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의 신 - 토크계의 전설 래리 킹에게 배우는 말하기의 모든 것
래리 킹 지음, 강서일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 대화의 신

 

 

 

 

 

『책에서 마주친 한 줄』

 

말을 잘 전달하기 위해서는 듣는 사람들로 하여금 나의 경험을 함께 공유하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말을 잘하기 위해 필요한 또 다른 기본적인 요소는 올바른 태도다. 처음에는 말하기가 어려운 자리일지라도, 끝까지 말을 하겠다는 의지가 있어야 한다.

 

모든 사람은 어떤 일에 관해서는 전문가라는 사실이다. …… 항상 그런 전문성을 존중하라. 당신이 존중하고 있는지 아닌지 사람들은 바로 느낀다.

 

성공 공식의 나머지 하나는, 당신 자신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다.

 

…… 말 잘하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8가지 말하기 습관을 지니고 있었다.
1) 익숙한 주제라도 '새로운 시각'을 가지고 사물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본다.
2) '폭 넓은 시야'를 가지고 일상의 다양한 논점과 경험에 대해 생각하고 말한다.
3) 열정적으로 자신의 일을 설명한다.
4) 언제나 '자기 자신'에 대해서만 말하려 하지 않는다.
5) 호기심이 많아서 좀 더 알고 싶은 일에 대해서는 '왜?'라는 질문을 던진다.
6)상대에게 공감을 나타내고 상대의 입장이 되어 말할 줄 안다.
7) 유머 감각이 있어 자신에 대한 농담도 꺼려하지 않는다.
8) 말하는 데 '자기만의 스타일'이 있다.

 

조부모님이나 나이 드신 분들을 기억하고, 어렸을 때 그들과 함께 보낸 당신의 경험이나 그분들의 말씀과 인생에 대한 통찰력을 기억해보라.
당신과 다른 환경에서 살아온 그분들이 당신의 대화 레퍼토리를 더욱 풍부하게 해줄 것이며 당신의 사고의 폭을 넓혀줄 것이다.

 

 

 

『하나, 책과 마주하다』

 

듣는 것보다 어려운 것이 말하는 것일지도 모르고 반면에 말하는 것보다 어려운 것이 듣는 것일지도 모른다.

당신은 어떠한가?

 

나같은 경우는 상대방의 말 하나하나에 귀기울여 듣는 타입을 잘하는 편이고 내가 하고자 하는 말을 논리정연하게 어느정도는 하는 편인 거 같다.

아나운서가 꿈이였는지는 모르겠으나 집 현관에 걸려있는 거울을 바라보며 아나운서, 기자 흉내를 내며 뭐라고 막 쏼라쏼라했다고 한다.

유치원때부터 초등학교 저학년때까지 그랬다고 하니 그걸 바라보는 어른들은 배꼽을 잡고 웃었다고들 가끔씩 얘기해준다.

발표시간이 처음에는 거리낌이 없었는데 나이가 들수록 거리낌보다는 항상 두려움이 엄습했던 것 같다.

내 스스로가 두려움을 가져서 그런거겠지만 처음에는 그렇게 떨다가도 막상 중반부터는 떨림은 커녕 말이 술술 나오기도 한다.

말을 잘하기 위해서는 말하는 것에 대해 두려움이 없어야한다. 나 또한 그 두려움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고 또 노력한다.

 

성공한 사람은 대개 말을 잘하는 사람들이다. 즉, 말 잘하는 사람들이 대개 성공한다.

사회에서 촉망받는 이들을 보면 말을 청산유수처럼 내뱉는 사람들이다. 말을 잘하고 있다는 것은 상대방과 호흡을 맞추고 있다는 증거이기 때문이다.

나도 상대방과 호흡하기 위해 항상 귀기울이고 배려하고 말하기를 습관하는데 이미 8가지 말하기 습관을 지키고 있어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1) 익숙한 주제라도 '새로운 시각'을 가지고 사물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본다.
2) '폭 넓은 시야'를 가지고 일상의 다양한 논점과 경험에 대해 생각하고 말한다.
3) 열정적으로 자신의 일을 설명한다.
4) 언제나 '자기 자신'에 대해서만 말하려 하지 않는다.
5) 호기심이 많아서 좀 더 알고 싶은 일에 대해서는 '왜?'라는 질문을 던진다.
6)상대에게 공감을 나타내고 상대의 입장이 되어 말할 줄 안다.
7) 유머 감각이 있어 자신에 대한 농담도 꺼려하지 않는다.
8) 말하는 데 '자기만의 스타일'이 있다.

 

물론, 다 아는 이야기들이 즐비할 수 있으나 이렇게 정리되어 있는 것을 보면 자신의 말하기실력을 점검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토크쇼의 제왕인 래리 킹에게 말하는 스킬을 전수받고 싶다면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