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start.gif) |
|
|
|
오늘은 바람이 불고
나의 마음은 울고 있다.
일즉이 너와 거닐고 바라보던 그 하늘아래 거리언마는
아무리 찾으려도 없는 얼굴이여.
바람 센 오늘은 더욱 너 그리워
긴종일 헛되이 나의 마음은
공중의 旗발처럼 울고만 있나니
오오 너는 어디메 꽃같이 숨었느뇨. |
|
|
|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end.gif) |
어느 20대의 「그리움」이다. 이 그리움의 주인공은 청마 유치환이었지만, 또한 오늘 내 20대 끝자락의 그리움이기도 하다. 바람이 부는 날, 마음은 산란해지고, 거리에는 수많은 이들이 거닐지마는, 내 그 그리운 얼굴은 없으니, "슬프고도 애닯은 마음"(「旗빨」)은 공중에 깃발처럼 달릴 수 밖에.
내게 이 그리움은 공허한 그리움이다. 그 그리운 얼굴 조차 없는 그리움. 정말 "너는 어디메 꽃같이 숨"어 있는 것이냐? 꽃이 아니어도 좋으니, 한갓 잡초여도 좋으니……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start.gif) |
|
|
|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임은 물같이 까딱 않는데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날 어쩌란 말이냐. |
|
|
|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end.gif) |
이는 40대의 「그리움」이다. 유치환, 그의 그리움은 20여년의 세월이 지나 "인고(忍苦)와도 같은 사모에 차라리 목숨을 내맡겨 놓"(『구름에 그린다』, 경남, 2007.)고 있다. 파도야! 어쩌자고 이 가을날 이 가슴이 한없이 출렁이고 술렁이느냐. 어쩌란 말이냐. 어쩌자고 나는, 이 중년의 그리움 담은 한탄에 더 절감하는 것이냐. 어쩌자는 것이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