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다는 보부아르의 주장에서 옳은 점이 있다면, 여성 자체가 과정 중에 있는 용어라는 것, 즉 시작하거나 끝난다고 당연하게 말할 수 없는 구성 중에 있다는 것, 되어가는 중에 있다는 입장을 따른다는 점이다. … 젠더는 본질의 외관, 자연스러운 듯한 존재를 생산하기 위해 오랫동안 웅결되어온 매우 단단한 규제의 틀 안에서 반복된 몸의 양식화이자 반복된 일단의 행위이다. (147)

 


여성 자체가 과정 중에 있는 용어라는 것을 완벽한 여성은 없다로 이해해도 괜찮을까 싶다. (단정하는 게 아니고, 묻고 있는 중입니다) ,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여성상 혹은 완벽한여성상이 존재하고, 그 여성상에 가까운 사람에게 당신은 매우 여성적이군요라고 말할 수 있겠지만, 실제로 그렇게 완벽한여성이란 아예 존재하지 않으며 (혹은 존재할 수 없으며), 우리가 여성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는 그의 행동, ‘여성적이라고 규정되는 행동의 수행이 자연스럽고, 능숙하기 때문인데, 그때 여성적이라는 개념은 생물학적으로 결정된 섹스보다는 사회적 압력과 합의에 의한 젠더와 더 큰 상관관계가 있다. 버틀러가 말한바 젠더는 반복된 몸의 양식화’, ‘반복된 일단의 행위란 이런 의미일 거라 생각한다. (강한 추측)  

 














난티나무님의 놀라운 재발견에 따라한국 남성을 분석한다』 중 버틀러에 관한 부분을 다시 읽었다. 남성()과 여성()은 존재가 아니라 반복적 수행을 거쳐 구성되는 사회적 규범(norm)이자 임의적 범주(category)라는 것이다.(40) 이 문장에 다시 한번 밑줄을 그었다.

 














똑똑이 친구가 추천해준 조현준의 『쉽게 읽는 젠더 이야기』를 3분의 1 정도 읽었는데 중요한 부분은 여기 63쪽인 듯하다. 중요해 보이는 질문에 답하다 보면, 그것이 버틀러의 가장 핵심적인 주장과 닿아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젠더 트러블>은 이 사회가 이성애 중심 사회라면

1) 정말 여성/남성을 분명하게 구분할 수 있는지 ; 없다

2) 여성성/남성성의 내적 본질이 있는지 ; 없다

3) 동성애/이성애의 확고한 이분법이 가능한지 ; 가능하지 않다

를 심문합니다. (63)

 


『젠더 트러블』이라고 하는 어마어마하게 어려운 책의 번역자이기도 한 조현준의 문장 중에서는 특별히 71쪽에 눈길이 간다. 나는 또 새삼 프로이트가 궁금해지고.

 


마지막으로 나의 젠더는 사랑했던 사랑의 대상이 구성합니다. 내가 누군가를 무척 사랑했다가 이별했다면 그 대상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내 안에 남아 있습니다. 보통은 일정 기간 동안 대상을 끌어안고 있다가 서서히 잊게 되지요. 그런데 그 대상이 내 안에 남아서 나의 일부를 구성해 버리면 잊을 수가 없을뿐더러 그 대상을 나의 일부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그리고 내 안에 들어와 있는 내가 사랑했던 대상을 인정해야 합니다. 이렇게 내가 된 사랑의 대상을 애증의 감정 때문에 미워하게 되는 것 그래서 사실상 내가 나를 괴롭히는 것을 프로이트는 우울증이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사랑하던 대상이 나를 구성하는 방식은 우울증의 방식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71쪽) 

 



오늘 서울 최고 기온 36. 더위랑 버틀러랑 싸우면 누가 이길까. 버틀러가 이긴다고 본다, 내가 보기에는.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1-07-25 22:06   좋아요 8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번주말에 트러블 끝내서 트러블 없는 삶을 살겠다! 하였지만 트러블을 뒤로 미뤄두는 바람에 트러블과 계속 만나야할 것 같아요.
저도 저 책 정희진 쌤 때문에 샀었는데(한국남성을 분석한다) 그 다음은 기억이 안나네요? 다 읽은건지, 팔았는지, 책장에 있는건지, 안읽은건지..
인생..

아무튼 열심이 젠더 트러블 중이시군요. 무더위에 고생이 많으십니다. ㅠㅠ 이게 다 제 탓입니다. ㅠㅠ

단발머리 2021-07-25 22:37   좋아요 6 | URL
저는 이제 막 190쪽을 지나가고 있다는 기쁜 소식ㅋㅋㅋㅋㅋㅋㅋㅋㅋ을 전해 드리며, 저기 위에 정희진쌤 책은 다락방님 책장 어딘가에 꽂혀 있을 거 같습니다. 제 예감이 그래요.

저도 주말에 마치는게 목표이긴 했습니다. 이 책은 한 번은 꼭 읽고 지나가야 할 책이라 생각해서요. 많이 힘들지는 않지만, 그래도 어렵기는 해요. 그죠?

공쟝쟝 2021-07-26 09:06   좋아요 0 | URL
트러블 있는 한주 되세요 😜

단발머리 2021-07-27 17:58   좋아요 2 | URL
이거 굿모닝 인사 맞아요? 트러블 있는 한주 되세요?!? 🤔

미미 2021-07-25 22:15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아니 <쉽게 읽는 젠더 이야기> 최근에 사 두었는데 이 책도 조현준님 꺼군요;;<한국남성을 분석한다>도 있습니다! 다행ㅋㅋ

단발머리 2021-07-25 22:38   좋아요 5 | URL
네네, 그 조현준님이 이 조현준님 맞습니다. 저도 <한국 남성을 분석한다> 다시 꺼내 읽고 있어요.
저에게도 다행이고 미미님도 다행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수이 2021-07-25 23:04   좋아요 7 | 댓글달기 | URL
이런 글 읽으면 좋아서 어쩔 줄 모르겠습니다. 저는 다 읽었습니다. 다 읽어도 무슨 말인가 하고 한숨을 크게 내쉬었습니다. 페이퍼는 아무래도 어려울 거 같습니다. 그냥 미미님이랑 단발머리님이랑 다락방님 페이퍼를 읽으며 음음 그렇군 하고 추임새를 넣는 걸로 만족하겠습니다.

단발머리 2021-07-26 09:33   좋아요 1 | URL
좋아하신다니 취향이 독특하시군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도 버틀러가 어려워요. 생각해보니 페미니즘 쪽에서도 이 쪽은 특히 안 읽어서 겁나 뭔 말인지 모르겠는.... 비타님 부럽군요. 벌써 다 읽으셨단 말이지요. 버틀러 없는 한 주 되시는 겁니까? 🤗

공쟝쟝 2021-07-26 09:0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우울증과 애도는 정말 좋아할 수 밖에 없는 분석이죠! 그걸 여기에 가져온 버틀러도 대단하고…! 저는 오늘 안에 사라살리의 버틀러 해설서 끝낼거예요, 힘을 주세요!!!! (아바라 사서 도서관가는 중)

단발머리 2021-07-26 09:30   좋아요 0 | URL
도서관이라면 오늘 내에 끝낼 수 있겠군요 ㅎㅎㅎ 시원한 바람 솔솔 불어와 버틀러도 솔솔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바라가 아이스바닐라라떼 맞아요? 맞는거 같아, 왠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공쟝쟝 2021-07-26 09:34   좋아요 0 | URL
아이스 바닐라 라테 맞사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

단발머리 2021-07-26 09:36   좋아요 1 | URL
나중에 만나서 우리 제일 큰 거로 한 잔씩 합시다! 제일 큰 거로!! 똭!! 😎

공쟝쟝 2021-07-26 10:09   좋아요 0 | URL
(아바라 쪽쪽 마시며) 크크크크크 😎

다락방 2021-07-26 12:47   좋아요 1 | URL
미치겠다 진짜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바라 라고 말하는 사람이나 그걸 또 맞히고 있는 사람이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사람들 왜케 재미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무튼 저는 아바라 타입은 아니고 아아 타입입니다.

이만 총총.

얄라알라 2021-07-26 19:1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사라살리의 버틀러 해설서 / 자꾸 공쟝쟝님 서재 들락거려야 얻어 갑니다. 해설서 읽고 다시 원전 읽고, 왔다갔다 하는 방식으로 저도 시도해봐야겠어요

단발머리 2021-07-27 17:57   좋아요 1 | URL
네네! 북사랑님도 이번주에 버틀러 읽으시는거네요 ㅎㅎㅎㅎ 트러블 있는 한 주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