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0 민주항쟁이 올해로 20주면을 맞았다. 20년 전 나는 9살이었을게다. 기억나는 것은 티비에 나온 노태우를 보며 그 사람을 대통령으로 점찍었다는 사실 하나다. 왠지 모르게 노태우가 대통령이 될 것만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른 후보들의 이름도 또렷이 기억하지만, 9살의 나는 쪽집게처럼 대통령을 맞췄다. 하지만 어쩌랴, 왜 하필 노태우를 대통령감으로 점찍었느냐고 그 어릴 적 나에게 혼구멍을 내줄 수도 없는 모릇이다. 그렇게 역사는 흐른다. 그때의 내가 무슨 염력이 있어서 노태우를 대통령되게 한 것도 아니고, 노태우 아닌 다른 후보를 대통령감으로 보았다고 해서 그렇게 되라는 법도 전혀 없었을 것이다. 역사는 저 나름의 흐름을 가지고 산다. 이 안에서 인간이 아무리 몸부림쳐도 무기력할 뿐이다. 하지만, 여기 아직 몸부림치는 사람들이 있으니 그들의 몸부림이 다만 그렇게 무기력하게 보이지만은 않는다. 민주화가 20주년을 맞이했다고 들썩인다. 어제 100분토론에 당시 민주화운동의 주역들이라는 사람들이 나와 설전을 벌였다. 그 주역들이라는 사람들이 죄다들 국회의원인지, 그게 옳은 건지 아닌 건지 잘은 모르겠지만, 그 민주화세력들의 모습은 20년이란 세월을 실감케하기에 충분했다. 서로들 많이 달라졌다는 것을 느끼지는 않을까?

이 시점에서 역사와 함께 영원할 것 같은 '민주주의'란 성지는, 역사와 함께 많은 부분 변했다는 것을 많은 사람들이 공감한다. 그러니 해마다 오는 기념일이란 어쩌면 반성일인지도 모르겠다. 20주년인 만큼 더 큰 반성과 성찰이 필요할 때다. 그럴때에 역사에 발전이 있다면, 그것이 발전이라 불릴 수 있을 것이다.

김명인 교수도 그 주역의 한 사람으로서 20년을 돌아보는 성찰의 시간을 갖는다. 음미해 볼 만 하다.

[시론] ‘6·10항쟁’ 성찰과 실천/김명인 인하대 교수·황해문화 주간

 
▲ 김명인 인하대 교수·황해문화 주간
6월 민주항쟁이 벌써 스무돌이다. 박종철 고문치사사건과 4·13 호헌발언을 거쳐 6·10 대투쟁,6·29선언,7∼8월 노동자 대투쟁으로 이어졌다가 12월16일 대통령선거에서 예기치 못한 결말로 일단락된 6월 민주항쟁. 그후 20년동안 한국사회는 ‘1987년 체제’라는 이름이 말해주듯이 이 6월 민주항쟁이 이룬 것과 남긴 것들을 축으로 하여 움직여 왔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을 민주화라고 부르든 분단체제의 변동이라고 부르든 한국사회가 이를 계기로 결정적인 질적 변화를 겪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그 질적 변화를 ‘시민민주혁명의 성취’라고 불러도 좋다. 식민지와 분단이라는 악조건에서도 남한의 시민계급은 비약적 경제성장으로 독자적인 물적 토대를 구축해 왔고 마침내 6월 민주항쟁과 그후 ‘민주정권’들의 실천을 통해 상부구조로서의 민주적 정치제도를 획득하기에 이르렀다. 이는 분단체제의 탈냉전화와 연성화에도 영향을 미쳐 이제는 통일, 혹은 한반도 평화체제의 구축이라는 오랜 과제 역시 가시권에 들어오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표면적 성취에 눈이 어두워 그 이면에서 진행되는 역사의 흐름를 제대로 읽어내지 못했다. 군사독재의 오랜 사슬에서 벗어나 민주화를 이루었다는 사실에 도취하고 만족해 질적 변화의 본질을 올바로 꿰뚫어보지 못한 것이다. 우리가 성취했다고 믿었던 시민민주혁명은 우리의 오랜 투쟁의 결과이기도 하지만 사실은 1980년대부터 시작된 신자유주의 세계화라는 세계사적 변화의 한반도적 부산물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했다.

1970년대를 휩쓴 오일쇼크에 의해 순조로운 확장을 저지당한 세계자본주의가 마련한 돌파구는 보호무역주의로 대표되는 국가중심적 경제체제를 붕괴시키고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을 무한대로 보장하는 신자유주의 경제체제의 지구적 관철이었다. 이에 따라 전세계의 ‘민족주의적’ 보호경제는 연쇄적으로 붕괴되었으며 보호경제를 지탱했던 정치적 권위주의 역시 전세계적으로 설 자리를 잃었다. 그것이 중남미의 민주화 도미노이고, 현실사회주의권의 붕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의 군사독재체제의 붕괴와 민주화 역시 그러한 세계사적 외압의 작용을 제외하고는 설명할 수 없다.

지금 우리는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높은 파고 앞에서 심각한 동요를 겪고 있다. 문민정부에서 참여정부로 이어지는 역대 민주정부는 한편으로는 시민민주혁명을 추진해온 ‘민주화권력’이었지만 동시에 신자유주의 세계화를 능동적으로 받아들인 ‘신자유주의 권력’이기도 했다. 20년 전 우리가 그토록 갈망했던 민주주의가 단지 대통령 직선제나 하는 형식적 민주제도를 수립하는 것이 아니라 자유와 평등과 연대와 사랑을 실천하는 본질적이고 전면적인 민주주의였다면 지금 신자유주의 개혁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되고 있는 승자독식의 개인주의와 경쟁주의, 야만적 시장주의의 무한한 확장과 사회적 양극화는 우리가 갈망했던 민주주의에 대한 전면적인 배반이자 모욕이 아닐 수 없다.

6월 민주항쟁 20년, 올해는 기념식에 대통령까지 참석하는 명실상부한 국가기념일 대우를 받게 된다고 한다. 역사를 돌이켜보면 모든 혁명기념일은 곧 혁명의 무덤이었다. 지금 우리가 할 일은 흥청망청한 기념행사가 아니라 어긋난 혁명의 행로를 다시 돌이키는 전면적 성찰과 실천에 다시 불을 지피는 일이다.

김명인 인하대 교수·황해문화 주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