行, 必有我師焉. 擇其善者而從之, 其不善者而改之.” 번역문은 김영 편저, 󰡔논어를 읽는 즐거움󰡕(인하대출판부, 1998). 이하 논어의 번역은 이 책에서 취함.
  • 2) 김영, 󰡔인터넷 세대를 위한 한문강의󰡕, 한울, 2005, p.86.  
  • 3) 󰡔大學󰡕, 大學之道, 在明明德, 在親民, 在止於至善.
  • 4) 김영, 上揭書, p.8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