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둥 수용소 - 인간의 본성, 욕망, 도덕적 딜레마에 대한 실존적 보고서, 개정판
랭던 길키 지음, 이선숙 옮김 / 새물결플러스 / 2014년 8월
평점 :
나는 좋은 사람일까, 나쁜 사람일까? 이기적인 사람일까, 이타적인 사람일까? 위선자일까, 정직한 사람일까? 솔직하게 말한다면, 나는 한때 내가 비교적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명백한 불의에 분노하고 약자의 아픔에 공감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MBTI가 INFJ로 나오자 더더욱 그렇게 생각했다. 하지만.
나라고 별 수 없다, 는 생각이 든다. 어떤 직접적인 상황의 압력을 받는다면, 즉 내 이익이 침해되고 내 가족이 피해를 받는 상황이 온다면, 그 안에서도 나는 여전히 정의로운 사람으로 목소리를 높일 수 있을까? 그렇게나 욕하던 파렴치하고 탐욕스러운 사람이 되지 않을 수 있을까? 어떤 상황의 바깥에서 정의로운 이상주의자가 되기란 너무 쉬운 일이지만, 내가 그 상황 속 당사자가 되어 그 역학의 압력과 긴장도 안에서도 그러기란 말처럼 쉬운 노릇이 아니다.
<산둥수용소>는 한 마디로 경이로운 책이다. 사회실험학적 보고서도 이 책처럼 실증적이고 현실적인 인간 군상의 천태만상을 지근거리에서 심지어 자신도 그 대상으로 포함시켜 낱낱이 생생하게 이야기하진 못할 것이다. 가차 없다. 흥미로우면서도 가볍지 않다. 무거운 척하려 위장하지 않는다. "아무리 성자 같은 사람도 식사다운 식사를 못하면 죄인처럼 행동할 것이다."는 브레히트의 목소리가 제사에 인용된 것은 우리 인간이 기대만큼 합리적이지도 이성적이지도 않다는 비관적 발견을 선포하는 것이다. 그 누구도 예외가 될 수 없었다.
1943년 스물네 살의 연경 대학 교사였던 저자 랭던 길키는 일본에 의해 중국 산둥의 위현 민간인 포로 수용소에 수감된다. 이 수용소는 나치의 그것과는 달리 육체적인 고문이나 굶주림 같은 극단적 상황은 없었다. 따라서 이 책은 다른 유대인 수용소와 달리 그것을 통제하는 지배자들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수감자였던 인간 집단에 대한 흔치 않은 관찰기다. 당시 중국에 와 있던 영국인, 미국인, 네덜란드인, 벨기에인 사업자, 수도자, 선교사, 교사, 은행가 등 다양한 계층, 민족, 연령 층이 하루 아침에 수용소의 통제된 일상을 감내해야 하는 상황 앞의 고군분투 적응기이자 극단적 상황 앞에 노출되는 인간 본성에 대한 심층적인 탐구 보고서다.
-신속한 적응
절대적인 공간과 물질적 한계 속에서 이루어낸 수용소 집단의 적응 이야기는 놀랍다. 마치 초창기 문명의 개화처럼 사람들은 팔을 걷어 부치고 맨땅에서 물질적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차근차근 그들의 공동체의 문명을 건설한다. 수의사는 모두를 먹이기 위해 200개의 쿠키를 굽기 시작했고, 손재주가 있는 사람들은 공예품을 만들어 수용소 안에서 전시회를 개최하고, 연극 공연을 하고, 사제들은 수용소 안 작은 예배당을 만든다. 랭던 길키는 이러한 인간들의 문명의 놀라운 적응력에 감탄한다. 어떤 상황이든 인간은 적응하여 그들의 일상화를 이뤄냈다. 그러나 초기의 이런 역동적인 적응기는 저자가 이야기하려던 수용소 이야기의 서막에 불과했다. 이윽고 수용소 전체를 뒤덮는 도덕적 위기의 문제에 당면하게 된다. 그것은 바로 인간의 비합리적인 이기심이다.
-무너지는 논리와 공정
일반적으로 사람들은(물론 나도 예외는 아니다)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이기적이고 비합리적이었다.
-pp.179
우리는 홀로코스트 수용소 이야기에서 그 안의 감동적인 인간의 연대나 희생에 대한 에피소드들을 들었다. 즉 그럼에도 불구하고 빵을 나누고 심지어 자기 희생에 기반한 이웃에 대한 사랑의 실천을 보여주는 드라마틱한 감동의 장면들을 기억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그런 드라마틱한 이야기가 중론이 아니다. 오히려 놀랍도록 탐욕스럽고 비합리적인 인간의 모습을 목도하게 된다. 본국에서 보내 온 적십자 구호품을 다른 가난한 나라 사람들과 나누지 않으려다 일본군에게 다 압수 당하는 미국 사람들 이야기는 어처구니가 없어 실소가 나올 정도다. 미국인인 저자는 이런 부끄러운 모습을 솔직히 기록하며 심지어 적군인 일본군의 개입이 없었으면 이 구호품을 둘러싼 내전이 일어났을 거라고 고백한다. 이미 배고픔을 채우고도 남은 물자를 옆의 궁핍한 이웃과 나누지 않으려는 사람들에는 심지어 평소에 이웃 사람을 외쳤던 신실한 신앙인들도 있었다. 그들은 다만 자신들의 이기심을 더 합리적으로 포장할 줄 알았다고 한다. 즉 일부가 아닌 대다수가 극도로 이기적이고 비합리적이었고 탐욕스러운 모습을 보였다. 이웃의 필요를 폄하하고 남은 물자를 나누기를 거부했다.
우리는 자신의 진짜 욕망과 욕구를 스스로에게 감추기 위해 직업적이거나 도덕적인 옷을 입는다. 그러고는 이기적 관심이라는 진짜 속내 대신 객관성과 정직이라는 겉옷을 걸치고 세상에 나간다.
-pp.214
-수용소 내의 정치
인간이 이렇게도 자신의 안위에 관련한 문제에 대해서는 비합리적인 이기심을 표출한다면 과연 그 대안은 어떤 것이 될 수 있을까? 수용소 안에서 사람들은 끊임없이 물자를 훔치고 거짓말하고 타인을 이용했고 그것을 통제할 방법은 자체 정치 기구의 설립과 그것을 통한 법적인 제약이었다. 하지만 정상적인 상황이 아닌 수용소 안에서 그들이 자율적으로 설립한 정부는 힘을 발휘하기 어려웠다. 집행부였던 랭던 길키는 점차 이 안에서 정치적인 힘에 대해서도 숙고하게 된다. 민주 정부의 힘은 자율적으로 창출되기 어려웠다. 그것조차 권위에 입각한 어떤 힘을 필요로 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자율적으로 도덕적으로 행동하지 않았다. 빵을 굽고 남은 밀가루와 설탕을 훔쳐갔고, 때고 남은 석탄을 마음대로 가져갔다. 안 그럴 것 같은 사람조차 그랬다. 차라리 어떤 한도 안의 재량권을 주는 것이 나을 정도였다. 그러나 그 양보조차 곧 유명무실해졌다. 더 가져가고 더 훔쳐갔다. 랭던 길키가 속해 있던 집행부는 끊임없이 고민하고 자체 규약을 만들고 사람들을 통제하고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다. 공동체의 도덕성은 공동체의 유지에 필수적이었다. 모두가 모두를 의심해야 한다면 그 사회는 영속될 수 없었다. 그러나 인간의 본성에 도덕성은 치트키가 아니었다. 이것은 민주적인 절차에 의해 성립된 민주 정부의 권위에 대한 고민과도 닿아 있었다. 가능하지 않은 정부는 아무리 그 의도가 선하더라도 현실과 멀다는 지극히 현실적인 이야기였다.
랭던 길키는 수용소에서 나와서 신학자의 길을 걷게 된다. 따라서 그의 마지막 결론은 그의 종교 안이라는 한계를 노출한다. 그러나 그가 수용소 생활을 하며 자신과 같은 종교인의 부끄러운 민낯을 목도하고 가감 없이 비판하고 자성한 대목은 그가 편협한 맹신주의자가 아님을 보여준다. 그는 오히려 종교가 가지는 맹점을 가장 가까이에서 봤던 경험을 잊지 않고 자신의 신앙의 기반으로 삼는다.
불안정한 삶을 경험하면서 배운 가장 기묘한 교훈은, 원하지 않던 상황이 파괴적인 역할을 하기보다 오히려 창조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위현 수용소에 오고 싶었던 사람은 단 한 사람도 없었다. 하지만 이 거부하고 싶고 혐오스러웠던 경험 안에는 새로운 통찰력이라는 씨앗이 있어서, 우리 중 많은 사람으로 하여금 새로운 삶을 살게 했다. 수용소에서의 삶은 너무도 불편하고 혼란스럽고 지루했다. 하지만 바로 그 때문에 우리는 이 삶을 더욱 창조적으로 헤쳐나갈 수 있었다.
-pp.472
생존 앞에서 도덕성은 사치가 아니라 생존의 기반 그 자체였다. 도덕적이기 어려웠기 때문에 더욱 그 도덕성은 빛을 발했다. 내가 더 많은 것을 가지고자 이웃의 필요를 간과할 때 나의 생존은 더욱 더 위협 받았다. 타인을 믿을 수 없을 때 그곳에 지옥이 있었다. 하지만 극단적인 궁핍 속에서도 내 옆의 이웃을 신뢰할 수 있을 때 그 궁핍은 채워짐으로 보답 받았다. 인간의 적나라한 이기심은 결국 이런 교훈을 전제로 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