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6862857

기사는 연합뉴스 소개입니다.















종이책과 전자책으로 동시 출간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번달에 읽은 인문교양서는 여러모로 감동적이었다.

일단 첫째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뇌과학, 심리학, 철학을 혼용하며 푼다. 오늘날의 인문학이란 것은 당연히, 당대 과학의 성과들을 반영해야만 한다. 특히 '나는 누구인가'와 같은 질문은 뇌과학이나 심리학의 도움없이 단지 '철학사'적인 연구로만 푼다면 이는 오늘날의 질문에 대한 '철학적' 대답이 아니라 철학사적 정리일 뿐이다. 당대 최고의 철학자들이 당대의 과학들과 대화하면서 글을 썼듯이 (라이프니츠, 칸트, 다산 등), 오늘날의 인문서도 그래야 한다는 것을 잘 보여준 책.

 

 

 

 

 

 

그 다음에는 그렇게도 한국에서 유명세를 떨쳤던 센달교수의 '정의란 무엇인가'. 아직 번역본을 보지는 못했지만, 원작이 쉽게 쓰여진 만큼 번역도 괜찮을 것이라 믿어본다. 이것도 '정의란 무엇인가'를 정의에 대한 철학사적 주석이 아니라, 지금-여기(미국)에 일어난 일들을 중심으로 해서 과연 이러이러한 상황에서 '정의란 무엇인가'를 묻는다. 예를 들면 카타리나 폭풍의 이재민들을 상대로 엄청난 액수로 바가지를 씌우는 판매업자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테러리스트를 고문해서 설치한 폭탄의 위치를 알아내는 것은 과연 정당화될 수 있는가? 무인도에 표류했을 때 3명이 살기 위해서 1명을 살해해서 먹은 사건(실제로 최근에 영국에서 일어난 사건이라 한다.)은 정당화 될 수 있는가. 등등 '정의'라는 것이 단지 추상적으로 철학사적으로 평가되는 것이 아니라, 실생활에서 구체적 사건에 대해서 어떤 관점이 정당화될 수 있는지를 물으면서 칸트, 벤담, 밀, 롤즈 등의 논의를 자연스럽게 끌어온다. 이것이야말로 오늘날의 의미에서의 철학이 아닌가.

 

이 두책이, 오늘날 진정한 의미의 인문교양서라고 생각한다.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플라톤, 칸트, 마하 등의 생각을 오늘날의 인지심리학, 생물학, 뇌과학 등에 융합하여 사유하는 것. 또는 '정의란 무엇인가'를 지금-여기의 논란이 되는 사건을 통해서 물음으로써, 자연스럽게 정의에 대한 철학적 사유에 대해 관심을 갖게 한다.

한국의 학자들도, 이 '지금-여기'를 통해 이런 물음을 충분히 던질 수 있을 것이다. 쌍용차 사태, 삼성 백혈병, 원전사태에 대한 인문서가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윤아를 재울 때마다, 옆에서 코엘료의 "연금술사"를 읽었는데, 오늘에서야 다 읽었다. 읽고 나서, 루카치 "소설의 이론"의 저 유명한 문장이 떠오른다. "별이 빛나는 창공을 보고, 갈 수가 있고 또 가야만 하는 길의 지도를 읽을 수 있던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 그리고 별빛이 그 길을 훤히 밝혀 주던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

 

 그러나 근대는 이것이 파편난 세계라는 것인데, 코엘료는 이를 잘 포착해서 그야말로 '힐링'한다. 별을 '자아의 신화'로 바꾸면 이 소설이 된다. 자기가 진정 하고 싶은 일을 찾아서 이루라는 것. 그런 의미에서 이 소설은 중세적이며, 동시에 근대적이며, 제목이 '연금술사'라는 것도 이 중세적이며 동시에 근대적인 성격을 보여준다. 아이작 뉴튼처럼, 찬란한 근대인이면서 동시에 중세적인 ...연금술사였던 이들. 혹은, 연금술이라는 것 자체가 중세적인 분위기를 풍기지만, 근대 화학 탄생에 결정적 역할을 했던 것처럼, 코엘료는 신이 사라진 시대에, 근대적 '자아' 그러나 그 '자아의 신화'를 역설한다.

 

 

 

 

이와 함께 요즘 심심할 때마다 뒤적이는 책은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의 "나는 누구인가'인데, 출간되었을 때 사놓고 지금에서야 본다. '나는 누구인가'를 철학, 심리학, 뇌과학의 입장에서 쓴 책인데, 코엘료를 읽고 이를 읽으면 코엘료의 연금술의 '자아'란 무엇인가를 물을 수 있다. 인문학 새내기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 인문학도들은 당연히 심리학과 뇌과학을 공부해야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몇몇 흥미로운 통찰들이, 근대(성)을 바라보는데 새로운 시각을 준다. 특히 근본적인 측면에서. 

그는 modern을 일종의 비유라고 파악하며, 이것은 늘 '다시쓰기'를 불러일으킨다고 한다. 그런 측면에서, 이는 리비도적인 충동과도 연결시킨다.  (1장의 3)

이러한 근본적 사유를 접할 때, 내 기존 생각들이 얼마나 무비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는가를 깨닫게 된다. modern은 항상 '시기'구분과 연결되어 있음으로 '처음'이라는 욕망과 연결된다. 이 modern 또한 담론이며, 그 속에서 일종의 'narrative category'라 볼 수 있다. 

대학교육의 근본이 비판적 사고일지언데, modern을 알게 모르게 구체적 실재를 지시하는 '개념'으로 무비판적으로 가정하고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ow few people really know what a past is: There can in fact be no past without a powerful present, a present achieved by the disjunction [of our past] from ourselves. That person incapable of confronting his or her own past antagonistically really can be said to have no past; or better still, he never gets out of his own past, and lives perpetually within it still. (pp24~25) 

'과거'와 대면하게 되는 순간, 이는 과거로 정립되며 동시에 현재를 부각한다. 얼마전 오랜만에 만난 선배가, 선배로서 미안했었다는 이야기를 해서, 나를 당혹하게 했다. 너는 국문과에 들어오지 않았어야 했는데라는 말.

박사논문에, 신자유주의 체제 하에 아비로 산다는 것에, 그 밖의 이런저런 일상의 피곤함들에, 과거는 잊혀진 채 있었다. 선배로서, 선배가 해주었어야 했지만 아무것도 못해주었다는 그의 발언은, 내가 방기하고 있었던 많은 기억들을 떠올리게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