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ven Husbands of Evelyn Hugo』는 일생 말기에 회고록을 쓰려는 Evelyn Hugo의 과거와 그녀의 작업을 돕는 Monique의 현재가 겹쳐지며 서술된다. 일곱 명의 남편을 가졌던 에블린과 이혼의 상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모니크. 자신이 가진 아름다움을 통해 가난에서 탈출해 최고의 자리에 오른 에블린과 그녀가 가르쳐준 기술(?)을 토대로 더 나은 자리에 오르려는 모니크. 모니크의 제일 중요한 질문, 최종 질문은 이것이다. 7명의 남편 중에 에블린이 가장 사랑했던 사람은 누구였을까. 그녀의 진짜 사랑은 누구였을까. 중간 정도 읽으면 답을 알 수 있는데 알려 줄수는 없겠다.
모니크가 아빠를 회상하는 장면이다.
He told me he wanted to do work that invigorated him. He said, “You have to do that, too, Monique. When you’re older. You have to find a job that makes your heart feel big instead of one that makes it feel small. OK? You promise me that? (89p)
heart feel big. 가슴 벅차게 하는 일이라. 자신을 작게 느끼게 하는 일 대신, 가슴 뛰게 하는 일을 하라고. 그런 일을 하라고 모니크의 아빠가 말한다. 6살의 모니크에게 약속하자고 한다.
어디 일만 그럴까. 가슴 뛰게 하는 사람이 있고, 펄떡이는 가슴조차 냉랭하게 만드는 사람이 있다. 만나면 기분 좋은 사람이 있고, 만날 때마다 기분 상하게 만드는 사람이 있다. 『딸에게 주는 레시피』에서 공지영은 말했다. 친구와 만나고 돌아오는 길에 쇼윈도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 ‘그래, 괜찮아. 나 오늘 쫌 멋진 거 같애’라는 생각이 든다면 그 친구는 좋은 친구. 친구와 만나고 돌아오는 길에 쇼윈도에 비친 자신의 모습이 왠지 모르게 초라해 보인다면 그 친구는 다시는 만나지 말아야 할 친구. (정확히는 아니고, 대략적인 내용이 그랬다)
영화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에서 잭 니콜슨은 연인에게 고백한다. ‘당신은 나를 더 나은 사람이 되고 싶게 만들었어요.’ 결국 좋은 우정이란, 좋은 사랑이란 그런 게 아닐까. 나를 더 나은 내 모습으로 만들어주는 힘. 내 안에 숨어있는 근사한 내 모습을 발견해 주는 힘. 그리고 그것에 대해 알려주는 힘.
자기 과시와 인정 욕구에 목숨을 거는 우리 인간이, 우리 사람 종이 타인에게 기대하는 건 뭘까. 정확한 상황 인식, 냉철한 사태 파악, 객관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판단. 은 아닐 거라고 생각한다. 이해와 공감, 지지와 격려가 아닐까. 그 앞에 ‘따뜻한’이 추가되면 더욱 그럴 테고.
heart feel big. 가슴 벅차게 만드는 사람을 만났다. 라떼를 마시고, 책 이야기를 한참 하고 나니, 가슴이 한껏 벅차올라 집에 돌아오는 길에는 한참이나 숨을 가다듬어야 했다. 엘리베이터 속 거울에 비친 내 모습이 근사해 보였다. 그 사람도 그랬으면, 그 사람도 그걸 알았으면 좋겠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09/pimg_798187174330048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