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항 37~40은 비문학제재 예술(미술)관련 지문이 출제되었다.

[37~4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많은 미술가들은 대중 매체를 조작이나 선전의 혐의가 있는 것으로 불신하며, 대중문화를 천박한 것으로 간주한다. 그들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자신들의 생각을 표현해 왔다. 예를 들어 샌들은 ㉠「자유를 위한 힘찬 일격」이라는 조각 작품에서 힘찬 몸짓으로 텔레비전을 부수고 있는 인물을 형상화하여 대중 매체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그러나 그저 전면적인 비난과 거부로는 대중 매체의 부정적 측면을 폭로하거나 비판하려는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기 어렵다. 작품만으로 작가가 왜 그처럼 분개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사실 텔레비전 수상기 몇 대가 부수어진들 대중 매체에는 아무 변화도 없을 것이기에, 이 힘찬 조각은 오히려 무력해 보이기도 한다.

대중 매체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소위 ㉡‘근본주의 회화’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이 경향의 미술가들은 회화 예술만의 특성, 즉 ‘회화의 근본’을 찾아내려고 고심했다. 그들은 자신들의 목표를 극단으로 추구한 나머지 결국 회화에서 대상의 이미지를 제거해 버렸다. 그것이 이미지들로 가득 차 있는 사진, 영화, 텔레비전 같은 대중 매체를 부정하는 길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사물이미지와 세상의 여러 모습들이 사라져 버린 회화에서는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주제나 내용을 발견할 수 없었다. 대신 그림을 그리는 과정과 방식이 중요해졌고, 그 자체가 회화의 주제가 되어 버렸다. 이것은 대중 매체라는 위압적인 경쟁자에 맞서 회화가 택한 절박한 시도였다. 그 결과 회화는 대중 매체와 구별되는 자신을 찾았지만, 남은 것은 회화의 빈곤을 보여 주는 텅 빈 캔버스뿐이었다.

회화의 내용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대중 매체를 성공적으로 비판한 경우는 없었을까? ‘팝 아트’는 대중문화의 산물들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면서 그 속에서 대중 매체에 대한 비판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이는 특히 ㉢영국의 초기 팝 아트에서 두드러진다. 그들은 ⓐ대중문화의 이미지를 차용하여 그것을 ⓑ맥락이 다른 이미지 속에 재배치함으로써 ⓒ생겨나는 새로운 의미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그들은 ⓓ비판적 의도를 표출했는데, ⓔ대중문화에 대한 비판도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후 미국의 팝 아트는 대중문화에 대한 부정도 긍정도 아닌 애매한 태도나 낙관주의를 보여 주기도 하지만, 거기에도 비판적 반응으로 해석될 수 있는 작품들이 있다. 리히텐슈타인이 대중문화의 하나인 만화의 양식을 본떠 제작한 ㉣「꽈광!」과 같은 작품이 그 예이다.

리히텐슈타인은 색이나 묘사 방법 같은 형식적 요소들 때문에 만화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만화가 세계를 ‘어떻게’ 재현하는지에 주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만화가 전쟁을 다룰 경우, 전쟁의 공포와 고통은 밝고 경쾌한 만화의 양식으로 인해 드러나지 않게 된다. 「꽈광!」에서 리히텐슈타인은 만화에서 흔히 보는 공중전 장면을 4미터가 넘는 크기로 확대하여 과장하고, 색도 더욱 장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만화의 재현 방

식 자체를 주제로 삼았다. 이 점에서 「꽈광!」은 추상화처럼 형식

에 주목하기를 요구하는 그림이다. 그러나 내용도 역시 작품 감상에 중요한 요소로 관여한다. 관람객들이 「꽈광!」의 폭력인 내용과 명랑한 묘사 방법 간의 모순이 섬뜩한 것임을 알아차릴 때 비로소 작가의 비판적인 의도가 성취되기 때문이다.


 

37.  위 글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1점]

①대중 매체에 대한 비판으로는 전면적인 거부가 가장 효과적이다.

②근본주의 화가들은 처음부터 자신들의 목표를 달성할 수 없음을 알고 있었다.

영국의 팝 아트는 미국에 비해 비판적 시각이 부족했다.

미국의 팝 아트는 대중문화에 대해 다양한 태도를 보였다.

⑤리히텐슈타인의 미술은 근본주의 회화가 미국에서 성공한 사례이다.

 

37번은 내용 일치 문제이다. 일치하는 것을 찾는 것인데, 정답은 ④이다. 대중 매체에 대한 전면적 거부는 크게 효과를 보지 못 했음을 지문에서 찾을 수 있다. 근본주의 화가들은 자신들의 목표를 극단적으로 추구하였다. 자신들의 목표를 달성할 수 없음을 알고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 ③은 지문에서 찾기 어렵고, ⑤에서는 근본주의 회화가 아닌 '팝 아트'다.

38.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3점]

①㉠과 ㉡은 대상의 이미지가 담겨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②㉠과 ㉣은 반전(反戰)을 내용으로 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과 ㉢은 대상의 이미지가 사라진 추상이라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④㉡과 ㉣은 그리는 방식이 주제가 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⑤㉢과 ㉣은 작품의 의미가 공허하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문항 38. ㉡'근본주의 회화에서는 대상을 제외시켰으므로 ①의 설명은 잘못. ㉠자유를 위한 힘찬 일격은 반전을 내용으로 하지 않으므로 ②의 설명도 적절하지 못하다. ㉢영국의 초기 팝 아트는 '대중문화의 이미지를 차용하'였으므로 ③의 설명도 알맞지 않다. ⑤에서도 두 작품의 의미가 공허하다고 볼 수 없으므로 잘못이다. 정답은 ④.

39.  ⓐ~ⓔ 중, <보기>의 사례에서 찾을 수 없는 것은?

 

<보 기>

 

 

 

 

영국 미술가 해밀턴은 1964년 당시 영국의 정치가 휴 게이츠겔의 정책에 반대하는 입장을 드러내기 위해 「영화 속 괴물 휴 게이츠겔의 초상」을 제작하였다. 그는 이 정치가의 확대된 얼굴 사진을 놓고 그 일부를 공포 영화 「오페라의 유령」에 등장하는 유령의 모습처럼 바꾸어, 이 정치가가 비인간적 면모를 감추고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려 하였다.

① ⓐ     ② ⓑ     ③ ⓒ     ④ ⓓ     ⑤ ⓔ

 

문항 39의 <보기>에 주어진 내용을 살펴보면, "공포 영화「오페라의 유령」에 등장하는 유령의 모습"을 차용하고 있으므로 ⓐ대중문화의 이미지를 차용에 해당된다. 또한 이것을 '맥락이 다른' 정치가 휴 게이츠겔의 초상에 재배치하고 있으므로 ⓑ에 해당된다. 이것은 "이 정치가가 비인간적 면모를 감추고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으므로 ⓒ에 해당하며, 여기에는 ⓓ비판적 의도를 표출하고 있다. 여기에서 ⓔ대중문화에 대한 비판을 찾기는 어렵다.

40.  관람객의 입장에서 「꽈광!」이 대중문화에 대한 성공적인 비판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점]

① 명랑한 색감과 만화적 재현 방식 사이의 부조화

② 확대된 크기와 다른 형식적 요소들 간의 충돌

③ 밝은 색채와 세밀한 묘사 방법 간의 불협화음

④ 폭력적 주제와 비판적 의도 간의 불일치

⑤ 재현된 내용과 만화적 양식 간의 모순

 

40번의 문제가 다소 까다롭게 여겨질 수도 있겠지만 문제의 의도를 제대로 파악했다면 배당 점수만큼 쉽게 풀 수 있었을 것이다. 문제에서는 "성공적인 비판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묻고 있다. 기존의 만화는 "전쟁의 공포와 고통은 밝고 경쾌한 만화의 양식으로 인해 드러나지 않게" 함으로써 전쟁과 폭력에 대해 왜곡하고 있다. 이는 "재현된 내용과 만화적 양식 간의 모순"에서 기인하는 것으로「꽈광!」은 이것을 역으로 이용하여 대중문화에 대해 성공적인 비판을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