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은 시작이다.
그러나 시작은 언제나 힘들다.
자신의 온몸을 던져 새로운 발걸음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마치 새싹들이 얼어붙어 있던 땅을 뚫고 나오듯이, 죽은 듯이 숨어 있던 순들이 단단한 가지에서 솟아나오듯이, 그렇게... 새로운 출발을 해야 한다.
익숙한 것을 떠나 낯선 곳으로 가는 시기, 그것이 바로 봄이고, 이러한 여행이 바로 삶이다.
우리의 봄은 이래야 한다. 낡은 것조차도 새로운 출발을 꿈꾸게.
정철훈의 시집을 읽다. 이제는 봄도 여름을 향해 빠르게 달리고 있는데, 새출발을 한 것들이 어느덧 자리를 잡아 제 삶을 살아가기 시작했는데...
그럼에도 해결되지 않은 것들이 있지만, 그것들을 마냥 뒤에 놓고만 있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나아가면서, 함께 갈 수 있는 봄. 그런 오월이었으면...
정철훈의 시집은 해설에서 '북방 정서'를 잘 드러내고 있다고 하고, 그러한 시들이 2부에 실려 있는데, 그럼에도 마음에 와 닿은 시는 바로 '봄날'이다.
봄날
봄날 녹슨 함석지붕이 운다
봄바람에 어깻죽지를
들썩이며 운다
겨우 붙들어맨 못대가리가 빠져
함석도 날개가 있다고 덜덜덜 운다
한자리에 너무 오래 머물렀음인가
양계장에서는 장닭이 암탉을 올라타다 말고
흙먼지를 날리며 홰를 친다
먼산엔 질달래 개나리 매화가 불붙고
바람은 모래를 날려 삶을 재촉하는데
봄은 근질거리는 날갯죽지로 오는가
봄날 함석지붕이 운다
봄바람에 어깻죽지를
들썩이며 운다
정철훈, 내 졸음에도 사랑은 떠도느냐. 민음사. 2002년 1판 1쇄. 11쪽.
새로운 출발을 꿈꾸고, 또 새롭게 출발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봄은.
봄은 과거를 딛고 미래로 가는 현재다. 그러므로 생동감이 있다. 살아 움직여야 한다. 낡은 것조차도, 이 시에서처럼 녹슨 함석지붕조차도 들썩이게 해야 한다. 그렇게 새로움을 찾아 가는 날, 그것이 바로 봄이다.
과거로 붙들어맨 못이 빠져 이제는 새로운 곳으로 가야 한다는 봄. 계절로서의 봄만이 아닌, 우리네 삶으로서의 봄이어야 한다.
그렇게 이 오월은 새로움의 달이어야 한다. 오월의 시작, 정철훈의 '봄날'을 읽으며 삶의 생동감을 생각한다.
출발은 어렵더라도, 해야 한다. 그게 바로 인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