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에는 큰애랑 뮤지컬을 보러 갔다. 애정하는 뮤지컬 배우 홍광호가 주연으로 나오는 <지킬 앤 하이드> 공연이었다. 잘하는 줄 알았지만 이렇게 잘하는 줄 몰랐다고 큰애가 말했는데, 똑같은 공연을 몇 년 전에 본 적 있는 나도 그렇게 느꼈다. 원래 잘했는데..... 이게 중요하다, 원래 잘했다는 거. 근데 그날은 더 잘하더라. 더 잘하는 사람이 되었더라.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20/pimg_7981871744577034.jpg)
지난주 초라 윤가 체포 전이었는데, 공연 장소가 관저와 가까운 곳이어서 지하철역에는 많은 시민들이 있었다. 태극기를 들고 패딩 차림의 시민들. 공연장 입구 넓은 공간에는 작은 매대가 있었다. 태극기와 성조기, 두 개에 1,000원.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20/pimg_7981871744577026.jpg)
제발 알아주세요. 미국이 우리를 창피해한다고요. 왜 성조기가 저기에서 나오냐, 하고 궁금해한다고요. 미국 하원의원이 MBC랑 인터뷰했잖아요. 한국군이 '셀프 어택'하고 북한군이 그런 것처럼 속여도 미국은 그것이 북한의 공격이 아니라는 걸 알고 있을 거라고요. 트럼프가 우리를 무시한다고요. 왜 성조기가 나오냐고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20/pimg_798187174457702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20/pimg_7981871744577028.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20/pimg_7981871744577029.jpg)
공연 다 보고 지하철역으로 들어서니 10시 반이 넘었다. 집으로 돌아가는 사람들을 또 만났다. 딱 보면 시위 다녀오는 사람들이다. 그분들을, 그쪽을 과소평가했던가. 그런 생각을 3초간 했다. 내가 진심인 것처럼 저분들도 진심일 수 있겠다. 내가 확신하는 것처럼 저분들도 확신할 수 있겠다. 그런 경우에 서로가 스스로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있을 때, 어떻게 접점을 찾아가야 하나.
가장 먼저 떠오르는 방법은 당연히 토론일 테고, 많은 사람의 다양한 의견을 충분히 고려하고 숙의할 시간은 부족하니까, 우리는 특정한 집단에 이 일을 맡기기로 했다. 정당이 그것일 테다.
사회적 합의가 불발되었을 때 마지막 타협책이자 해결책으로 작동하는 법원이 폭도들에게 습격을 당했다. 대통령을 보좌했고 지금은 구속 중인 대통령의 현 비서실장은 "헌정문란 목적의 폭동인지, 헌정문란을 멈춰 세우기 위한 비상조치인인지, 결국은 국민이 판단하게 될 것이다."라고 썼다. 그걸 본인은 모른다는 이야기인지, 국민이 모를 거라 생각하는지. 그러나 그걸 모르시네. 판단은 국민이 아니라, 법원이 할 테고, 법원은, 판사들은 모두 다 화가 나 있다는걸. 국민처럼, 국민과 똑같은 마음으로.
인기 있는 책이라 연장이 안 된다. 딱 2주인데 설 연휴라 이틀 뒤에 반납해도 된다고 그런다. 빨리 읽어야 한다. 나의 읽기는 윤석열 지지자들의 서울서부지방법원 습격 사건으로 열린다.
책은 트럼프 지지자들의 국회의사당 습격 사건으로 열린다. 이 사건이 단지 일부 열혈 지지자들의 소동일 뿐이었다면 '미국 민주주의의 붕괴'라는 표현까진 과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사건엔 전직 대통령이 직접 개입했고 공화당의 주류 정치인까지 선거에 불복했다. 책은 이렇게 정리한다. 주류 정치권이 극단주의 세력과 동맹을 맺을 때 극단주의는 헤게모니를 쥘 수 있는 동력을 얻는다고. 그러니까 민주주의의 진정한 붕괴는 민주주의의 중심에 있다고 여겨지는 이들의 윤리적 누수, 자발적 균열에 의해 발생한다. 저자들은 이들을 "표면적으로 충직한 민주주의자들"로 부르며 민주주의 붕괴의 요인으로 꼽는다. (편집장의 선택, 사회과학 MD 김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