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나선 - 생명에 대한 호기심으로 DNA를 발견한 이야기 궁리하는 과학 1
제임스 D. 왓슨 지음, 최돈찬 옮김 / 궁리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생물을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는 용어 'DNA'. 그것의 구조를 밝혀낸 사람,, 제임스 왓슨과 프란스시 크릭.


이름은 들어서 알고 있다. 물론 DNA의 구조가 이중나선이고 그것들이 네 개로 이루어져 있다는 글을 보기도 했지만 (아데닌-티민, 구아닌-시토신) 그냥 그러려니 하고 넘어갔다.


별로 관심 있는 분야도 아니었고, 또 지금은 이를 기초로 더 많은 유전학이 발달해 있으니...


하지만 늘 처음이 어렵다. 콜럼버스의 달걀이라는 말도 있지 않은가. 처음이 어렵지 시작이 되면 그것을 발판으로 더 많은 연구들, 발전들이 이루어진다.


DNA구조가 밝혀지기 전까지 많은 과학자들이 그에 매달렸고, 많은 실패들이 있었다고 한다. 여기에 과학자들끼리의 경쟁도 있었고.


과학계가 서로 협동하는 경우도 많지만 치열하게 경쟁하는 경우도 많다. 과학 분야에서라면 누구에게라도 뒤지지 않는다고 자부하는, 자부심으로 똘똘 뭉친 사람들이 과학자 집단 아니던가. 그러니 그들은 협력을 할 때는 하더라도 철저하게 자신의 능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경향이 많다.


논문에 공동저자로 이름을 올리는 경우가 많지만, 또한 자기 혼자만의 노력으로는 위대한 과학적 성과를 낼 수 없지만, 집단의 능력과 노력에 개인의 노력과 능력이 더해져야만 과학적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이 책은 그 점을 너무도 잘 보여준다. 물론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한 사람 중의 하나인 왓슨이 쓴 책이라, 자신의 관점에서 서술되는 경우가 많겠지만, 그럼에도 DNA 이중나선 구조가 밝혀지기까지의 과정이 흥미진진하게 서술되어 있다.


왓슨도 자신이 쓴 글 내용에 동의하지 못하는 사람도 있으리라고 말하고 있다. 당연하다. 자신의 관점에서 썼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 책을 읽으면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밝히기 위한 과학자들의 경쟁과 협력을 잘 알 수 있게 된다.


누구보다도 먼저 DNA의 비밀을 밝혀내려는 과학자들의 노력이 아주 긴박하게 잘 서술되어 있다. 그래서 과학적 지식이 없어도 이 책은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왓슨의 회고록이라고 보면 좋을 책이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대학을 나와 영국으로 연구하러 가서 거기서 만난 동료와 위대한 업적을 이룬 왓슨.


세상에 그가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한 것이 20대다. 놀라운 성취다. 하긴 아인슈타인이 상대성이론을 발표한 것도 20대니 혈기왕성한 나이에 과학적 업적을 이룬 것이 예외가 아니긴 하다.


새로운 아이디어, 멈출 줄 모르는 도전 정신, 그리고 치밀함 등등이 그런 업적을 이루게 했으리라.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한 공로로 세 사람이 노벨상을 받았다.(생리의학상). 공동저자였던 크릭과 경쟁자였던 모리스 윌킨스.


이 책에서는 윌킨스와의 경쟁과 협력이 생생하게 잘 펼쳐진다. 그리고 빠진 한 사람. 후기에서 왓슨은 그 사람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여성 과학자 로잘린드 프랭클린.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받는 것을 견디지 못한 사람. 그럼에도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밝혀내는데 큰 공헌을 한 사람이다.


나중에 왓슨은 로지(로잘린드 프랭클린을 그들은 줄여서 로지라고 불렀다)에 대해서 다른 평가를 한다. 훌륭한 과학자였다고. 아마 살아있었다면 로지도 노벨상의 공동수상자가 되었을텐데...


여기에 더해서 미국에서 DNA구조를 밝히려고 했던 폴링과의 경쟁. 그리고 왓슨과 크릭이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밝혀냈을 때 깨끗하게 승복한 폴링의 자세. 과학자가 지녀야 할 덕목이지 않을까 싶다.


연구를 할 때는 치열하게 경쟁하되, 상대가 완성된 이론을 발표했을 때는 그를 인정하는 것. 그런 점들을 볼 수 있는 책이기도 했다. 물론 왓슨의 관점에서 쓰인 책이라는 점을 기억해야겠지만.


무엇보다도 이 책은 DNA 이중나선 구조가 밝혀지기까지의 과정이 그에 직접 관여했던 사람의 관점으로 아주 흥미진진하게 서술된다는 점이다. 그래서 읽기에도 좋다. 추천사를 쓴 최재천의 말처럼 과학자도 글을 잘써야 한다.


글 잘쓰는 과학자가 더 오래 살아남는다. 그 점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된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즐라탄이즐라탄탄 2024-02-14 20:5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지난달에 제가 읽었던 과학동아 1월호에서 로잘린드 프랭클린 님에 관한 이야기를 본 적이 있는데 여기서 이렇게 다시 보니 반갑네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고맙습니다.

kinye91 2024-02-15 11:19   좋아요 2 | URL
감사합니다. 왓슨이 자전적인 기록에서 그분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하고 있어서, 로잘린드 프랭클린을 완전히 무시한 것은 아니구나 하는 생각을 했어요.

즐라탄이즐라탄탄 2024-02-15 11:3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예 좀 detail한 내용이긴 합니다만, 제가 읽었던 과학동아 1월호 내용에 근거하면 프랭클린이 DNA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51번 X선 회절 사진‘이라는 것을 찍어서 이중나선 구조 발견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었다는 얘기가 나오더군요. 아마 왓슨도 자전적인 기록에서 이러한 것을 인정하지 않았나 조심스레 예상해 봅니다.

kinye91 2024-02-15 11:59   좋아요 2 | URL
네. 이 책에 그런 내용이 있어요.

그레이스 2024-02-19 00: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좋았던 책입니다. 이젠 이 책도 과학분야에서는 고전에 들어가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어느 분야든 관계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kinye91 2024-02-19 17:17   좋아요 0 | URL
맞아요. 관계가 정말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어요. 특히 로잘린드 프랭클린의 경우를 보니까 더 그런 생각이 들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