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몇 살까지 살까? - 1,500명의 인생을 80년간 추적한 사상초유의 수명연구 프로젝트
하워드 S. 프리드먼, 레슬리 R. 마틴 외 지음, 최수진 옮김 / 쌤앤파커스 / 2011년 4월
평점 :
우연히 모 방송국에서 다룬 배우 김태희 스페셜을 보게 되었다. 워낙 예쁘고 게다가 똑똑하기까지 한 배우라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정작 눈길을 끈 부분은 지독한 성실성이었다. 힘들게 얻은 여가시간에도 가녀린 체구로 남자들도 감당하기 힘든 운동량을 소화해내며 자기 관리를 하는 모습, 다른 스텝들은 다 쉬고 있는데도 혼자서 대본을 분석하고 있는모습 들은 적어도 연기된 것으로 보이지는 않았다. 주변인들은 심지어 그녀가 화장실에 가서도 정말 열심히 일을 볼 것이라고 장담했다.
고통 총량의 법칙을 믿고 싶었다. 누구나 삶에 있어 겪어야 하는 고통의 양은 한정되어 있어 대체로 전반기가 불행한 사람은 후반기가 안정되는 식이라는 어느 역술가의 말을 주변 사람들에게 응원용으로도 자주 해주었었다. 나에게 하고 싶은 얘기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 그건 하나의 자기기만적 희망사항에 불과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모든 것을 가지고 태어난 듯이 보이고, 특히나 성실성까지 겸비한 그녀는 안정되고 행복한 노년과 장수를 누리게 될 확률이 높다는 결론을 얻게 된다.
스탠퍼드 대학 교육학과 터먼 교수가 캘리포니아의 도시 학교에 다니는, 1910년 전후에 태어난, 총명한(지능지수 135이상) 소년소녀 1,500명을 선발해 진행한 터먼연구는 낯이 익다. 하버드대학 성인발달연구소장 조지 베일런트가 이미 하버드 법대생, 보스턴 이너시티 집단과 함께 비교대조하며 행복한 노년의 청사진을 그려내려 했던 <10년 일찍 늙는 법 10년 늦게 늙는 법>에도 나오기 때문이다. 터먼 교수의 연구는 이 책에서 저자가 그 총명한 아이들이 성장하고 늙어 마침내 죽어 남긴 확실한 마침표(사망증명서)들을 수집하면서 수명연구 프로젝트에 활용된다. 영특했던 아이들은 대공황, 세계대전 들을 겪으면서 다양한 직업군에 소속되며 부침을 거듭하다 앞서거니 뒷서거니 하며 삶의 무대에서 퇴장한다. 요절한 이도 있고 백수를 누린 이도 있다. 유년 시절 면담 기록 등을 통하여 과연 어린 시절의 성품이 수명과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지니는 지에 대하여 주목하며 프로젝트의 문은 열린다.
그리고 어린 시절의 모습을 보며 장수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는 유의미한 결론을 얻게 된다. 그 변수는 활달함이나 사교성도 아니고 바로 '성실성'이다. 이 성실성은 꾸준히 삶의 경로를 좌지우지한다. 성실한 아이들은 위험한 상황을 되도록 피하고 건강을 관리하며 좋은 인간 관계, 행복한 결혼 생활을 하며 더욱더 안락하고 유쾌한 삶의 경로를 스스로 그려 나가게 된다. 여기에는 삶에는 사실 예외적이고 돌발적인 우연적 요소보다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는 사항들이 더 많다는 전제를 깔고 있다. 파란만장한 삶도 기실은 충동적이고 파국론자적인 성향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는 뉘앙스다.
|
|
|
|
새해나 생일날에 죽어도 못 지킬 결심을 하기 전에, 당신이 과거에 어떠했는지 꼼꼼히 돌이켜 보라. 우리가 발견한 바에 따르면, 세월이 흘러도 한 사람의 활동패턴은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
|
|
|
|
그런데 이러한 시각에는 위험한 함정이 있다. 잘난 사람이 윤택하고 건강한 삶을 그것도 오래 누리는 것이 당연하다,는 식의 일종의 계층 고착화에 대한 용인이 비집고 들어오기 때문이다. 자신의 일에서 성공한 지도자가 장수도 누리더라,는 얘기는 은근히 아니꼽다. 그러나 그것의 비늘을 살살 벗겨내면 삶과 자신을 존중하고 대우하는 기본적인 성실성에 대한 독려도 얻어 낼 수 있다. 또한 타인과의 관계에서 유대감과 고마움을 느낀 사람이 가장 오래 사는 것이 아니라, 실제 타인을 돕기 위해 행동하고 주는 관계를 가진 사람이 행복하고 오랜 삶을 누렸다는 얘기는 사회적 관계망에 대한 우리의 시선을 바꿀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인간과 인간이 만나는 것은 감정을 교류하고 서로 소통하는 지점에서보다 '내'가 정작 눈앞의 '너'보다 '누군가'를 위해 내 시간과 내가 가진 물질을 희생할 수 있는 용기를 가질 때에 비로소 가능하다는 통찰이다. 꼭 오래 살기 위해서라기 보다는 '잘' 살기 위한 하나의 예리한 지적 같아 인상깊었다.
건강하게 오래 '잘' 사는 것은 아무리 도리질을 쳐도 누구나 인간으로 태어난 이상 입밖에 차마 내놓고 말하지 못하는 고픈 꿈이다. 그리고 그것은 어쩔 수 없는 생의 의지다. 그 욕망을 부끄럼없이 꺼내어 놓고 공론화한 점, 그리고 그것이 기본적으로 결국 자신의 몸과 마음과 주어진 시간을 제대로 대우하고 존중하는 데에서 출발함을 얘기한 것이 이 책의 더없는 강점이기도 하고 진부한 점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