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노자 이야기
장일순 지음 / 다산글방 / 1998년 12월
평점 :
품절


책을 덮고 난 뒤 내 뇌리속엔 다시 도가도 비상도(道可道 非常道)라는 문장이 떠오릅니다. 노자 할아버지의 손가락을 쫓아, 다시 그 손가락을 가리키는 장일순 선생님과 이현주 목사님의 대화 속에서 나는 보이지 않는 곳에 존재하는 이 우주를 지탱하는 그 무엇인가를 보았습니다. 비록 그 뜻을 깨치기 위해 손수 써보았던 5000여자의 한자는 가물해졌지만 예전에 없던, 아니 내가 알지 못했던 도의 향기 또한 봄의 향기처럼 내 마음을 에워싸는 것이 뿌연 안개가 드리워진 듯 합니다.

말로 표현될 수도 없고, 눈으로 보여질 수도 없고, 감각으로 느껴볼 수도 없는 그 도를 5000여자의 한자로 장황하게 설명하는 것은 도대체 무슨 의미가 있는 것일까 하고 생각해 봅니다. 아마도 그것은 말로, 눈으로, 코로, 입으로, 감각으로 알 수 없어도 그것을 아는 내 마음 속 무엇인가를 일깨우기 때문입니다. 도를 어떻게 아느냐고 하면 그것을 아는 내 속의 어떤 존재가 있음으로 그것을 안다고 하겠습니다. 책을 덮으며 비록 도에 관한 많은 문구들은 사라졌지만 도라 불리우는 그 무엇에 대한 믿음은 내 마음 속에 자리잡았기 때문입니다.

말에 매인다는 것은 손가락에 매이는 것입니다. 바로 그 말에서, 그 손가락에서 헤어나는 길은 몸을 가짐으로해서 생기는 그 몸의 불연속면을 벗어나는 길입니다. 그것을 벗어나게 하는 것은 말이 아닙니다. 손가락이 아닙니다. 우선은 사욕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무위함을 깨우쳐야 하는 것이죠. 그런 다음에라야 자연의 도를 깨우칠 수 있습니다. 자연의 도가 거대하고도 평온한 바다라면 그곳을 알고 흐르는 강이, 계곡물이 무위의 도입니다.

그 도를 안다면 그래서 그 도에 어긋남이 없다면 그 아는 마음은 온전한 세상과 만나는 길입니다. 비록 현실은 도가 무너져내려 인과 의와 예와 지와 신이 생겨나고 옳고 그름에 의해 알고 모름에 의해 더욱 유위(有爲)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이 무너져 내린 도가 우리세상에 어떤 균형맞춤의 재앙을 가져올런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아직도 이 사회가 지탱되는 까닭은 바로 그 무위자연의 도를 아는 자들이 그 도로서 세상을 떠받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해봅니다.

노자 할아버지가 이 글을 남긴지가 2000년도 훨씬 더 지난 오늘날에도 그 말하는 바가 마치 오늘날의 모습을 그 손바닥위에 올려 놓고 보고 있는 듯합니다. 이것을 보면 도덕경의 말씀이 무수한 시간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현실을 꿰뚫는 본질을 명쾌하게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현상적인 삶인 상대적인 세계를 벗어난 절대적인 세계가 존재함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 우주의 축소판인 우리에게도 상대적인 육신의 존재와 절대적인 존재가 있음을 비추어주고 있는 것입니다. 절대세계에 대한 인식의 폭이 깊을수록 상대세계에 대한 이해의 폭도 깊어집니다. 그런 이유로 우리는 도의 세계를 향한 탐험을 시작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