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방울꽃
좀처럼 드러내지 않고 애써 숨는다. 크고 넓은 잎을 가졌으면서도 그늘을 좋아한다. 그것도 여의치 못하면 무리를 지어 숲을 이룬다. 초록색의 잎 사이에서 은은하게 빛나는 꽃의 모습도 일품이지만 매혹적인 향기가 빼놓을 수없는 으뜸이다.

은방울꽃이라는 이름은 보이는 모습 그대로 꽃모양이 방울처럼 생긴 데에서 유래했다. 방울 닮아서 은방울꽃이라고 했다지만 거꾸로 꽃을 보고 사람들이 은방울을 만들었다고 봐야 맞는 것은 아닐까.

꽃의 끝부분을 살짝 구부려 올린 소박한 멋이 좋다. 곧 종소리가 울릴듯 싶지만 소리보다는 향기가 먼저다. 이 꽃 역시 초록과 흰색의 어우러짐이 빛난다.

은은한 향이 종소리처럼 깊고 멀리 오랫동안 퍼지는 은방울꽃은 '순결', '다시 찾은 행복'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큰앵초
높은 산 숲속에 꽃들의 잔치가 열렸다. 기꺼이 발품 팔아서 눈맞춤을 하는 꽃이다. 무리지어 아름다움을 뽑내는 것이 장관이지만 홀로 피어도 그 빛을 감추진 못한다.

홍자색 꽃들이 꽃대 끝에 모여 피어 머리에 화관을 쓴 듯하다. 앙증맞은 꽃이 넓은 잎과 어우러져 서로가 서로를 더 빛나게 한다.

앵초라는 이름은 꽃이 앵도나무의 꽃과 비슷해서 붙여진 것으로 큰앵초는 앵초보다 크다는 의미다. 잎의 모양과 크기 등으로 구분이 어렵지 않다.

갈길이 멀어 서두르거나 다소 여유로운 걸음의 사람들이 보랏빛 꽃에 눈길을 주지만 친근하게 이름을 불러주는 이는 몇명이 되지 않는다. 꽃 이름을 물어보는 사람은 여행길에서 오래된 벗을 만나듯 반갑다. 하지만, 꽃이 있는지도 모르고 걷기에만 바쁜이들에겐 꽃의 인사가 무색하기만 하다.

늦봄 지리산 노고단으로 발걸음을 이끄는 꽃이다. 순탄한 길을 걷다가 행운이라도 만나듯 큰앵초를 본다. '행운의 열쇠'라는 꽃말을 가졌다. 올해는 멀리가 일월산에서 만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觀其所友 관기소우

觀其所爲友 관기소위우

亦觀其所不友 역관기소불우

吾之所以友也 오지소이우야


그가 누구를 벗하는지 살펴보고,

누구의 벗이 되는지 살펴보며,

또한 누구와 벗하지 않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바로 내가 벗을 사귀는 방법이다.


*연암 박지원의 문집 '연암집'에 나오는 문장이다. 이 글은 담헌(湛軒) 홍대용(1731~1783)이 중국에 들어가 사귄 세명의 벗인 엄성, 반정균, 육비와의 만남을 기록한 글 '회우록'을 지어 연암에게 부탁한 서문에 나오는 글이다. 홍대용과 이 세사람의 우정은 당시 널리 알려진 것으로 대를 이어 이어지며 사람 사귐의 도리로 회자되었다.


오늘날 sns에서 친구 관계가 형성되는 기본과정을 보는 듯하다. 친구의 친구로 이어지는 메카니즘이 사람사는 그것도 한치도 다르지 않다.


때죽나무 꽃 피는 때를 놓쳤다. 그 순한 색과 모여피는 모습, 물 위에 떨어진 모습까지 보고자 필히 찾아보는 꽃이다.꽃은 놓쳤으니 열매라도 볼량으로 눈맞춤 했다. 나란히 달린 모습에서 연인이나 친구 또는 형제나 자매 등 보는 이의 관심도에 따라 여러가지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매번 찾아 눈에 담는 나는 '벗'으로 받아들인다.


연암과 그 벗들의 사람 사귐은 나의 오랜 화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도하는 여승의 청초함, 도라지꽃

도라지 도라지 백도라지
심심산천에 백도라지
한두 뿌리만 캐어도
대바구니가 스리살살 녹는구나

*민요 도라지 타령 중 일부다.
“도라지꽃은 청초하다. 한자로는 길경화桔梗花다. 한 송이 푸른 꽃이 산뜻하게 피어 있는 것을 볼 때, 텁텁하던 눈이 갑자기 밝아지며 가슴 속이 시원해지는 느낌이 든다.”

도라지에 대한 민요는 많으나 주로 식용이나 약용으로 쓰인 것에 주목하고 관상용으로 꽃에 관한 이야기를 남긴 것은 드물다고 한다. 그러다 보니 도라지꽃에 관한 옛시를 찾아보기가 어렵다.

화하만필에서는 “도라지꽃으로 말하자면 잎과 꽃의 자태가 모두 청초하면서도 어여쁘기만 하다”며 “다른 꽃에 비해 고요히 고립을 지키고 있는 그 모습은 마치 적막한 빈산에 수도하는 여승이 혼자 서서 있는 듯한 느낌”이라고 했다.

시골에 자리를 잡고 퇴근 후 주로 한 일은 소일삼아 동네를 둘러싼 야산을 돌아다니는 것이었다. 한적한 산길을 걷다가 만난 산도라지 꽃이 어찌나 반갑던지 조심스럽게 만져보았던 기억이 남아있다. 요즘도 여전히 드문드문 만날 수 있지만 식용보다는 꽃으로 먼저 보이니 오히려 다행이다 싶다.

남쪽에 장마가 시작된다며 비오는 것보다 더 요란스러운 일기예보가 연일 이어진다. 비가 제법 내리고 잠시 소강상태에 길을 나섰다. 길가에서 한창 꽃 피어 손짓하는 도라지 밭을 보았다. 차를 돌려 그곳으로 가 다시 내리기 시작한 비와 함께 한동안 눈맞춤 했다. 올해는 유독 여기저기 도라지꽃이 자주 보인다.

*문일평의 '화하만필'을 정민 선생이 번역하고 발간한 책, '꽃밭 속의 생각'에 나오는 꽃이야기에 내 이야기를 더하고자 한다. 책의 순서와 상관 없이 꽃 피는 시기에 맞춰 내가 만난 꽃을 따라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주닭개비

아침에 일어나 산책하듯 뜰을 거닌다. 아침을 깨우는 새들만큼 부지런한 꽃이 환한 미소로 반긴다.

색의 조화가 만들어낸 절묘함이 있다. 어울림이라는 것이 바로 이런 것이라는 듯 멋과 맛을 함께 보여준다. 만개한 널 보려면 햇살 환하게 비치는 아침이 좋다.

꽃은 5월경에 피기 시작하고 자줏빛이 돌며 꽃줄기 끝에 모여달린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3개씩이고 수술은 6개이며 수술대에 청자색 털이 있다. 꽃은 아침에 피었다가 날이 흐리거나 오후가 되면 시든다.

식물체를 통해 환경의 상태를 알아낼 수 있는 식물을 지표식물이라고 하는데 자주닭개비가 방사선에 대한 지표식물이다. 오랜 기간 동안의 방사선의 노출정도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원자력발전소의 주변에 심고 있다고 한다.

자주달개비라고도 불리지만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자주닭개비가 추천명이다. 이 곱기만 한 꽃에서 사람들은 무엇을 보았을까 '외로운 추억', '짧은 즐거움'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