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기한 독 ㅣ 온 겨레 어린이가 함께 보는 옛이야기 3
홍영우 글.그림 / 보리 / 2010년 10월
평점 :
이렇게 제목을 정해 놓았던 게 5월 중순 같은데 정확히는 기억이 안 난다. 매일매일 새로운 뉴스로 이전의 쇼킹한 뉴스를 덮는 요즘이라 더욱 그렇다. 그때는 일본에 대한 뉴스로 한참 시끄러울 때였다. 국민 전체 아킬레스건, 일본 문제를 건드린 윤. 오므라이스 먹으며 독도를 갖다 바치는 건 아닌지 심하게 걱정했었다. 그때쯤, 몇 개의 시국선언이 눈에 들어왔다.
아주 옛날 일이라 요즘 사람들은 모를 수도 있겠다. 노무현 대통령과 맞대결 후보였던 이회창의 지지율이 밤낮으로 엎치락뒤치락하던 때, 그러니까 대선을 한 달 정도 남긴 시점에 각종 단체에서 시국선언이 이어졌다. 호남 지역 교수들에게서 시작된 시국선언은 교육계와 노동계까지 오랜 기간 계속되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지금에서야 할 수 있는 말이지만 보수당의 대통령 후보로서 이회창은 양호한 사람이다. 본인 포함 그 집 남자 3명이 모두 군대에 가지 않은 신기록만 아니었다면, 이회창은 이 나라의 대통령이 되었을 것이다. 아, 그리고 IMF. 자질은 모르겠지만 적어도 이회창은 대통령직을 수행할 만한 ‘능력’이 있는 사람이었다고, 나는 생각한다. 이명박, 박근혜, 윤석열을 기억하자. 이회창에게는 적어도 보수의 ‘품격’을 조금은 기대해도 됐었으리라.
윤석열 정부의 무능과 패악, 무엇보다 ‘이해할 수 없는’ 특이한 정책과 그 정책의 집행에 대해서 비판하는 소리를.... 아, 듣기에도 피곤하다. 그래서 뉴스를 안 보고, 안 읽고 산다. 엉망이 되었다고 말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이건 모르고 당하는 고생’이 아님을..... 힘주어 말하고 싶기는 하다.
우리는 몰랐나. 우리는 정말 몰랐다고 말할 수 있나. 나는 사태의 결국, 윤석열의 당선에 언론이 지대한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 물론 김대중, 노무현도 적대적인 언론 환경에서 싸웠고, 지난한 혈투 속에 결국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그때와 지금의 다른 점은, 그때는 종편이 없었다는 점, 그때는 티비조선이 없었다는 점, 그때는 임영웅이 없었다는 점을 들 수 있겠다.
우리는 정말 몰랐나. 전 국민이 지켜보는 방송사 토론회에 나오면서 손바닥에 ‘왕’ 자를 쓰고 나타나는 사람인 것을, ‘일주일에 120시간이라도 바짝 일해야 한다’라고 말하는 사람인 것을, ‘후쿠시마 원전 폭발은 없던 일이다. 원전 자체가 붕괴된 것이 아니어서 방사능 유출은 안 됐다”라고 말하는 사람이었음을, 정말 몰랐다고 할 것인가.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를 잊은 듯한 미국에 대한 저자세 외교, 일본에 대한 굴욕 외교, 중국/러시아/북한에 대한 막가파 외교를 걱정하는 소리가 높다. 그다음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였고, 이제 백년지대계 교육 문제까지. 대통령 투표 결과로, 촛불의 힘으로 대통령에 당선된 이전 정부조차 ‘반국가단체’라고 부르는 호기. 그 결기 혹은 객기를.
우리는 정말 몰랐나. 몰랐다고 말할 수 있나. 윤석열이 아니면 이재명이었을 텐데. 평생 민주당을 지지했지만, 지난 대통령 선거에서 이재명을 선택하지 않은 사람들을 나는, 알고 있다. 험한 인생에, 흠과 결격사유가 왜 없을까. 하지만, 대통령 중심제의 이 나라에서 윤석열 vs 이재명이라는 선택지 앞에 사람들은 윤석열을 택했다. 윤석열도 싫지만, 조국이 더 싫고, 국민의힘이 밉지만, 민주당은 더 밉고... 그렇게 우리는 윤석열 보유국의 희한한 역사 속으로...
그 일, 그 정치적 결정이 내 삶에 영향을 미치기 전까지, 그때까지는 그냥 모른 척 한다. 길을 걷다가 젊은이들 158명이 한 자리에서 죽었는데도 사람들은 모른 척한다. 멀쩡한 청와대에 들어가지 않겠다 해도 모른 척한다. 북한을 자극하고, 일본에 엎드리고, 미국 파티에서 대통령이 바보가 되어 돌아와도, 우린 다 모른 척한다. 그리고 방사능 오염수를, 우리 집 앞마당에 붓는다니 그제야 조금 정신을 차리려고 하다가, 수능 문제 가지고 설레발을 쳐대니 그제야, 사람들이 조금씩 말을 하기 시작한다. 진짜 이상한 시대를 우리가 살고 있음을 재차 확인하는 슬픔.
이미 알고 있는 이 절망과 앞으로도 많이 남아있는 암담한 시간을 어떻게 보내야 할까. <신기한 독>을 읽어보며 생각해 보자. (유부만두님, 보소서!! 이 부분은, 유부만두님 특별 헌정입니다^^)
옛날 어느 마을에 농사꾼 하나가 살았다. 괭이질하다가 괭이에 뭐가 걸려 살펴보니 커다란 독이다. (예의 그 주인공, 신기한 독이다) 모양이 찌그러진 헌 독이라 그냥 버릴까 하다가 아까워서(재활용 정신) 집에 가져와서는 그 속에 괭이를 넣어두었다. 다음날 일하러 가려고 괭이를 꺼내니 괭이 하나 나오고, 독 안에 괭이 하나 더. 그것마저 꺼내니 하나 더? 앗? 이건 뭐지? 1+1도 아니고? 신기한 마음에 엽전 넣어보니, 엽전에도 같은 현상이…. 농사꾼의 신기한 독 이야기는 소문을 타고, 마을 부자 영감 귀에 들어간다. 부자 영감은 이 밭의 원래 소유자였던 돌아가신 할아버지를 들먹이며 ‘신기한 독’의 소유권을 주장한다. 마음씨 착한 농사꾼은 이 독을 부자 영감에게 주려고 하지만, 마을 사람들은 부자 영감 행복해질 그 꼴이 보기 싫어 원님에게 재판을 받으라 권한다.
원님 앞에서 이루어지는 ‘하나 더’의 기적. 이제 부자 영감이 문제가 아니라 원님이 문제다. 신기한 독이 탐이 난 원님은 두 사람에게 이 귀한 물건을 나라에 바치라 명을 내린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701/pimg_7981871743913612.jpg)
그러고는 그날 퇴근길에 그 독을 자기 집으로 가져간다. 무얼 넣으면 좋을까, 행복한 고민을 하면서. 대청 마루에 고이 모셔둔 소중하고 소중한 신기한 독. 독 안을 들여다보시던 원님의 늙으신 아버지, 독 안으로 쏙 들어가시고. 아버지 꺼내니 다시 아버지. 그 아버지 꺼내니 또 아버지. 마루 가득한 아버지들의 뜨거운 한 판. 아버지들의 야단법석에 신기한 독은 깨지고 마루에는 아버지만 그득. 끝.
책은 선택에서부터 이미 하나의 ‘경향’이다. 어느 방향으로든 가게 되어 있다. 작가, 그림, 출판사가 모두 그렇다. 나는 <신기한 독>을 골랐다. 선택은 아이들이 하겠지만 아이들의 선택은 어디까지나 내가 도서관에서 선택한 책의 범위 ‘안에’ 있다. 이야기를 읽고 그림을 본다. 그리고, 이 장면에서 내가 묻는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701/pimg_7981871743913598.jpg)
원님이 그 독을 자기 집으로 가져가네. 이것 봐. 원님은 그 신기한 독에 무엇을 넣을까 고민하느라 완전 즐거운 표정이다, 그치? 근데 이 사람들은 뭐하고 있어? 마을 사람들은 뭐하고 있는 거 같아? 잘 봐봐, 이 사람들, 뭐하고 있는 거 같아? 눈을 흘기면서 입을 삐죽빼죽하고 있잖아, 그치? 이 사람들….. 원님 욕하고 있다? 내가 보기엔 그래. 원님이 재판 받으러 온 농사꾼과 부자 영감에게 이 신기한 독을 나라에 바치라 하고서, 그 신기한 독을 자기 집으로 가져 가잖아. 그러면 안 되는데. 그걸 막을 수는 없어, 왜냐하면 원님이니까. 그래서, 사람들은 뭐해? 욕을 한다, 그렇지? 그때는 여론이라는 말도 없었을 테지만 말이야. 평판은 무시할 수 없거든. 사람들이 욕을 하고 있어. 그게 할 수 있는 일이니까. 원님이 포졸을 앞세워 그 신기한 독을 자기 집으로 가져가는 걸 막을 수는 없지만, 욕은 할 수 있으니까. 욕을 해야지, 원님 욕을… 원님 욕 많이 해야 해. 흥! 원님 나빴어! 이렇게 욕을…
이제 겨우 1년 지났고, 앞으로도 4년이 남았다. 지금까지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대한민국을 경험하게 될 것 같은 불안한 예감. 선거를 통해 당선된 대통령, 탄핵도 어려울 것 같은 상황. 그래도 여기가 내 방이고 내 담벼락이어서, 나는 원님 욕을 여기에 쓴다. 신기한 독 마음에 든다고 집에 가져다 놓으면 아버지 쏙 들어가셨듯이, 검찰 앞세워 수사권 마음대로 휘두르면 결국 신기한 독은 깨지고 마당에 아버지만 가득할 것이다.
일본 방사선 오염수 방류 반대한다.
일본에 대한 굴욕 외교 반대한다.
북한에 대한 적대적 외교 노선 반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