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를 기다리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
사무엘 베케트 지음, 오증자 옮김 / 민음사 / 200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희곡(戱曲)이 하나의 문학 장르이고, 그것은 ‘읽히는 것’이지만, 연극은 궁극적으로 그것은 ‘상연(上演)’되어질 때 의미가 있다. 간혹 중 ․ 고등학교 국어시간에 소설, 시, 수필, 희곡의 장르 구분과 그것들의 특징에 대해 배우면서, 희곡은 상연을 목적으로 한다고 들었다. 하긴 상연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그러니까 연극(演劇)으로 나아가지 않고, 희곡으로서만 끝나는 그런 희곡도 존재하긴 한다. 그런 특이한 희곡을 제외하고, 자로고 희곡은 상연되어져야 제 맛이 아닐까? 사뮈엘 베케트의『고도를 기다리며』를 읽으면서 그런 생각이 못내 떠나질 않았다.

  사뮈엘 베케트하면,『고도를 기다리며』가 따라오고, 거기에 또한 ‘부조리극(不條理劇)’이란 어려운 말이 따라온다. 오늘날 세계의 고전이요, 정전으로서 자리를 굳건히 차지하고 있는 만큼이나 그의 이름과 그의 작품은 유명하다. 그런데 내 부끄러운 치부하나 드러내야겠다. 우선,『고도를 기다리며』는 알고 있으면서도 ‘고도’가 뭘까? 고민해야 했다. ‘설마 고도(高度)나 고도(古都)는 아니겠지’ 그래 왔을 뿐이었다. 그리고 늘 이 작품에 따라오는 ‘부조리극’이니 ‘부조리’니 하는 말의 의미 또한 사실 크게 관심 가져 본 적이 없었다. ‘사회 부조리를 고발하는 것은 아닐까?’ 비만 나 뿐만은 아닐 것이다.

  이 작품에 그 중대한 이름 ‘고도’는 누구(무엇)인가? 왜 그렇게 ‘고도를 기다리’는가?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 푸른 산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 작은 길을 걸어서 차마 떨치고 갔습니다.”의 그 ‘님’인 듯도 하고 아닌 듯도 하다. 한용운의 ‘님’이 사랑하는 연인이기도하고, 부처님이기도 하고, 어떤 초월적 절대자이기도 한 것처럼, 이 ‘고도’ 또한 무엇 하나로 규정되지 않는다.

  “우리는 만날 때에 떠날 것을 염려하는 것과 같이 떠날 때에 다시 만날 것을 믿습니다.” 이런 믿음은 ‘님’과의 어떤 암묵적 약속과도 같다. 이 또한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의 ‘고도’와의 약속과 어떤 면에서 동일하다. ‘님’이나 ‘고도’나 언제 올지는 몰라도, 그들이 올 거라는 믿음, 그 믿음으로 한용운이나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나 모두 기다리며 살아가는 것이다. 한용운은 과연 ‘님’을 만났을까? 나는 잘 모른다. 살아서는 아마 만나지 못했을 것이다.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 또한 ‘고도’를 만나지 못한다. 내가 볼 때 그들은 영원히 만나지 못할 것이다. 한용운은 저 극락에 가서 그 ‘님’일 것으로 추정되는 부처님을 만났을 것이다. 그렇다면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가 그 황량한 들판에 앙상히 서 있는 나무에 목을 매달았을 때에 진정 ‘고도’를 만날 수 있는 것은 아닐까?

  여기서 ‘고도를 기다리’는 이들은 정말이지 무작정이다. 왜 그를 기다리는지, 그를 만나면 어떻게 되는지, 무엇이 해결될 것인지는 전혀 불명확하다. 그는 과연 무엇이기에 그들은 그토록 ‘고도’를 기다리는가? ‘고도’를 만나면 그들은 구원받는가? 이 작품에서 구원은 어쩌면 죽음과 동일어가 아닐까?

  중요한 것은 ‘고도’가 누구이고, 그를 만나면 구원을 받을 것이니 뭐니 하는 것이 아니다. ‘고도를 기다리’는 행위 그 자체가 중요하다.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를 살아있게, 존재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행위와 거기에서 오는 삶의 의미부여는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 뿐 아니라, 인간 보편적이라고 할 수 있다. 무엇인지 명확하지 않는 것에 대한 기다림, 그것이 삶의 희망이 되는 사람들이 있다. 아니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 모두에게 있다. 인간은 그것으로 살아가는 것이라고 말해야 할 듯하다.

  2막으로 된 짧은 이 희곡을 읽으면서, ‘부조리극’이 가지는 특징들에 공허해 지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뭔 소리들인지, 왜 이를 쓸데없는 상황과 장면과 대사들이 오고가는지 이해할 수 없기도 했다. 그러면서도, 우리가 그 이름 모를 ‘고도’를 기다리며 살고 있지는 않은가를 스스로에게 물었을 때, 그런 우리의 삶이 이렇게 ‘부조리(不條理)’하고 이해될 수 없는 행위와 상황의 연속이지 않은가를 반문할 때, 나는 이 희곡『고도를 기다리며』가 왜 오늘날 세계문학의 고전이 되었는지를 수긍할 수 있었다.

  짧은 이 희곡을 후다닥 읽으면서 남는 아쉬움이라면, 이 작품을 연극으로 만났었더라면 더 좋았지 않았겠는가 하는 것이다. 등장하는 인물들의 희극적 모습들을 희곡으로만 ‘읽혀서’는 찾아보기 어렵기 때문이었다. 희곡은 그래서 연극으로 상연되어야 그 가치와 의미가 최대한 살게 되는 것이리라. 기회가 되어 이 작품이 연극으로 상연된다면 관람을 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노아 2006-11-25 17: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 읽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