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경험으로 무언가를 배울 수 있다는 말에 회의적이다. 다른 경험이 다른 생각과 느낌을 전해줄 수는 있지만, 그것이 ‘변화’에까지 이르는 게 생각보다 쉽지 않다고 믿기 때문이다. 좋은 양육 환경에서 행복하게 자랐던 어린 시절은 인생 전체를 돌아볼 때, 너무나 중요하고 소중하지만, 가난의 수모와 무언가의 결핍과 쓸쓸함과 고적함과 외로움이 인생 어느 순간에 자신을 만들어 가는 좋은 재료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나는 좀 순진한 편이고, 아직도 세상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만약 경험이 그렇게나 중요하다면, 경험되지 않은 경험에 대해서는 말할 수 ‘없게’ 된다. 인간은 시간과 공간의 지배를 받는 존재이기 때문에 말할 수 있는 경험의 최대치가 상당히 축소된다. 이를 여성주의의 주제로 가져오면 더 복잡해진다. 당사자 혹은 피해자만 말해야 하는 상황이 펼쳐진다. 너는 몰라, 너는 내 사정을 몰라, 라는 말을 듣기 십상이다.
하지만, 세상 속에는 직접 경험한 사람들만 말할 수 있는 그런 일들이 있다. 소중한 사람을 갑작스럽게 사고로 잃은 일이 그렇고, 꽃같이 예쁜 어린 자식을 먼저 보내는 일이 그런 일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겪지 않은 사람이 이해하거나 공감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는 그런 일들이 세상에 있기는 하다.
『페이드 포』의 저자는 7년 동안 성산업에 종사하였다. 글쓴이의 포지션, 누가 말하는가는 페미니즘의 중요한 이론적 주제이다. 모든 글쓰기는 자기재현이지만, 경험이 저절로 글이 되는 것은 아니다. 경험은 정치적, 인식론적으로 선택되고 구성된 기억이다. 체험과 글쓰기는 또 다른 영역이다. 경험과 지식, 독서량과 무관하게 글에는 소재의 제한이 '있다'. 당사자이기 때문에 쓸 수 있는 글도 있지만, 실은 당사자이기 때문에 쓸 수 없는 혹은 쓰기 어려운 글이 훨씬 더 많다. (<추천사> 정희진, 글쓰기의 정치학과 윤리를 생각한다, 9쪽)
이번에 두 번째로 읽는데도 참 힘들다. 나는 여성이라면 누구든 이 책을 읽는 일이 힘들거라고 추측한다. 그렇게 힘들게 한 줄, 한 줄 이 글을 써 내려갔을 저자를 생각하며 읽는다. 이 책은 그렇게 힘들게 읽을 만한 가치가 있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