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키의 팬은 아니지만, 그래도 소설은 4권, 에세이는 이 책까지 3권째다. 옴진리교와 지하철 사린 사건를 다룬 『언더 그라운드』를 미리 사 두었다.





























알게 된 지 얼마 안 된, 친하지 않은 동네 문화센터 미술 선생님과 초상화를 그리기로 만난 첫 번째 자리에서 자기 가슴 작아서 걱정이라고 고민 상담하는 여고생 등장하는 것 빼고는 『기사단장 죽이기』를 가장 재미있게 읽었다. 그렇게나 단정한 사람 혹은 단정해 보이는 사람이 그렇게나 집착하는 문제는 역시나 '성'인가. 혹은 ‘성‘ 뿐인가.

소설을 써야겠다 결심하는 순간에 대한 이야기는 유명하다. 진구 구장에서 다카하시가 던진 제1구를 힐턴이 깔끔하게 띄워 올려 2루타를 쳤을 때, 하루키에게 찾아온 깨달음. 그래, 나도 소설을 쓸 수 있을지 몰라. 그는 소설을 썼고, <군조> 신인상을 받았다. 잘나가던 재즈 카페를 정리하고, 소설 쓰기에만 전념해 보기로 하고, 그리고는 영영 소설가가 되었다. 간절히 원하지 않았는데도 이루어진 소망. 마음을 다해 갈망하지 않았는데도 받게 된 선물. 그가 노력하지 않았다는 건 아니다. 부단히 애쓰지 않으면 그렇게나 오랫동안, 그렇게나 널리 읽히지 않았을 테니 말이다.

운동하러 나가기 싫을 때, 하루키의 속마음 토크가 재미있었다.

Whenever I feel like I don't want to run, I always ask myself the same thing: You're able to make a living as a novelist, working at home, setting your own hours, so you don't have to commute on a packed train or sit through boring meetings. Don't you realize how fortunate you are? (Believe me, I do.) Compared to that, running an hour around the neighborhood is nothing, right? (46p)

지금의 삶에 대한 만족과 감사 없이는 할 수 없는 말들이다. 하루키가 다른 책에서도 여러 번 강조하고 반복했듯이 그는 자신의 직업, 그리고 그 직업을 영위할 수 있었던 환경, 조건에 감사한다. 『직업으로서의 소설가』에서 이렇게 표현했듯이.


내가 오랜 세월에 걸쳐 가장 소중히 여겨온 것은(그리고 지금도 가장 소중히 여기는 것은) '나는 어떤 특별한 힘에 의해 소설을 쓸 기회를 부여받은 것이다'라는 솔직한 인식입니다. 그리고 나는 어떻게든 그 기회를 붙잡았고, 또한 적지 않은 행운의 덕도 있어서 이렇게 소설가가 됐습니다. 어디까지나 결과적인 얘기지만, 나에게는 그런 '자격'이 누구에게서인지는 모르겠으나 주어진 것입니다. 나로서는 일이 그렇게 된 것에 대해 그저 솔직히 감사하고 싶습니다.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58쪽)

내 눈을 사로잡았던 문단은 여기다.

Whenever the seasons change, the direction of the wind fluctuates like someone threw a switch. And runners can detect each notch in the seasonal shift in the feel of the wind against our skin, its smell and direction. In the midst of this flow, I'm aware of myself as one tiny piece in the gigantic mosaic of nature. I'm just a replaceable natural phenomenon, like the water in the river that flows under the bridge toward the sea.(91p)

대체가능한 자연 현상으로서의 나. 그런 나 자신을 안다면, 내가 그런 존재라는 걸 인지한다면 왜. 왜, 그는 그리도 열심히 사는 걸까. 살 때까지 혹은 살 수 있을 때까지 건강하게 살려고? 그건 이유가 안 된다. 80대 후반에도 건강한 근육을 유지하고, 건강한 삶을 사는 일은 가능하겠지만, 95세에도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일상이 가능할 수도 있겠지만, 거기까지다. 100세 아니, 110세까지의 삶은 가능할 수 있겠지만 그 이상은 아니다. 우리는 언젠가 죽게 될 테고, 그리고 분해될 것이고, 사라질 것이다.

근육에 대한 그의 집착, 기계로서의 자기 인식은 적확하고 실제적이다. 그는 자신의 몸을 '다루려' 하고 '다스리려' 한다. 생명체로서의 한계에 도전하고, 그리고 적잖이 성공한다. 하지만, 그는 안다. 자신은 자연이라는 거대한 그림 속, 모자이크 속의 작은 조각이라는 사실을 말이다.

나는 그게 궁금한데, 항상 궁금하다. 우리의 삶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고, 현재의 이 시간, 기쁨과 고통조차 사실은 뇌 속 신경 세포 다발의 특정한 전기 신호 간의 화학적 반응의 결과일 뿐이며, 나 역시, 나의 육체 역시 한없이 부서져 그 형체는 물론 흔적조차 모두 사그라질 텐데, 그렇다면 왜 사는가. 왜, 지금 살아가고 있는가.

왜… 잘 살려고 하는가.

왜 좋은 사람이 되려고 하는가.

왜 살 때까지 살려고 하는가.

인생에는 의미가 있다고 믿으며, 우주에는 신의 섭리가 가득하며, 신의 계획과 섭리, 교회에서 쓰는 전문용어로 신의 은총과 사랑 속에, 그 속에서 비로소 존재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나는, 내가 이해하는 범위 너머의 특별한 의미가 있다고 믿고 있는 나는, 궁금하다. 무의미한 세계, 목적 없는 우주에서 a just replaceable natural phenomenon인 스스로를 긍정하며, 열심히 살아가는 그 삶을. 노력하는 그 삶을. 진지한 그 삶을. 궁금해서, 궁금하니깐 그다음 책을 펼친다.













정희진쌤의 픽 『죽음: 이토록 가깝고 이토록 먼』, 그 책 대출하려 갔을 때 그 옆에 있었던 『죽음에 대하여』, 그리고 그 옆의 옆에 있었던 『죽음이라는 이별 앞에서』를 김치냉장고로 옮겨둔다. 나는 사뭇 진지하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이드 2025-02-09 07:5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와- 첫 인용은 제가 맨날 저한테 물어봐야 할 말이네요. 출퇴근이라고 생각하고 뛰기.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요즘은 날씨 구져서 꼼짝도 안 했지만요. 하루키 글이랑 영어라는 언어랑 잘 맞는 것 같아요. 저도 표지는 다르지만, 이 책 있어서 당장 꺼내놨습니다.

공쟝쟝 2025-02-09 08:2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요즘 제가 라캉에 진지한 편이라… 그럼 왜 그러냐? 라고 물으시면 그건 충동 때문이라죠 ㅋㅋ (성충동 딩동댕 죽음충동 딩동댕) 그게 올라올 때 마다 그걸 할 수는 없으니 열심히 달리기를 한다고 단발님이 저한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말씀하셨던 게 기억이나네요. 그러고 보니, 제가 한창 달렸을 때는 (말잇못)….

농담이고… 제가 읽었던 책에서 (맞아요 사사키 아타루) 신이요 완벽한 신이요 신이 굳이 세계와 인간을 만들었대요. 왜. 왜 그랬을까. 그는 완벽한데. 이유는 아시죠? 사랑해서. 사랑해서. (이쯤 되면 저는 사랑이 궁금해지지만… 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리고 이 목적없는 우주에서 신의 사랑으로 지어진 이 존재가요. (신이 인간을 사랑해서 아들을 수직적으로 내려 보내주었사온데) 신의 사랑을 감히 수평적으로 실천하기 시작했는 데, 그것이 연애의 발명, 띠로리…. 17세기 유럽에서 태어난 것이랍니다. 더 놀라운 점은. 그리하여 그 궁정 연애의 본질은. ‘유일성’‘(오로지 한 사람만을 연모하는 데)’에 있다고 하는데.. 단발님께서 평소 주장하고 계시는 지론들이 지독한 기독교 교리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은 아닌 것인가 의심하게 되는 나는… 계보학을 좋아하는 푸코빠 입니다. 메롱!

맥락없는데이터 2025-02-09 08:2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 댓글을 남긴 이유는 저도 최근에 하루키의 책 <What I Talk About When I Talk About Running>을 오디오북으로 듣고 있어서 감히 남겨봅니다. 더구나 인용하신 부분을 조금 전에 들었거든요! 저와 님의 해석이 조금 다른데, 님께서 ‘마음을 다해 갈망하지 않았는데도 받게 된 선물‘이라고 표현하신 부분을 저는 조금 다르게 받아들였어요. 저는 그가 무의식적으로 품고 있던 마음이 그날 야구장에서 선물처럼 주어진 게 아닐까 생각했거든요. 하지만 하루키에게 직접 물어볼 수 없는 것이니, 결국 우리가 느끼는 대로 해석하는 거겠죠. 그게 독자의 권리인 것 같아요. 마음대로 해석하기! 😂 어쨌든, 님의 밀도 높은 글 잘 읽었습니다. 이 글이 계기가 되어 죽음과 인생에 대한 더 열린 토론으로 이어지면 좋겠다는 생각이 스쳤습니다.

공쟝쟝 2025-02-09 08:28   좋아요 1 | URL
어머~!! 여기서 뵙다니 반가워요. 아이디 바뀌어서 못 알아볼 번했습니다, 혹시 오디오북이 어디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오더블인가요?)

맥락없는데이터 2025-02-09 09:44   좋아요 0 | URL
공쟝쟝 님을 위해 아이디까지 바꿨는데, 안 찾아오시길래 제가 오버했나 싶었어요. 그런데 못 알아보셔서 안 오신 거였군요. 😂 네, 오더블 맞습니다! 리스닝을 기르려고 듣기 시작했는데, 이제는 없으면 안 되는 앱이 됐어요.

공쟝쟝 2025-02-09 09:48   좋아요 0 | URL
맥락님~ (남의 페이퍼에서 다정함 자랑하기) 어머나….!! 제가 알라딘 북플 중독이라 (ㅋㅋㅋㅋㅋ) 사실 이걸 끊으려고 노력을 정말 많이 했거든요? (그치만 책 읽고 양질의 독후감을 나누기에 이만한 플랫폼이 또 있을까요) 앱깔고 한 번에 몰아서 시간내서 하는 데, 그동안 책도 끊어보려고 (독서 중독이라) 못 찾아뵈었다… (이 한심한 중독인생…)… 접속을 끊기가 어려운 중생이지만 접속하면 꼭꼭 들를테니, 서운해 말아주세요!! 헤헤~

공쟝쟝 2025-02-09 08: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아, 하나 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래서 오로지 한 사람만을 죽을 때 까지 연모하는 방식의 (서구유럽식) 연애는 지금 발명 재발명 되다 못해 일부 젊은 층에 의해 ‘드러워서 못해먹것다’로 수렴되고 잇는 가운데(?), 그러나 그 흐름도 이제 차차 사라져가고…. 남들이 좋다고 남들이 말 하니까 그걸 베껴 나도 하고 싶다. 뭐 그런 거라고 생각됩니다. 왜 잘 살려고 하는가, 왜 좋은 사람이 되려고 하는 가, 왜 살 때 까지 살려고 하는 가…. 물으신다면… 남들이 하니까… 라는 것이 (ㅋㅋㅋ 죄송합니다 본투비 기독교인에 대적하는 본투비 빨갱읍읍) 결론이 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지난 연휴에 하루키를 읽기 위해 로맨스 드라마를 몰아보기를 한 저는 요즘 연애가 하고 싶다! 입니다. 변우석과 이준혁과 ㅋㅋ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