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
최은미 외 지음 / 문학동네 / 2025년 10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AI가 이제는 일상으로 파고들고 있다. 예전 같으면 주변에 물어볼 일을 AI에게 물어보고, 상담가나 친구들과 나눌 사적인 일들까지 인공지능과 나누고 있다. 무엇보다 글을 읽고 쓰는 일에 이 거대언어모델(LLM)이 끼친 파급력은 상상 이상이다. 독자들도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고 상상하는 일을 인공지능에게 위임하고 심지어 글쓰기 공모전에는 뭔가 불쾌한 기시감이 드는 창작물들이 버젓이 개인의 이름을 달고 제출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런 시대에 문학을 여전히 읽고 쓰는 일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가. 아니 그런 질문 자체가 유의미한가. <2025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을 읽으며 이런 질문이 떠올랐고, 다행히 과정에서 나름의 답을 찾아나가는 출구를 더듬을 수 있었다. 일곱 편의 수상작이 모두 작가들 고유의 리듬감으로 흥미롭게 읽혔고, 나름의 사유의 깊이로 오랜만에 여러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었다.
최은미ㅣ김춘영
탄광 마을에서 광부들에게 술을 팔았던 여성 노인 김춘영을 면담하는 여성 연구자가 화자다. 마지막 면담만을 남겨놓고 해발 천 미터의 험준한 산을 올라간 화자가 폭설을 만나 구술자의 집에 고립되며 우연히 만나게 되는 등산객 중년 부부와 젊은 군인 사이에 빚어지는 긴장은 결국 한 인간이 타인의 고유한 경험을 간접경험함으로써 가닿게 되는 소통과 공감의 지대를 보여주기 위한 하나의 장치로 보인다. 이 연결은 작가 최은미의 치열하게 조탁한 문장으로 이음매가 거의 노출되지 않을 정도로 매끄럽고 아름답다. 이야기의 힘과 문장의 유려함이 만날 때 얼마나 독자를 감동시킬 수 있는지 보여주는 작품.
강화길 l 거푸집의 형태
여성 가족 서사의 서늘한 긴장감과 가족이라는 미명 하에 버젓이 이루어지는 착취와 폭력의 중층적인 구조를 이야기의 형태로 보여주는 데 남다른 재능을 가진 작가로 강화길을 빼놓을 수 없다. 친밀하다고 느꼈던 막내이모와 조카 사이에 끼어든 죽음이 가져온 파국의 내막은 어떤 것인지 알아가는 재미가 있다.
김인숙 ㅣ 스페이스 섹스올로지
어느 순간 우리는 부모와 자식 사이의 보호와 위계가 역전되는 기점을 맞게 된다. 경제, 건강, 노령화 등 그 시점은 가족마다 달라질 수 있지만, 결국 그 시간은 누구나에게 오고야 만다. 자식은 여전히 자본주의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기능하며 이제 약해진 부모까지 챙겨야 하는 상황에 쉽게 적응하기 어렵다. 그건 비극일까, 자연스러운 섭리일까. 사랑해서 끝까지 책임지기 위해 딸을 포기하지 않았던 엄마는 딸에게 증오와 경멸의 대상으로 전락한다. 우리는 그 어머니에게서도 그 딸에게서도 우리 자신을 발견한다. 굳이 답을 주지 않고 보여주는 것만으로 이런 공감을 자아내기는 쉽지 않은데 작가는 그 어려운 작업을 성공적으로 해냈다.
김혜진 ㅣ 빈티지 엽서
주인공 여성이 헬스장에서 고춧가루를 생각하는 도입부부터 읽기를 도저히 멈출 수 없었다. 특히나 "삶에서 사소한 정을 주고받는 일이 점점 드물어진다는 생각을 그녀는 자주 했다." 같은 문장을 맞닥뜨리고서는 더더욱. 그녀가 저지른 일은 불륜이 아니다. 그렇다고 불륜이 아닌 것도 아니다. 이 미묘한 지점들에서 우리가 바라는 것과 우리가 사는 것들의 그 낙차에서 아찔해져 버리는 체험은 김혜진 작가 아니고서 누가 이렇게 탁월하게 그려낼 수 있을까. 아름답고 슬픈 이야기.
배수아 ㅣ 눈먼 탐정
성경의 <누가복음>에서 죽은 예수가 엠마오 마을로 가는 제자들에게 나타나는 이야기로부터 출발하는 이 몽환적이고 신비로운 이야기는 배수아 작가의 인장이 군데군데 찍혀 있다. 초현실, 비현실, 이런 해석들로 이 중층적인 이야기를 감침질하는 건 실례가 될 것 같다. 현실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것 같은 이야기가 이토록 현실 전체를 감싸안을 수 있다는 발견은 놀랍다. 삶, 죽음, 이별 등의 거대한 추상성이 구체화의 외피를 두르지 않고 현현하는 놀라운 체험이 가능한 이야기.
최진영 ㅣ 돌아오는 밤
내 친구의 죽음 대신 직장 상사 지인의 장례식장에 참석하기 위해 무민의 나라 핀란드를 경유해 가 돌아오는 길에 만나게 되는 돌발적인 사고 앞에서 우리가 깨닫게 되는 건 무얼까. 모든 경험, 모든 소통이 온라인화되는 이 세계에서 정작 내가 실제로 겪은 건 인간의 폭력이었다.
황정은 ㅣ 문제없는, 하루
나는 현실적인 삶을 살고 동생은 자신의 것이 아닌 이 세계에서 일어나는 비극들로 괴로워한다. 나는 그 동생이 현실에 닿아 있지 않다고 걱정하지만, 정작 이 자매가 터널에서 만난 사고는 타인의 고통에 연루되지 않는 감각이 얼마나 큰 비극으로 치달을 수 있는지를 현실적으로 보여준다. 우리에게 '문제없는, 하루'라는 감각은 정작 '문제없는 하루'를 불가능하게 하는지도 모른다. 타인에게 가해지는 그 많은 폭력들은 결국 우리에게도 돌아올 테니까.
쉽고 편리한 것들이 넘쳐나는 세계에서 여전히 작가들은 고심하고 쓴다. 그 노력과 그 노력이 가지는 힘을 여실히 느낄 수 있는 작품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