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를 읽다가 문득 혹, 시는 축지법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다. 멀고도 먼 거리를 가장 짧게 압축해 놓는 법. 그것이 바로 시고 축지법 아니던가.

 

그 압축에 얼마나 많은 것이 들어가 있는지는 하나하나 펼쳐가는 사람에 따라서 달라질 터. 빠르게 대충 넘어가는 사람에게는 처음과 끝, 그리고 중간이 존재할 뿐일테지만, 천천히 그 사이를 살피면서 가는 사람에게는 온갖 세상이 펼쳐지는 신세계일 터이다.

 

그게 바로 시다. 축지법은 이곳에서 저곳을 한 번에 갈 수 있게 해주는 도술이라고 하지만, 사실은 이곳과 저곳을 연결해주고, 그 사이를 자신의 능력으로 메워나가게 해주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세상에 하고 많은 것들을 줄이고 줄여 자신의 감정을 압축적으로 표현해 낸, 누구 말대로 하면 세계의 자아화가 이루어지는 시는, 언어와 언어 사이, 또 행과 행 사이에 엄청난 것들이 숨어 있다. 그 숨김이 바로 시인의 재주요, 그 숨김을 찾아내는 것이 독자의 능력이다.

 

왜 이런 생각이 들었을까? 바로 원재길의 시집 "나는 걷는다 물먹은 대지 위를"를 읽다가 한 시를 발견하고서이다.

 

그 시 제목은 '속도광'

 

  속도광

 

다섯 시간 반

여섯 시간 사십 분

자동차와 한 덩어리 되어

쉼 없이 달리는 짐승들이 있다

불타 버릴 듯 뜨거워진 머리

털털거리는 뼈

김 솟는 살덩이

 

쏜살같이 모든 풍경 버리고

바람에 너풀대는 것들

꿈틀거리는 것들

겨우 숨 붙어 있거나

검게 썩어 가는 것들

 

다 외면하는 척하며 무작정 달릴 때

삶은 얼마나 가벼우냐

이따금 언덕 너머 바다가 보이고

파도는 거듭 자기 몸 타넘을 때

죽음은 또 얼마나 가까운 것인가

 

찰나

쌩 하고 한 생애가 옆을 스쳐

깜짝 놀라 눈

감았다 뜨니

그새 그 짐승 간 데 없다

 

원재길, 나는 걷는다 물먹은 대지 위를, 민음사, 2004년 초판. 68-69쪽

 

시하고 얼마나 다른가. 압축은 비슷하지만, 여기에는 주변을 살필 여력도 사이를 채울 시간도 존재하지 않는다. 오로지 직선으로 내달릴 뿐이다.

 

그런데... 가만 생각해 보면 우리네 인생도 이렇게 직선이지 않은가. 속도광이지 않은가.

 

우리도 정해진 목표를 향해 줄기차게 쌩하고 달리기만 할 뿐이지 않은가. 함께 하지 못하고, 그 멀기도 먼 거리를 아주 가깝게 만들고 있지는 않은지. 지금 현대인들의 삶이. 내 삶이.

 

그래서 축지법처럼 단축은 하되, 그 사이는 보지 못하는 그런 삶을 살고 있지는 않은지 돌이켜보아야 한다.

 

시는 축지법이 되어야 한다. 이런 속도광이 아니라. 이곳과 저곳을 압축해 놓았지만, 그 압축 사이를 채워나가야 한다. 우리의 상상으로, 우리의 삶으로.

 

그럴 때 시를 읽는 삶이 풍요로와진다. 가장 짧은 시에서 가장 풍성한 삶을 찾을 수 있는 것이 바로 이런 까닭이다.

 

시인은 자서(自序)에서 말한다.

 

'시처럼 사는 일도 날로 간결해지기를'이라고.

 

이 말 속에는 압축만이 있지는 않다. 이 간결에는 더 많은 복잡함들이 채워져야 한다. 그게 바로 삶이고, 시이다. 하여 우리는 축지법을 실행하더라도, 그 사이에 온갖 것이 있음을, 그것을 찾으려고 노력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시, 그래서 필요하다. 현대처럼 속도광인 시대에는 더더구나. 사이를 찾고, 사이를 채우려는 노력을 해야 하므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봄은 시작이다.

 

그러나 시작은 언제나 힘들다.

 

자신의 온몸을 던져 새로운 발걸음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마치 새싹들이 얼어붙어 있던 땅을 뚫고 나오듯이, 죽은 듯이 숨어 있던 순들이 단단한 가지에서 솟아나오듯이, 그렇게... 새로운 출발을 해야 한다.

 

익숙한 것을 떠나 낯선 곳으로 가는 시기, 그것이 바로 봄이고, 이러한 여행이 바로 삶이다.

 

우리의 봄은 이래야 한다. 낡은 것조차도 새로운 출발을 꿈꾸게.

 

정철훈의 시집을 읽다. 이제는 봄도 여름을 향해 빠르게 달리고 있는데, 새출발을 한 것들이 어느덧 자리를 잡아 제 삶을 살아가기 시작했는데...

 

그럼에도 해결되지 않은 것들이 있지만, 그것들을 마냥 뒤에 놓고만 있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나아가면서, 함께 갈 수 있는 봄. 그런 오월이었으면...

 

정철훈의 시집은 해설에서 '북방 정서'를 잘 드러내고 있다고 하고, 그러한 시들이 2부에 실려 있는데, 그럼에도 마음에 와 닿은 시는 바로 '봄날'이다.

 

   봄날

 

봄날 녹슨 함석지붕이 운다

봄바람에 어깻죽지를

들썩이며 운다

겨우 붙들어맨 못대가리가 빠져

함석도 날개가 있다고 덜덜덜 운다

한자리에 너무 오래 머물렀음인가

양계장에서는 장닭이 암탉을 올라타다 말고

흙먼지를 날리며 홰를 친다

먼산엔 질달래 개나리 매화가 불붙고

바람은 모래를 날려 삶을 재촉하는데

봄은 근질거리는 날갯죽지로 오는가

봄날 함석지붕이 운다

봄바람에 어깻죽지를

들썩이며 운다

 

정철훈, 내 졸음에도 사랑은 떠도느냐. 민음사. 2002년 1판 1쇄. 11쪽.

 

새로운 출발을 꿈꾸고, 또 새롭게 출발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봄은.

 

봄은 과거를 딛고 미래로 가는 현재다. 그러므로 생동감이 있다. 살아 움직여야 한다. 낡은 것조차도, 이 시에서처럼 녹슨 함석지붕조차도 들썩이게 해야 한다. 그렇게 새로움을 찾아 가는 날, 그것이 바로 봄이다.

 

과거로 붙들어맨 못이 빠져 이제는 새로운 곳으로 가야 한다는 봄. 계절로서의 봄만이 아닌, 우리네 삶으로서의 봄이어야 한다.

 

그렇게 이 오월은 새로움의 달이어야 한다. 오월의 시작, 정철훈의 '봄날'을 읽으며 삶의 생동감을 생각한다.

 

출발은 어렵더라도, 해야 한다. 그게 바로 인생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보되 남은 못 보게 하는 정치는

 

독재다.

정치인이 국민과 멀어질 때

인의 장막에 둘러싸여 있다고 하지만

죄수의 딜레마에 빠져

스스로 장막을 만들고

그 속으로 들어간 것이다.

 

이 장막을 위해

스스로 선글라스를 쓴다.

나는 볼 수 있지만

상대는 내 눈을 볼 수 없는

그 장막 속에서

무소불위의 힘을 발휘하게 된다.

 

선글라스를 이어받은 장막이

바로 전화,

마주보고 이야기 하면 미세한 표정에서

감정을 들킬 수 있으니

전화로 정책을 의논한다.

의논이 아니라 통보다.

 

보이지 않고 보는 정치

얼마나 무서운 정치냐.

벤담이 이런 정치를 알았으면

-옵티콘을 설계하지는 않았을텐데

독재가 이렇게

선글라스나 전화를 통해서도

올 수 있음을 알았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최두석의 시집을 읽다. 그의 시집을 다 갖고 있지는 않지만, 예전에 그가 쓴 시에 반해 몇 권을 사둔 적이 있다. 그때는 사자마자 한 번에 주욱 통독을 했는데, 시집의 좋은 점은 두고두고 또 읽을 수 있다는 점.

 

읽을수록 새로움을 느낄 수 있다는 점, 읽을 때마다 마음에 다가오는 시가 달라진다는 점. 그리고 더 많은 울림들을 내 가슴 속에 간직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의 시집에 이상하리만큼 "꽃"이라는 말이 많이 들어가는데, 다른 책에서 이에 대해서 시인 자신이 이야기한 적도 있으니, 그와 꽃은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시집 제목도 "성에꽃"이다. 사실 이 시집에는 꽃보다는 사람에 대한, 우리나라 현실에 대한 이야기가 더 많이 나온다.

 

읽어가면서 마음이 울리기도 하지만 머리 속에 시에 나타난 상황이 그림으로 펼쳐지기도 한다. 한 편의 이야기. 그는 한 때 "이야기시"를 주장하기도 했었다.

 

시가 운율로, 압축으로, 상징으로 마음을 울리기도 하지만, 시에도 분명한 이야기가 있음을,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이야기와 함께 하고 있음을, 우리 기억 속에 남아 있는 시들은 대부분 어떤 이야기를 품고 있는 시임을, 그의 '이야기시론'을 통해 알 수 있었고, 또 그의 시를 통해서도 체험할 수가 있다.

 

시에 수록된 시들과 제목의 시가 어떻게 어울릴까? 사실 우리는 "사람꽃"이라는 말도 쓴다.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라는 말도 쓰고 "꽃보다 00"라는 말도 쓴다.

 

이렇듯 꽃과 사람은 함께 한다. 꽃이 화사한 꽃도 있고, 눈에 띄지 않는 아주 작은 꽃도 있고, 어디엔가 숨어 있는 꽃도 있고, 대우받지 못하는 꽃도 있듯이 사람도 그렇다.

 

최두석이 관심을 두고 있는 사람은 앞에 나서서 남에게 인정받는 그런 사람이 아니다. 그는 자기에게 주어진 일을 하는 사람, 사회의 한 켠에서 소외된 채로 살아가는 사람, 역사의 격랑에서 허우적거리는 사람에 관심을 두고 있다.

 

그들이 바로 우리 사회를 지탱해가는 "꽃"임을 그는 시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고은의 "만인보"와는 또다른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 그런 '이야기시'가 바로 이 시집에 잘 나와 있다.

 

소외되었지만 열심히 살아가는 사람들, 그 사람들로 인해 사회는 지속되고 발전되고 있음을, 고단한 삶이지만 최선을 다해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음을 이 시집을 통해 알 수가 있다.

 

그리고 그의 생각이 제목이 된 시에 잘 나타나 있다. "성에꽃"

 

식물로서의 꽃도 아니고, 그렇다고 사람도 아닌, 자연과 사람이 어려운 환경에서 만나 피워낸 꽃. 그는 이 꽃에서 민중들의 삶과 세상을 변화시키려던 친구를 만난다.

 

성에꽃. 차가운 계절에 피는 꽃. 그러나 그 꽃은 우리가 어떤 길로 나아가야 할지를 잘 보여준다.

 

시를 보자

성에꽃

새벽 시내버스는
차창에 웬 찬란한 치장을 하고 달린다
엄동 혹한일수록
선연히 피는 성에꽃
어제 이 버스를 탔던
처녀 총각 아이 어른
미용사 외판원 파출부 실업자의
입김과 숨결이
간밤에 은밀히 만나 피워낸
번뜩이는 기막힌 아름다움
나는 무슨 전람회에 온 듯
자리를 옮겨다니며 보고
다시 꽃이파리 하나, 섬세하고도
차가운 아름다움에 취한다
어느 누구의 막막한 한숨이던가
어떤 더운 가슴이 토해낸 정열의 숨결이던가
일없이 정성스레 입김으로 손가락으로
성에꽃 한 잎 지우고
이마를 대고 본다
덜컹거리는 창에 어리는 푸석한 얼굴
오랫동안 함께 길을 걸었으나
지금은 면회마저 금지된 친구여.


최두석, 성에꽃, 문학과지성사, 1991년 3쇄. 12-13쪽.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2

 

밖을 향해 쏘아올린 수많은 파편들이

사방으로 흩어져

제 자리를 잃고,

 

빠져나간 공허함에 넋을 잃어버리는데

아직도 더 나갈 것들이 있는지

언제 어디서든 따

 

밖이 아니라, 안으로!

안으로!

내 안으로!

 

허공 중에 흩날리고 있는

말들을 잡아,

내 영혼의 샘에 집어넣어야

 

삶은 말들로 충만하다.

 

밖에 흩어져 있는 것들이 아닌

내 안에 차고, 차서

자연히 넘쳐나는 말들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