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갈 자리를 아는 것이리라. 꽃 피웠으니 질줄도 알아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려는듯 쏟아지듯 내렸다. 떨어지는 꽃이 서럽다지만 땅에서 다시 피는 꽃이니 그 간절함은 핀 꽃을 넘어선다.

두번째 피는 꽃에서 꿈을 향한 지극함을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갯완두'

짠물의 영향을 많이 받아도 사는데 지장이 없는 식물들이 외외로 많다. 섬이나 바닷가에서 사는 식물들을 보면 알 수 있는데도 짠물과 식물에 대한 고정관념을 바꿔야 하나보다.

갯가는 바닷물이 드나드는 곳의 물가니 갯자가 붙은 식물들의 서식지가 바닷가나 물가라는 것을 짐작하게 하는 접두사다. 갯장구채, 갯메꽃, 갯금불초, 갯방풍, 갯기름나물, 갯버들..등이 그것이다.

갯완두 역시 해안가 모래땅에 산다. 붉은 자주색의 꽃과 꼬투리를 포함한 열매의 모양이 완두를 닮았다. 식용으로 사용하지는 못하고 약용으로 쓰인다고 한다.

바다를 배경으로 하는 꽃무리가 주는 아름다음이 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할미꽃

백발의 할머니 절로 떠오르네

詠白頭翁 영백두옹

鬢絲蕭瑟落花風 빈사소슬낙화풍

少日姸華一夢空 소일연화일몽공

須識靑春元易老 수식청춘원이노

草中還有白頭翁 초중환유백두옹

백두옹을 읊다

귀밑머리가 꽃을 떨어뜨리는 바람에 쓸쓸하니

젊은 날의 곱고 화려함 한바탕 꿈처럼 부질없네.

모름지기 청춘은 본디 늙기 쉬움 알아야 하니

화초 중에 또 흰머리 노인이 있네.

-이수광, "지봉지" 권2

*알고 보면 반할 꽃시(성범중ㆍ안순태ㆍ노경희, 태학사)에 스물두 번째로 등장하는 이수광(李睟光, 1563~1628)의 시 "詠白頭翁 영백두옹"이다.

할미꽃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식물이다. 봄에 뿌리에서 올라온 줄기 끝에 꽂봉오리가 열리면서 점차 아래로 굽는다. 꽃송이가 아래로 향하여 핀다. 꽃이 지고난 후 흰 털로 덮인 열매의 덩어리가 할머니의 하얀 머리카락같이 보이기 때문에 할미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노고초(老姑草) · 백두옹(白頭翁)이라고도 한다.

우리 역사에서 할미꽃은 신라 때 설총의 "화왕계"에서 왕에게 바른말을 하는 노인으로 등장한 이래 일반적 이미지가 노성한 인물로 나타난다고 한다.

양지바른 무덤가에서 흔하게 보던 꽃이었는데 이젠 보기 쉽지가 않다. 이유야 다양하겠지만 정겨움을 전하주던 대상이 사라졌다는 아쉬움이 크기에 어느집 담장 아래나 화단에서라도 만나면 반갑기만 하다.

*'알고 보면 반할 꽃시', 이 책에 등장하는 꽃시를 따라가며 매주 한가지 꽃으로 내가 찍은 꽃 사진과 함께 꽃에 대한 내 나름의 이야기를 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각시괴불나무

돌계단을 오른다. 힘든 길은 아니지만 천천히 걷는 것은 중간쯤 있는 나무를 보기 위함이다. 눈 밝은 이가 귀한 나무라며 알려준 자리에서 늘상 반겨주지만 매번 같은 모습은 아니다. 때를 달리해서 만나기 때문이다.

누구는 지리괴불나무라고도 했다. 여기저기 기웃거리며 알아낸 것이 각시괴불나무로 보여진다. 자세한 것이야 따지고 들어가야 더 알 수 있겠지만 여기서 멈춰도 되지 않을까 싶다.

이번 만남에선 노랑꽃이 한창일 때다. 두개의 꽃대가 솟아올라 다정하게 꽃을 피웠다. 그것만으로도 이쁜데 나뭇잎과 어울리는 노랑색의 조화가 더 좋다. 잎이나 꽃대의 털 유무는 살피지 못했으니 다음을 기약할 이유라고 하면 될까.

숲은 이미 키큰나무들이 하늘을 가린 때이므로 풀이나 키작은나무들이 햇빛을 받기는 쉽지 않다. 부는 바람 덕에 빛받아 더욱 빛나는 꽃과 눈맞춤이 황홀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읽는수요일

유월의 독서

그림자가

먼저 달려드는

산자락 아래 집에는

대낮에도

불을 끄지 못하는

여자가 살고

여자의 눈 밑에 난

작고 새카만 점에서

나도 한 일 년은 살았다

여럿이 같이 앉아

울 수도 있을

너른 마당이 있던 집

나는 그곳에서

유월이 오도록

꽃잎 같은 책장만 넘겼다

침략과 주름과 유목과 노을의

페이지마다 침을 묻혔다

저녁이 되면

그 집의 불빛은

여자의 눈 밑 점처럼 돋아나고

새로 자란 명아주 잎들 위로

웃비가 내리다 가기도 했다

먼 능선 위를 나는 새들도

제 눈 속 가득찬 물기들을

그 빛을 보며 말려갔겠다

책장을 덮어도

눈이 자꾸 부시던

유월이었다

*박준 시인의 시 '유월의 독서'다. 마침 비가 내렸다. 싱그러움이 가득한ᆢ.

'시 읽는 하루'는 전남 곡성의 작은 마을 안에 있는 찻집 #또가원 에 놓인 칠판에 매주 수요일에 올려집니다.

#곡성 #곡성카페 #농가찻집 #곡성여행 #섬진강 #기차마을 #구례통밀천연발효빵 #들깨치아바타 #곡성천연발효빵

전남 곡성군 오산면 연화길 5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