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심을 잊게 하는 풀, 원추리

不惟萱草忘憂 불유훤초망우
此花尢能醒酒 차화왕능성주
훤초는 근심을 잊게 해주고,
모란은 술을 잘 깨게 해준다.

당 현종이 양귀비와 함께 청화궁(淸華宮)에 놀러가서 양귀비의 어깨에 기대 모란을 감상하다가, 한 가지를 꺾어 양귀비와 함께 번갈아 맡아 보며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훤초(萱草)는 우리말로는 원추리다. 《산림경제》에 훤초의 다른 이름은 망우초(忘憂草)니 사람이 이 꽃을 보면 곧 근심을 잊어버리게 된다고 하였다. 《초목기(草木記)》에는 훤초를 일명 의남초(宜男草)라 하는데, 부인이 임신했을 때 이 꽃을 차고 다니면 반드시 아들을 낳게 되므로 이런 이름을 얻었다 한다.

堂栽不老桃 당재불로도
庭養忘憂萱 정양망우훤
집에는 늙지 않는 복숭아 심고
뜰에는 근심 잊자 원추리 기른다네.

성종 때 유학자로 연산군의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죽음을 당한 수헌(睡軒) 권오복(權五福)의 시에 이런 것이 있다.

雨餘階畔綠芽長 우여계반록아장
日午風輕翠影凉 일오풍경취영량
繁枝亂葉眞多事 번지란엽진다사
我正無憂賴爾忘 아정무우뢰이망
비 갠 뒤 뜰 가에 초록 싹이 길더니만
한낮에 바람 솔솔 그림자가 서늘하다.
숱한 가지 얽힌 잎이 참으로 일 많으니
네 덕분에 다 잊어 아무 시름 없노라.

세종 때 집현전 학사인 신숙주의〈비해당사십팔영〉중에서 원추리를 노래한 시다.

*원추리 편에서는 다른 꽃과는 달리 생태적 특성이나 재배할 때 유의할 점, 식용에 관한 정보까지 식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른 봄 원추리 새싹은 나물로 막을 수 있고 여름에는 제법 큰 꽃을 피워 눈길을 사로잡는다.

시골로 일상의 근거지를 옮기고 주변을 살피는 도중 원추리 새싹을 뜯어 나물로 먹었다. 입안에 머무는 달콤한 향내가 오랫동안 머물렀던 기억이 있다.

덕유산 중봉이나 지리산 노고단 등 여름에 높은 산에 오르면 원추리 군락을 만날 수 있는데 안개와 만나면 독특한 분위기를 보여주어 그곳을 다시 찾게 만드는 힘이 있다.

*문일평의 '화하만필'을 정민 선생이 번역하고 발간한 책, '꽃밭 속의 생각'에 나오는 꽃이야기에 내 이야기를 더하고자 한다. 책의 순서와 상관 없이 꽃 피는 시기에 맞춰 내가 만난 꽃을 따라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풀솜대
큰키나무들이 잎을 내어 이제 숲은 그늘로 드리워지는 때다. 그 숲에 하얀 꽃들이 불어오는 바람따라 흔들린다. 발밑에 꽃을 찾아 걷는 사이에 빛이 들어 더욱 환하게 빛나는 순간을 마주한다.

꽃이 솜대를 닮았다고 풀솜대라는 이름을 붙였다는데 솜대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라고 한다. 지장보살이라는 이름으로 더 자주 불린다. 옛날 춘궁기 때 풀솜대를 구황식물로 이용되었는데, 절에서 죽을 쑤어 먹곤 했다고 한다. 그래서 중생들을 구제하는 풀이라는 뜻으로 풀솜대를 '지장보살'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뭉처서 피는 햐얀꽃이 지고나면 둥글고 붉은색의 열매가 달린다. 의외의 열매라 가을 산행에서 주목하게 만드는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와 비슷한 식물로 우리나라 고유종인 자주솜대가 있다. 노고단에 오르면 놓치지 않고 찾아보게 되는 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두루미꽃
숲길은 언제나 한눈 팔기에 좋다. 사방 어디를 둘러봐도 익숙한듯 하면서도 늘 새로운 생명들이 있어 숲을 찾는 이들을 반긴다. 한눈에 알아본다. 같은 시기 같은 장소를 찾아온 이유다.

작은 꽃대를 곧추 세웠다. 반듯한 모습에서 알 수 없는 기품을 느낀다. 꽃봉우리를 만들어 자잘한 꽃들을 달아 주목받는다. 키도 작고 꽃도 작은 것이 홀로 또는 무리지어 피어 꽃대를 받치는 초록의 두툼한 잎과 멋진 조화를 이룬다.

모내기가 끝난 논에 어슬렁거리며 먹이를 찾는 그 새를 닮았다. 꽃의 잎과 잎맥 모양이 두루미가 날개를 넓게 펼친 것과 비슷해서 두루미꽃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영낙없이 그 모습이다.

때를 기다려 올해로 두번째 찾은 태백산에는 마치 오기를 기다렸다는듯 무리지어 반겨준다. 두루미의 고고한 자태를 닮은 것과는 달리 '화려함', '변덕'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털개회나무
늦은 봄이면 노고단에 오르는 이유야 여러가지겠지만 그중 하나가 이 나무에 피는 꽃을 보고자 함이다. 올해는 이런저런 이유로 때를 놓친 까닭에 노고단에서 이꽃을 보지 못하고 대신 일월산에서 만났다.

주목하는 색으로 꽃이 피고 은근한 향기까지 있어 눈길을 사로잡는다. 꽃을 보기 위해 고개를 숙이고 걷자면 놓치기 쉬운 꽃이지만 향기에 민감한 이들은 주변을 둘러보며 찾게 된다.

많은 이들이 좋아하는 봄꽃 중 향기에 주목하는 라일락이 있다. 그 한 종류로 미스김라일락이 있는데 이것은 미국인 엘윈 미더는 북한산국립공원에서 발견한 털개회나무를 채취해 미국으로 가져가 개량한 것이라고 한다.

비슷한 나무로 꽃개회나무가 있으나 구별이 쉽지가 않다. 구별 포인트 중 하나가 꽃줄기에 털의 유무다. 한때는 정향나무라고 불리기도 했다.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달다리속 나무로 백두대간을 따라 지리산에서부터 북부지방까지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산림청 선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크게 다르지 않을게다
속내는 밖으로 드러남으로 알게된다. 

어떡해하든 드러나는 것이기에 숨기려 애쓴다고 감춰질 수 없으며 

용케 숨겼다 하더라도 오래갈 수 없다.

사람 사귐도 매 한가지. 

스스로가 자신을 위하듯 상대를 귀한 존재로 정성껏 대하며 살 일이다. 

벗, 연인, 가족 등 모든 사회적 관계가 다르지 않다.

숲나들이에 나도제비란이 선두에 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