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을 잃다 로망 컬렉션 Roman Collection 1
하창수 지음 / 나무옆의자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봄이라고 쓰고 시간이라고 읽는다.

20여 년의 결혼생활의 종지부를 찍고 스무 살 가까운 차이가 나는 동거녀와 2년을 살았다어느 날 갑자기 그 동거녀 봄이 사라졌다불혹의 남자는 이 순간에서부터 모든 것을 다시 시작하게 된다.

 

40년의 삶에서 20여 년의 결혼생활 이후 2년의 동거생활이 모든 것은 시간으로 수렴된다그 시간 동안 남자는 무엇으로 살아왔을까전처의 말을 빌리자면 당신은 좋은 사람이 아니야.”고 동거녀의 말을 빌리자면 돼지가 되는 사람이 남자 몽인이다남자는 그 둘 다를 알지 못하고 살았다봄이 말없이 사라지고 나서 낯선 봄으로 돌아온 후에도 남자는 자신을 몰랐던 것이다.

 

물리적인 시간이 쌓여 만들어진 삶이라는 것 속에서 자신이 진정으로 그 시간의 주인으로 살았던 시간을 얼마나 될까? 20여 년의 결혼생활에서도 2년의 동거 생활에서도 어쩌면 그보다 더 긴 세월인 40년 동안 알지 못하고 살았던 자아를 봄이 사라진 후 20시간 동안 자신에게도 떠난 여행에서 남자 몽인이 만난 것은 무엇이었을까?

 

이 소설은 결혼생활에 실패하고 그 후 동거생활에서도 실패한 한 남자가 사랑이라고 믿었던 동거녀 봄이 사라짐으로 해서 비로소 자아와의 만나게 되는 20여 시간을 따라가는 형식으로 그려진다자신이 무엇으로 살아왔는지를 비교적 짧은 시간인 동거기간 2년을 기반으로 여전히 친구 같은 전처와 살았던 결혼 생활 20여년으로 외연이 확장된다여기에 머물지 읺고 결국 자신의 삶 전체로 넓혀 40년 인생을 되돌아보는 기회가 된다.

 

봄은 시간의 봄일 수도 있고 사랑을 일컫는 말이기도 하다이 둘은 분리되어 생각될 수 없기에 어쩌면 처음부터 하나였다하지만 독자인 내 시각으로 주목하고 싶은 것은 시간에 주안점을 둔다는 것이다이는 소설 속에 등장하는 시간계념의 다양한 표현 속에서 찾을 수 있다.

 

서울은 거리로 측정되는 도시가 아니라 시간의 도시다지척도 차가 밀리면 만 리가 되는.”

시간이 깊게 스며들지 못한 것은 예쁠 수가 없었다.”

여자의 아름다움은 마흔쯤 넘어야 발견된다는 것을결기와 강단이 곧 부드러움과 온화함이 되는 아름다움.”

고요의 절정숨이 막힐 것 같은 정적을 가진 사람.”

 

이 모든 말은 시간이 쌓여야만 가능해지는 무엇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시간을 바라보는 시각에서부터 시간이 겹으로 쌓여 비로소 완성되는 아름다움 등에서 20 시간, 2, 20여년 그리고 40년이 그런 동일한 시선으로 보게 되는 소설 속 장치로 읽힌다.

 

동거녀 봄을 잃어버리게 된 사건이 결국 자신을 잃어버리곤 살아온 40년을 찾아 나서게 만든 계기였다그 후 20시간 동안 만나고 겪는 사건들은 40년을 살아오며 주목하지 못했던 자아를 만나는 과정이 된다전처에게도 동거녀에게도 갈 수 없는 남자 몽인은 결국 어디로 가야 할까?

 

어쩌면 지금이야말로 현재까지 올바르다고 믿어왔던사랑에 기대어 시간이 만들어낸 허구의 성을 허물어 버릴 때가 아닐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09-09 01: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인연 짓다'
염두에 두지않았음에도 마음이 앞서며 발을 이끈다. 어디로 어느만큼 가야하는지도 모른다. 그렇게 가다보면 저절로 발걸음이 멈추는 곳에 반가운 만남이 있다. 오랜시간을 두고 준비해온 마음이 비로소 만남을 이뤄낸 것이다.

숲과 들에서 특별히 마음에 담아두었던 꽃을 만나는 과정이 이와같다. 무엇을 보자고 작정하고 나선 길에서 만나는 것보다 이렇게 자연스러운 이끌림의 과정에서의 만남이 깊은 인연을 맺어준다.

수많은 들꽃 중에서도 마음에 쏙 들어오는 꽃과의 만남은 이처럼 자연스럽게 경건한 의식을 치르는 것과 같다. 수많은 사람들 속에서 그대를 만나는 것도 오랜시간 마음이 준비한 뜻이다. 

돌아보면 그대와 만남도 이와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용헌의 휴휴명당 - 도시인이 꼭 가봐야 할 기운 솟는 명당 22곳
조용헌 지음 / 불광출판사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명당은 내가 선 이 자리가 아닐까?

그리 낯설지 않은 산길을 걷다가 특별한 경험을 하곤 한다. 알수 없는 기운이 몸을 감싸며 뒷목이 서늘해지면서 땡기는 경험이 그것이다. 같은 곳을 다시 지나가도 마찬가지 경험을 한다. 이유는 설명하지 못하지만 기분 나쁜 느낌이 들기도 하지만 그것하고는 또 다른 느낌이 드는 곳도 있다.

 

이런 느낌은 뭘까? 땅의 기운이 몸으로 전달되면서 몸이 느끼는 무엇. 이것이 사주명리학에서 말하는 특별한 기운일 수도 있을까? 땅의 기운이 사람에게 영향을 미쳐 그 사람으로 하여금 삶이 변화됨을 알게 하는 그 기운이라는 것이 실재할까?

 

조용헌의 휴휴명당은 명당이라는 특정된 곳을 찾아 그곳에 서린 땅의 기운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명당이라고 하는 영지는 신령스러운 기운이 뭉쳐 있는 장소를 말한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몸이 느껴 그 기운에 반응하는 것이며 명당은 특별히 그 기운이 다른 곳보다 강하게 나타나는 곳을 말하고 있다. 조용헌이 명당으로 지목한 곳은 총 스물 두 곳으로 주로 사찰이 있는 곳이다.

 

남해 금산 보리암, 완주 대둔산 석천암, 구례 지리산 사성암, 과천 관악산 연주암, 고창 선운사 도솔암, 대구 비슬산 대견사, 괴산 환벽정, 장성 백양사 약사암, 인제 설악산 봉정암, 서산 도비산 부석사, 해남 달마산 도솔암, 양산 영축산 통도사, 계룡 국사봉 향적산방, 하동 쌍계사 불일암, 완주 모악산 대원사, 파주 심학산(옛 구봉산), 공주 태화산 마곡사, 여수 금오산 향일암, 공주 계룡산 갑사, 김제 비산비야의 학성강당, 강진 만덕산 백련사, 장성 축령산 휴휴산방

 

저자 조용헌에 의하면 “‘명당明堂은 하늘과 땅, 바위와 물, 바람과 빛의 조화가 이뤄진 곳이다. 바위에서 기운이 품어져 나오고, 주변을 물이 감싸고 있어서 적당한 수분을 제공하고, 바람을 잘 감싸주면서, 숲이 우거져 있는 곳들이 대개 영지이다. 그곳은 잠시 머무르기만 해도 마음이 편해진다. 눈으로 알 수 없는 기운이 몸속으로 들어온 것이다.”

 

강호동양학자, 사주명리학 연구가, 칼럼니스트. 보이는 것을 통해 보이지 않는 것을 감지하는 혜안을 지닌 이 시대의 이야기꾼으로 평가받는 조용헌이 주목하는 것은 해를 보고 달을 보고 바다를 보라. 그래야 산다라는 말에서 짐작할 수 있듯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이룬 삶에 있는 듯 보인다. 명당을 찾는 것도 같은 시선 속에서 그 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스물 두 곳의 명당을 찾고 그 명당의 지리적 특성 속에서 땅의 기운을 받아 들여 업적을 남겼던 이들의 이야기를 찾고 자신의 독특한 경험까지 망라한 이야기를 담았다.

 

이미 발간된 조용한의 책을 접해본 사람이라면 익숙한 이야기들의 연속이고 특별히 진전된 자신의 성찰의 결과를 공유하려는 것이 아닌 명당이라는 특정된 곳을 소개하는 차원에서 발간된 책임을 감안해서 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이미 여러 책에서 한 이야기를 반복한 듯하여 특별한 것이 없다는 이야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기를 권한다면 직접 발품 팔아 찾아 현장에서 바라본 명당의 자연적 조건을 확인할 수 있는 시원스러운 106컷의 명당 사진과 단국대 미대교수를 역임한 이영수 선생이 소장한 작품인22컷의 전통 민화가 그 간격을 대신해주고 있다는 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곁을 주다'
꽃은 꿀을 얻기 위해 찾아오는 벌과 나비를 기꺼이 반길 것이다. 다소 귀찮고 번잡스러움을 견디고 때론 상처를 내기도 하는 이 방문을 받아들여야 비로소 꽃의 사명에 이를 수 있다.


곁을 준다는 것은 바로 이러한 수고로움을 기꺼이 안고 자신을 내어주는 것이다. 이 수고로움은 상대가 때론 서운하여 아프고 힘들게하더라도 이는 곁을 내어주는 자의 사명이다. 곁을 더 많이 내어주는 자의 몫은 더 많은 수고로움을 감당하는 일이다.


이 사명이 있기에 그대를 곁에 두고 마음껏 그리워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감통(感通)하다'
느낌이나 생각이 통한다는 말이다. 이 말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독립된 대상이 있다는 것을 전재로 한다. 대상이 있어야 이것과 저것이 통한다는 것이 성립될 수 있다.


통하기 위해서는 과정이 필요하다. 과정은 수고로움을 동반한다. 이 수고로움은 이해받지 못함, 억울함, 미안함, 아픔, 고독, 외로움, 허탈과 같은 부정적 감정의 변화를 동반한다. 하여, 대개는 그 수고로움을 이겨내지 못해서 관계가 어긋나기도 한다.


또한, 통하기 위해서는 이것과 저것을 이어주는 매개가 있어야 한다. 이 매개는 말, 표정, 몸짓이나 기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무엇을 어떻게 사용하든 이 매개를 통해 하나로 이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수고로움의 과정을 무색케하는 것이 있다. 대상과 본질이 같아 서로 같은 존재임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는 마음의 결과 온도가 같아 곧바로 통하는 심통心通이다.


그대와 나, 감통感通에 심통心通이니 무엇이 더 필요하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